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용으로 건너뛰기

홈레코딩 위키

by 리버사이드 재즈 레이블

사용자 도구

  • 등록
  • 로그인

사이트 도구

  • 최근 바뀜
  • 미디어 관리자
  • 사이트맵
추적:

start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검색

아래에서 검색 결과를 찾을 수 있습니다.

@음향:earphone_and_headphone
  • 모든 네임스페이스
Any time
  • Any time
  • 저번 주
  • 저번 달
  • 저번 년도
조회수로 정렬
  • 조회수로 정렬
  • 마지막 수정일로 정렬

일치하는 문서 이름:

  • 감도

전체 텍스트 결과:

헤드폰 앰프
37 조회 수, 마지막으로 수정됨: 4주 전
헤드폰 앰프의 출력 임피던스에 의한 헤드폰 주파수 반응 </WRAP> =====헤드폰의 감도===== 이제 이러한 헤드폰 앰프의 출력에 대비하여 헤드폰이 얼만큼의 소리를 재생하느냐... 와 스피커, 그리고 0VU(+4dBu)의 캘리브레이션에서는, 보통 앰프의 출력과 스피커의 감도에 의해 소리 크기가 정해지고 이것을 85dBSPL 로 출력하기 위해 0VU 를 85dBS... 폰 앰프와 헤드폰의 소리 크기에 대해서는 스피커의 경우와는 좀 다르게 생각해야 합니다. 감도는 헤드폰에 1mW 를 넣었을 때 얼마 만큼의 dBSPL로 환산되느냐에 관한 값입니다. 만약 어떤 헤드폰의 감도가 97dBSPL/mW((HD600, DT150 등)) 라면 1mW 출력에서 97dBSPL
감도
21 조회 수, 마지막으로 수정됨: 6주 전
======감도====== 이어폰 및 헤드폰의 감도는 1mW의 전력을 입력했을 때 생성되는 음압 레벨을 나타내며, 단위는 dB/mW입니다. 감도가 높을수록 적은 전력으로 더 큰 음량을 생성할 수 있어 효율적입니다. 헤드폰의 감도는 일반적으로 90dB/mW 이상이며, 워크맨용 헤드폰은 약 100dB/mW 이상이 적합합니다. 또
노미널 임피던스
16 조회 수, 마지막으로 수정됨: 6주 전
상당히 줄어듭니다. 하지만 이렇게 코일을 덜 감은 경우, 당연히 Watt 당 소리 크기(감도)가 줄어들게 되기에, 마그넷(자석)을 자력이 강한 네오디뮴 등으로 바꿔서 다시 감도를 확보 하기도 합니다. * 헤드폰 앰프의 출력 임피던스 대비 헤드폰의 임피던스는 8배정도의
밀폐형 헤드폰
13 조회 수, 마지막으로 수정됨: 3개월 전
더욱 강화된 헤드폰을 말합니다. 일반적인 스튜디오 용도의 밀폐형 헤드폰이라고 하더라고, 고감도의 컨덴서 마이크로 녹음하거나 하는 경우 헤드폰에서 들리는 반주가 컨덴서 마이크로 아주 작
이어폰
7 조회 수, 마지막으로 수정됨: 21개월 전
잘 들리기 위해서는 작은 출력에도 높은 볼륨이 재생되어야 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높은 감도를 가진 BA 드라이버를 사용하는 경우도 많다. {{ 음향:hardware:monito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start.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5/05/13 저자 정승환

문서 도구

  • 문서 보기
  • 이전 판
  • 맨 위로
별도로 명시하지 않을 경우, 이 위키의 내용은 다음 라이선스에 따라 사용할 수 있습니다: CC Attribution-Noncommercial-Share Alike 4.0 International
CC Attribution-Noncommercial-Share Alike 4.0 International Donate Powered by PHP Valid HTML5 Valid CSS Driven by DokuWiki
Controller icons created by Icon home - Flatic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