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텍스트 결과:
- 헤드폰 앰프의 출력과 헤드폰 임피던스 @정승환_컬럼
- 리를 들을려면, 헤드폰 출력은 16dBm(40mW)이면 충분합니다. =====헤드폰의 감도===== 이제 이러한 헤드폰 앰프의 출력에 대비하여 헤드폰이 얼만큼의 소리를 재생하느냐... 와 스피커, 그리고 0VU(+4dBu)의 캘리브레이션에서는, 보통 앰프의 출력과 스피커의 감도에 의해 소리 크기가 정해지고 이것을 85dBSPL 로 출력하기 위해 0VU 를 85dBS... 폰 앰프와 헤드폰의 소리 크기에 대해서는 스피커의 경우와는 좀 다르게 생각해야 합니다. 감도는 헤드폰에 1mW 를 넣었을 때 얼마 만큼의 dBSPL로 환산되느냐에 관한 값입니다. 만약 어떤 헤드폰의 감도가 97dBSPL/mW((HD600, DT150 등)) 라면 1mW 출력에서 97dBSPL
- 감도 @음향:microphone
- ======감도====== 마이크의 감도는 1Pa의 음압을 입력했을 때 생성되는 전기 신호의 크기를 나타내며, 단위는 mV/Pa입니다. 감도가 높을수록 작은 음압에서도 더 큰 전기 신호를 생성할 수 있어 민감도가 뛰어납니다. 일반적으로 마이크의 감도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다르며, 고감도 마이크는 미세한 소리까지 포착할 수
- Sony C-800G @instrument_wiki:마이크로폰:sony
- .png}}\\ 단일지향성\\ </WRAP>)) * 출력 임피던스 : 100Ω * 감도 : 17.8mV/Pa(무지향성) 25.1mV/Pa(단일 지향성) * Self-Nois
- S-50 @instrument_wiki:신디사이저:roland
- 한 악기로, 오늘날에도 많은 음악 응용에 유용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가속도와 애프터터치 감도가 있는 풀 61개 음표 키보드와 16음성 폴리포니를 제공하여 라이브 및 스튜디오 공연에
- 헤드폰 앰프 @음향:earphone_and_headphone
- 헤드폰 앰프의 출력 임피던스에 의한 헤드폰 주파수 반응 </WRAP> =====헤드폰의 감도===== 이제 이러한 헤드폰 앰프의 출력에 대비하여 헤드폰이 얼만큼의 소리를 재생하느냐... 와 스피커, 그리고 0VU(+4dBu)의 캘리브레이션에서는, 보통 앰프의 출력과 스피커의 감도에 의해 소리 크기가 정해지고 이것을 85dBSPL 로 출력하기 위해 0VU 를 85dBS... 폰 앰프와 헤드폰의 소리 크기에 대해서는 스피커의 경우와는 좀 다르게 생각해야 합니다. 감도는 헤드폰에 1mW 를 넣었을 때 얼마 만큼의 dBSPL로 환산되느냐에 관한 값입니다. 만약 어떤 헤드폰의 감도가 97dBSPL/mW((HD600, DT150 등)) 라면 1mW 출력에서 97dBSPL
- 컨덴서 캡슐 @음향:microphone:diapragm
- 리의 차이를 만들어내기도 한다. 충전하는 전압의 차이에 의해서 마이크 캡슐의 **네이티브 감도**((마이크의 최종 감도는 이후의 회로의 증폭값에도 영향 받는다.))가 결정되며, 특히 컨덴서 마이크의 PAD 스위치는 이 충전 전압값을 변경하는 회로이기 때문에 다이어프램의 감도를 변경할 수 있다. <imgcaption 1 center|AKG C414의 캡슐(왼쪽)... 다이어프램이 동일한 압력 변화에 대해 더 큰 전기 신호를 생성할 수 있게 합니다. 이는 민감도를 향상시키며, **노이즈 플로어**를 낮추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특히 작은 다이어프
- 믹싱과 마스터링의 차이 @정승환_컬럼
- 458.png}} **이러한 모든 레코딩의 과정에서, 마이크의 거리 차이에 마이크 간의 감도 차이 등에 의해 발생한 소리의 레벨 차이, 음색 차이 등등 때문에 믹싱이란 과정이 필연적
- 드럼 스네어에 컨덴서 마이크 사용 시 고려 사항 @정승환_컬럼
