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뮤직_비즈니스:대중문화예술기획업:label:음반제작_비즈니스_모델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뮤직_비즈니스:대중문화예술기획업:label:음반제작_비즈니스_모델 [2025/05/19] 정승환뮤직_비즈니스:대중문화예술기획업:label:음반제작_비즈니스_모델 [2025/05/19] (현재) – [인디/독립 제작 모델] 정승환
줄 3: 줄 3:
 음악 제작 단계에서의 비즈니스 모델과 이해관계자(투자자, 제작사/레이블, 프로듀서, 아티스트) 간 관계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합니다. 아래에서는 대표적인 세 가지 케이스를 중심으로 구조와 특징을 설명합니다. 음악 제작 단계에서의 비즈니스 모델과 이해관계자(투자자, 제작사/레이블, 프로듀서, 아티스트) 간 관계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합니다. 아래에서는 대표적인 세 가지 케이스를 중심으로 구조와 특징을 설명합니다.
  
-<WRAP> +<WRAP centeralign
-{{ 20250519-040127.png }}+{{ 20250519-040127.png }}\\ 
 +아티스트, 레이블, 프로듀서, CP, OSP
 </WRAP> </WRAP>
  
줄 35: 줄 36:
   * 아티스트가 직접 프로듀서를 섭외해 비용을 지급하고 협업할 수도 있고, 아티스트 본인이 프로듀싱, 작사, 작곡, 연주까지 모두 맡는 DIY 방식도 많습니다.   * 아티스트가 직접 프로듀서를 섭외해 비용을 지급하고 협업할 수도 있고, 아티스트 본인이 프로듀싱, 작사, 작곡, 연주까지 모두 맡는 DIY 방식도 많습니다.
   * 수익 배분 구조는 아티스트가 대부분을 가져가며, 프로듀서나 협업자의 경우 사전 계약에 따라 고정 페이 또는 일정 지분을 배분받습니다.   * 수익 배분 구조는 아티스트가 대부분을 가져가며, 프로듀서나 협업자의 경우 사전 계약에 따라 고정 페이 또는 일정 지분을 배분받습니다.
 +
 +* **유통수익 분배:**  
 +  * 유통수익은 아티스트(혹은 아티스트 팀)에게 입금된다. 이 경우, 프로듀서와 지분 계약을 맺더라도, 실제로 아티스트가 수익을 분배해줘야 한다. 하지만, 인디 아티스트는 개인 또는 소규모로 운영되기 때문에, 계약 이행이 원활하지 않거나, 분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
 +  * **현실적인 계약:** 이런 이유로, 인디 씬에서는 프로듀서에게 일시금(작업비)으로 지급하고, 지분 설정은 하지 않는 경우가 대다수다.
  
 **장점** **장점**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뮤직_비즈니스/대중문화예술기획업/label/음반제작_비즈니스_모델.1747595439.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