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텍스트 결과:
- 헤드폰 앰프의 출력과 헤드폰 임피던스
- 리를 들을려면, 헤드폰 출력은 16dBm(40mW)이면 충분합니다. =====헤드폰의 감도===== 이제 이러한 헤드폰 앰프의 출력에 대비하여 헤드폰이 얼만큼의 소리를 재생하느냐... 와 스피커, 그리고 0VU(+4dBu)의 캘리브레이션에서는, 보통 앰프의 출력과 스피커의 감도에 의해 소리 크기가 정해지고 이것을 85dBSPL 로 출력하기 위해 0VU 를 85dBS... 폰 앰프와 헤드폰의 소리 크기에 대해서는 스피커의 경우와는 좀 다르게 생각해야 합니다. 감도는 헤드폰에 1mW 를 넣었을 때 얼마 만큼의 dBSPL로 환산되느냐에 관한 값입니다. 만약 어떤 헤드폰의 감도가 97dBSPL/mW((HD600, DT150 등)) 라면 1mW 출력에서 97dBSPL
- 믹싱과 마스터링의 차이
- 458.png}} **이러한 모든 레코딩의 과정에서, 마이크의 거리 차이에 마이크 간의 감도 차이 등에 의해 발생한 소리의 레벨 차이, 음색 차이 등등 때문에 믹싱이란 과정이 필연적
- 드럼 스네어에 컨덴서 마이크 사용 시 고려 사항
- 과 하단(와이어 소리)에 각각 마이크를 설치해 두 소리를 섞어야 하지만, 콘덴서 마이크는 감도가 높고 주파수 응답이 넓어 스네어의 어택, 바디, 와이어의 ‘치직’거림까지 자연스럽게 한... 최대 피크 음압은 아마도 140dBSPL까지도 올라갈 것입니다. === 컨덴서 마이크의 감도와 최대 출력 전압 === * **일반 컨덴서 마이크 사례**: - 감도: 20mV/Pa (약 -34dBV) - 최대 SPL: ''140dBSPL'' ... 최대 입력레벨이 34dBu 정도이므로 이를 위한 충분한 헤드룸이 있습니다.)) === 저감도 컨덴서 마이크의 필요성과 한계 === 제가 알고있는 팬슬 컨덴서 마이크 중에 감도가 가장
- 스피커 유닛 사이즈에 대하여
- 들도 가끔 있다. 과거에는 앰프의 기술이나 스피커의 재질에 관한 기술이 발전하지 못하여, 감도가 높은 스피커 유닛으로 사이즈를 늘리는 것이 저역 재생을 위한 유일한 해답이었던 시절도 ... 등 스피커의 전면적인 부분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그렇게 고려하여 적절한 스피커의 사이즈와 감도, 앰프의 적절한 출력이 정해지게 된다. 오히려 최근에는 작은 사이즈의 스피커들에서 더욱더... 수 있는 주파수 범위가 있고, 그 주파수 범위에서 요구되는 음압 레벨은 유닛의 익스커션, 감도, 앰프의 출력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Reference====== * 스
- 몇 가지 청취 환경 개선 방법 제시
- 블 위에 스피커를 놓는 것을 지양하는 것도 좋다. =====헤드룸===== 스피커의 감도와 허용 전력의 스펙을 잘 보고 스피커가 여유있게 동작하도록 셋팅해야 한다. 예를 들면 어떤 스피커의 감도가 90dB/W일 경우, 이 스피커로 90dBSPL의 소리를 내려면 1W 가 필요하다. 이
- 마이크와 음원과의 거리를 좁힘으로써 주변소음과의 차이를 벌리는 원리
- === 마이크와 음원과의 거리를 좁힘으로써 주변소음과의 차이를 벌리는 원리 ====== 감도가 낮은 마이크가 주변소음에 강하다는 일반적인 이야기는 사실 감도가 주변소음을 억제하는 **직접적인** 원인은 아닙니다. 하지만 감도가 낮은 다이내믹 마이크는 아래와 같이 음원과의 거리를 가깝게 함으로써 주변소음을 **간접적**으로 억제할 수 있... R)는 음원이 가까워질수록 6dB씩 증가하여, 더 깨끗한 녹음이 가능합니다. ===== 감도가 낮고 MaxSPL이 높은 다이내믹 마이크의 장점 ===== 감도가 낮고 최대음압(Ma
- 왜 우리는 그렇게 NS10M 의 트위터 코일을 끊어뜨렸을까요?
- 아래는 그 메커니즘에 대한 글입니다. =====NS10M의 스펙 분석 ===== **감도 & 허용 전력** ^ 항목 ^ 수치 ^ | 감도 | 90dBSPL/W | | 허용 전력 | 25~50W | | 피크 허용 전력 | 120W(NS-10MT 기준) |... 을 추가하여 클리핑을 생성하기 시작합니다. * **역전 현상**: 90dB/W의 높은 감도 → 소규모 앰프(30~50W)로도 큰 음압 가능 * **위험 구간**: <m>
- Dolby Atmos 스피커 시스템은 아직 시기 상조다.
- 기존 전통적 방식의 스피커 시스템으로 구성한 사람들은 이걸 대체 왜 한 것인가? 하는 회의감도 들 수도 있습니다. 돈이 아까워 질 수도 있습니다. 죄송한 마음을 금치 못하겠습니다.
- U87 계열 마이크 변천사
- 67 (K870) | FET, 48V 팬텀파워(DC-DC 승압) | DC-DC 승압회로, 감도/노이즈 개선, 배터리 제거, 캡슐 변경 | =====U47===== [[instrume... 레이트, 양면의 다이어프램이 전기적,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음, 멀티 패턴에 대한 일관된 감도 유지 가능. * 48V 팬텀파워 또는 6V 배터리로 동작 (팬텀파워가 없던 환경에 대... 7 복각 마이크들은 K87 캡슐 카피를 사용한다.)) * 솔리드 스테이트 회로 * 감도 및 신호대잡음비 개선, 배터리 구동 삭제 * 캡슐 변경(K87→K67)으로 사운드 특
- 마이크와 마이크 프리앰프 게인 스트럭처
- 오디오 신호를 얻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Neumann U87 Ai 마이크의 경우 감도와 셀프 노이즈, 그리고 최대 출력 레벨을 기준으로 다이내믹 레인지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셀프 노이즈 값인 12dBA와 감도 값을 이용해서 계산하면 U87 Ai의 셀프 노이즈는 약 -111dBu, 그리고 MaxSPL 값인 127dBSPL와 감도 값을 이용해서 계산하면, 최대 출력 레벨은 +5dBu로, 다이내믹 레인지는 -111dBu
- 프리앰프 노이즈와 게인의 상관관계
- 한다.** 그러나 여기에 마이크의 Self-noise 레벨을 적용하면, 다음과 같다. 감도가 16mV/Pa인 마이크가 10dBA의 Self-noise 레벨을 가진다면, 이 마이크의
- 파워 앰프의 정격 출력과 스피커의 허용 전력
- 렸을까?]] ===클리핑 발생 원인 === * **전력 부족**: - 감도 85dBSPL/Watt 스피커로 105dBSPL(Peak), 85dBSPL(RMS)를 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