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텍스트 결과:
- 감도(마이크)
- ======감도(마이크)====== 마이크의 감도는 1Pa의 음압을 입력했을 때 생성되는 전기 신호의 크기를 나타내며, 단위는 mV/Pa입니다. 감도가 높을수록 작은 음압에서도 더 큰 전기 신호를 생성할 수 있어 민감도가 뛰어납니다. 일반적으로 마이크의 감도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다르며, 고감도 마이크는 미세한 소리까지 포착할 수
- 다이어프램
- 소리의 차이를 만들어내기도 한다. 충전하는 전압의 차이에 의해서 마이크 캡슐의 네이티브 감도가 결정되며, 특히 컨덴서 마이크의 PAD 스위치는 이 충전 전압값을 변경하는 회로이기 때문에 다이어프램의 감도를 변경할 수 있다. <WRAP box centeralign> {{:음향:micropho... 다이어프램이 동일한 압력 변화에 대해 더 큰 전기 신호를 생성할 수 있게 합니다. 이는 민감도를 향상시키며, **노이즈 플로어**를 낮추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특히 작은 다이어프램 마이크의 경우 충전 전압을 높임으로써 감도를 보완하고, 큰 다이어프램 마이크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노이즈 플로어 문제를 개선할 수
- 마이크의 지향성
- ll:20240628-005455.png}} =====멀티 패턴 마이크들의 패턴에 따른 감도===== 멀티 패턴 컨덴서 마이크들의 캡슐의 원리상, 패턴에 따라 감도가 바뀌지 않는 것이 정상입니다. 하지만 특수한 경우 캡슐 구조를 단순화 하거나, 어느 특정 엘레멘트가 빠지는 경우 패턴에 따라 감도가 바뀌는 마이크가 있을 수 있습니다. ^ 마이크 모델 ^ 지향성 패턴 ^ 감도 (mV/Pa) ^ 비고 ^ | AKG C414 XLS | 전지향성, 와이드 카디오이드, 카디오이드,
- 감쇄 스위치
- 워 사용하는 경우 주로 48V)을 낮추는 동작을 한다. 따라서 ATT를 이용하면 마이크의 감도와 MaxSPL을 변경할 수 있다. {{ :음향:microphone:20240620-01... V/Pascal (25mV@94dBSPL) ±2dB@1kHz, 120dB MaxSPL 의 감도와 MaxSPL을 가진 마이크의 -20dB PAD 를 키게 되면 * -52dB re 1V/Pascal, 140dB MaxSPL 의 감도를 가진 마이크가 된다. 보통 마이크의 스팩의 MaxSPL 은 ATT를 적용한 값을 표기하... 일렉트릿 컨덴서는 캡슐 충전 전압을 변경할 수 없기 때문에 ATT가 없거나, 또는 출력 감쇄 회로를 ATT로 사용하므로, 이러한 경우는 캡슐의 실제 감도를 변경하지 못한다.
- 진공관 마이크
- 기 때문에 60V 부터 그 이상도 사용할 수 있다. 충전 전압이 높을 수록 컨덴서 캡슐의 감도와 다이내믹 레인지((노이즈 플로어~MaxSPL))를 높힐 수 있다. 대부분의 라지 다이어... " 캡슐은 48V가 아닌 이러한 높은 전압에 맞추어 설계된 사이즈이다. 컨덴서 마이크의 감도 감쇄 회로(ATT)는 보통 이 충전 전압을 낮춰줌으로써 캡슐의 감도를 낮추게 된다. 컨덴서 마이크의 지향성 변경도, 듀얼 다이어프램의 양쪽 다이어프램의 충전 전압을 조절하여 변경한다
- 다이내믹 마이크
- 팬텀 파워의 영향을 전혀 받지 않늗다. 대부분 다이내믹 마이크는 컨덴서 마이크에 비해 감도 특성이 낮음으로 인해서 가까운 거리의 소리를 잘 받아들이고 먼 거리의 소리를 거부하는 성
- 측정용 마이크
- 석하기 위해 설계된 고정밀 장치입니다. 일반적으로 **평탄한 주파수 응답**과 **높은 민감도**를 갖추고 있어 소리의 왜곡 없이 원음을 그대로 포착합니다. 이 마이크는 주로 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