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instrument_wiki:아웃보드:프리앰프:clarett_plus_octopre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instrument_wiki:아웃보드:프리앰프:clarett_plus_octopre [2025/05/08] – ↷ 링크가 이동 작업으로 인해 적응했습니다 40.77.167.156instrument_wiki:아웃보드:프리앰프:clarett_plus_octopre [2025/08/15] (현재) – [Preamp Topology] 정승환
줄 1: 줄 1:
-======Clarett+ Octopre====== +======Focusrite Clarett+ Octopre======
-<WRAP box> +
-{{ :정승환_컬럼:20230629-021631.png }} +
-{{ :정승환_컬럼:20230629-021706.png }} +
-</WRAP>+
  
 Clarett+ Octopre 는 기존의 Clarett Octopre 에서 Clarett**+** Octopre로 리뉴얼 되면서 아래와 같은 사양으로 변했습니다. Clarett+ Octopre 는 기존의 Clarett Octopre 에서 Clarett**+** Octopre로 리뉴얼 되면서 아래와 같은 사양으로 변했습니다.
줄 10: 줄 6:
   * Line Max input level : **+24dBu**   * Line Max input level : **+24dBu**
   * Line Max output level : **+18dBu**   * Line Max output level : **+18dBu**
 +
 +<imgcaption image1 center|Focusrite Clarett+ Octopre>{{ :정승환_컬럼:20230629-021631.png }}</imgcaption>
 +
 +<imgcaption image2 center|Focusrite Clarett+ Octopre>{{ :정승환_컬럼:20230629-021706.png }}</imgcaption>
  
 =====Focusrite ISA 와의 유사성===== =====Focusrite ISA 와의 유사성=====
  
-회로 구성 자체는 ISA와 유사한 토폴로지를 사용한다. 최대 입력 레벨도 +24dB로 같은 수준이다. PAD 기능없이 크레스트 팩터가 높은 드럼까지도 쉽게 녹음이 가능하다. 하지만 프리앰프의 출력은 ISA는 24dBu인데 비하여 Clarett+ octopre는 18dBu로 엄격한 급나누기가 되어있다.+회로 구성 자체는 Focusrite ISA와 유사한 토폴로지를 사용한다. 최대 입력 레벨도 +24dB로 같은 수준이다. PAD 기능없이 크레스트 팩터가 높은 드럼까지도 쉽게 녹음이 가능하다. 하지만 프리앰프의 출력은 ISA는 24dBu인데 비하여 Clarett+ octopre는 18dBu로 엄격한 급나누기가 되어있다.
  
 ISA 프리앰프의 경우는 싱글형 Op-Amp를 사용하기 때문에 밸런스 입력을 받아서 언밸런스 신호로 전환하기 위한 인풋 트랜스포머가 있는 반면, Clarett+ 프리앰프 회로의 경우는 차동형 Op-Amp를 사용함으로써 입력에서 트랜스포머 없이 밸런스 신호를 받아서 그대로 사용한다는 점이 가장 큰 차이이다. ISA 프리앰프의 경우는 싱글형 Op-Amp를 사용하기 때문에 밸런스 입력을 받아서 언밸런스 신호로 전환하기 위한 인풋 트랜스포머가 있는 반면, Clarett+ 프리앰프 회로의 경우는 차동형 Op-Amp를 사용함으로써 입력에서 트랜스포머 없이 밸런스 신호를 받아서 그대로 사용한다는 점이 가장 큰 차이이다.
줄 43: 줄 43:
 같은 프리앰프 회로/Op-Amp가 Focusrite 의 RED와 REDNET에도 사용되지만, 역시 Gain range나 디지털로 컨트롤되는 Remote Gain, 여러가지 로우 컷, 위상 반전 등의 기능상의 차이로 급나누기를 많이 해놓았다.((Focusrite는 음질로 급나누기를 하지 않고 기능으로 급나누기를 하는 회사 분위기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같은 프리앰프 회로/Op-Amp가 Focusrite 의 RED와 REDNET에도 사용되지만, 역시 Gain range나 디지털로 컨트롤되는 Remote Gain, 여러가지 로우 컷, 위상 반전 등의 기능상의 차이로 급나누기를 많이 해놓았다.((Focusrite는 음질로 급나누기를 하지 않고 기능으로 급나누기를 하는 회사 분위기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WRAP box centeralign> +<imgcaption image3 center|Focusrite RED의 마이크 프리앰프 스펙, Clarett+와 대동소이하지만 컨트롤 기능들은 모두 디지털로 컨트롤 되는 것이 가장 큰 차이이다. 
-{{instrument_wiki:아웃보드:preamp:20240730-140740.png}}\\ +>{{instrument_wiki:아웃보드:preamp:20240730-140740.png}}</imgcaption> 
-Focusrite RED의 마이크 프리앰프 스펙, Clarett+와 대동소이하지만 컨트롤 기능들은 모두 디지털로 컨트롤 되는 것이 가장 큰 차이이다. +
-</WRAP>+
 ======Preamp Topology====== ======Preamp Topology======
  
줄 55: 줄 54:
 THAT158x 계열의 Op-Amp는 Grace design같은 하이엔드 프리앰프들도 사용하는 최고 성능을 가진 마이크 프리앰프용 Op-Amp이다. THAT158x 계열의 Op-Amp는 Grace design같은 하이엔드 프리앰프들도 사용하는 최고 성능을 가진 마이크 프리앰프용 Op-Amp이다.
  