- 과 하단(와이어 소리)에 각각 마이크를 설치해 두 소리를 섞어야 하지만, 콘덴서 마이크는 감도가 높고 주파수 응답이 넓어 스네어의 어택, 바디, 와이어의 ‘치직’거림까지 자연스럽게 한... 최대 피크 음압은 아마도 140dBSPL까지도 올라갈 것입니다. === 컨덴서 마이크의 감도와 최대 출력 전압 === * **일반 컨덴서 마이크 사례**: - 감도: 20mV/Pa (약 -34dBV) - 최대 SPL: ''140dBSPL'' ... 최대 입력레벨이 34dBu 정도이므로 이를 위한 충분한 헤드룸이 있습니다.)) === 저감도 컨덴서 마이크의 필요성과 한계 === 제가 알고있는 팬슬 컨덴서 마이크 중에 감도가 가장
- MOTU Digital Performer 11 @instrument_wiki:daw
- 이스를 매핑합니다. 개별 슬라이스를 편집할 수 있는 옵션뿐만 아니라 슬라이싱 프로세스 및 감도 측면에서 다양한 옵션을 얻을 수 있습니다. 모든 것이 매우 잘 작동하며 드럼 루프 컬렉션
- 스피커 유닛 사이즈에 대하여 @정승환_컬럼
- 들도 가끔 있다. 과거에는 앰프의 기술이나 스피커의 재질에 관한 기술이 발전하지 못하여, 감도가 높은 스피커 유닛으로 사이즈를 늘리는 것이 저역 재생을 위한 유일한 해답이었던 시절도 ... 등 스피커의 전면적인 부분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그렇게 고려하여 적절한 스피커의 사이즈와 감도, 앰프의 적절한 출력이 정해지게 된다. 오히려 최근에는 작은 사이즈의 스피커들에서 더욱더... 수 있는 주파수 범위가 있고, 그 주파수 범위에서 요구되는 음압 레벨은 유닛의 익스커션, 감도, 앰프의 출력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Reference====== * 스
- 마이크의 지향성 @음향:microphone
- ll:20240628-005455.png}} =====멀티 패턴 마이크들의 패턴에 따른 감도===== 멀티 패턴 컨덴서 마이크들의 캡슐의 원리상, 패턴에 따라 감도가 바뀌지 않는 것이 정상입니다. 하지만 특수한 경우 캡슐 구조를 단순화 하거나, 어느 특정 엘레멘트가 빠지는 경우 패턴에 따라 감도가 바뀌는 마이크가 있을 수 있습니다. ^ 마이크 모델 ^ 지향성 패턴 ^ 감도(mV/Pa) ^ 비고 ^ | [[instrument_wiki:마이크로폰:neumann:u87ai|Ne
- 프리앰프 토폴로지 @음향:signal_processor:preamp
- }} 진공관은 입력 임피던스가 커서, 작은 입력신호도 대역폭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고 감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보통 진공관 회로는 마이크의 밸런스 출력을 받는 차동 증폭 ... 피던스가 대부분 아주 높기 때문에, 작은 신호가 들어와도 **대역폭**의 손실 없이 매우 감도 높게 신호가 증폭됩니다. 반면 높은 신호가 들어오면 **집적회로**(IC)의 집적도의
- 인라인 프리앰프 @음향:audio_equipment
- 음향:microphone:ribbon_mic|리본 마이크]]들의 경우 일반적으로 스펙 상 감도가 매우 낮기 때문에, 해당 소리를 사용할 수 있도록 0VU 까지 증폭하기 위해 상당히 높... onnector: Male XLR 3 pin (Pin 2 Hot) 스펙 시트를 살펴보면 감도값이 1pascal(94dBSPL)의 소리에 대해 -47dBV로 감도가 매우 낮음을 알 수 있다. 이 정도 감도 값으로는 80dBSPL 정도의 사람의 목소리에 대해서는 약 -55dBV ~ -60dBV정도의 출력을 하게 된다. 그렇다면 -60dBV 의
- 몇 가지 청취 환경 개선 방법 제시 @정승환_컬럼
- 블 위에 스피커를 놓는 것을 지양하는 것도 좋다. =====헤드룸===== 스피커의 감도와 허용 전력의 스펙을 잘 보고 스피커가 여유있게 동작하도록 셋팅해야 한다. 예를 들면 어떤 스피커의 감도가 90dB/W일 경우, 이 스피커로 90dBSPL의 소리를 내려면 1W 가 필요하다. 이
- 감도 @음향:speaker:speaker_unit
- ======감도====== 스피커의 감도는 1W의 전력을 입력했을 때 1미터 거리에서 생성되는 음압 레벨을 나타내며, 단위는 dB/W/m입니다. 감도가 높을수록 적은 전력으로 더 큰 음량을 생성할 수 있어 효율적입니다. 일반적으로 스피커의 감도는 85dB/W/m에서 100dB/W/m 사이이며, 고감도 스피커는 작은 출력의 앰프에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