-{{instrument_wiki:아웃보드:preamp:20240727-222344.png}}+<imgcaption image3 center|프리앰프 회로>{{instrument_wiki:아웃보드:preamp:20240727-222344.png}}</imgcaption>
  
 =====ADC 칩===== =====ADC 칩=====
  
-{{instrument_wiki:아웃보드:preamp:20240727-222429.png}} +<imgcaption image3 center|다이내믹 레인지 120dB, Noise = -110dB 2채널 ADC 칩 Cirrus Logic CS5381>{{instrument_wiki:아웃보드:preamp:20240727-222429.png}}</imgcaption>
- +
-다이내믹 레인지 120dB, Noise = -110dB 2채널 ADC 칩 Cirrus Logic CS5381+
  
 =====DAC 칩===== =====DAC 칩=====
  
-{{instrument_wiki:아웃:preamp:20240727-222515.png}}+일반적인 ADAT 출력을 가진 8채널 프리앰프들이 ADAT 출력만을 가지고 있는 것에 비하여 Clarett+ Octopre는 ADAT 입력도 가지고 있으며, ADAT로 입력된 신호를 라인 아웃으로 라우팅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ADAT 입력을 통해 워클럭 신호를 받아서 기기를 클럭 슬레이브로 운영할 수 있다.((ADAT 출력만 가진 다른 제품들은 BNC 케이블을 연결하여 워드클럭 입력을 받아야만 가능한 기능이다.))
  
-Cirrus Logic CS43198 2채널 DAC: 다이내믹 레인지 130dBA, Noise = -115dB.+<imgcaption image4 center|Cirrus Logic CS43198 2채널 DAC: 다이내믹 레인지 130dBA, Noise = -115dB.>{{instrument_wiki:아웃보드:preamp:20240727-222515.png}}</imgcaption>
  
 =====참고 영상===== =====참고 영상=====
줄 75: 줄 72:
 {{ youtube>rniqK_WjFnQ?full }}\\ {{ youtube>rniqK_WjFnQ?full }}\\
  
-=====Review=====+=====해외 Review=====
  
 <WRAP center round important > <WRAP center round important >
   * https://www.soundonsound.com/reviews/focusrite-clarett-plus-octopre   * https://www.soundonsound.com/reviews/focusrite-clarett-plus-octopre
  
-특히 Focusrite 웹사이트에서 이 장치가 "멀티트래킹 드럼에 이상적"이라고 주장하는 것을 감안할 때, 보드에 극성 반전이 없는 것을 보고 놀랐습니다. 드럼 키트에서 여러 개의 마이크를 사용할 때 항상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뒤집게' 하게 되고, 스네어에서 상단 및 하단 마이크를 사용하는 경우 필수적입니다. 하지만 이것이 모든 사람에게 문제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DAW나 오디오 인터페이스 소프트웨어에서 신호 극성을 반전할 수 있으며, 메인 인터페이스의 프리앰프에서도 반전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하나 또는 두 개의 채널에 이 기능을 추가하면 개선될 것입니다. 패드나 하이패스 필터도 없지만, 이는 그다지 큰 문제가 아닙니다. 앞서 언급했듯이, 큰 소리의 소스에서 민감한 마이크는 문제가 되지 않았고, 고역 통과 필터는 일반적으로 트래킹 중에는 덜 중요합니다(인서트 신호 체인의 시작 부분에서는 유용할 수 있지만).+특히 Focusrite 웹사이트에서 이 장치가 "멀티트래킹 드럼에 이상적"이라고 주장하는 것을 감안할 때, 보드에 **위상 반전**이 없는 것을 보고 놀랐습니다. 드럼 키트에서 여러 개의 마이크를 사용할 때 항상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뒤집게' 하게 되고, 스네어에서 상단 및 하단 마이크를 사용하는 경우 필수적입니다. 하지만 이것이 모든 사람에게 문제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DAW나 오디오 인터페이스 소프트웨어에서 신호 극성을 반전할 수 있으며, 메인 인터페이스의 프리앰프에서도 반전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하나 또는 두 개의 채널에 이 기능을 추가하면 개선될 것입니다. 패드나 하이패스 필터도 없지만, 이는 그다지 큰 문제가 아닙니다. 앞서 언급했듯이, 큰 소리의 소스에서 민감한 마이크는 문제가 되지 않았고, 고역 통과 필터는 일반적으로 트래킹 중에는 덜 중요합니다(인서트 신호 체인의 시작 부분에서는 유용할 수 있지만).
 </WRAP> </WRAP>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instrument_wiki/아웃보드/프리앰프/clarett_plus_octopre.1746640589.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저자 40.77.167.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