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뮤직_비즈니스:저작권_대리중개업:cp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뮤직_비즈니스:저작권_대리중개업:cp [2025/05/02] 정승환뮤직_비즈니스:저작권_대리중개업:cp [2025/06/03] (현재) – [유통사] 정승환
줄 7: 줄 7:
 {{뮤직_비즈니스:20220422-143258.png|외국 유통사}} {{뮤직_비즈니스:20220422-143258.png|외국 유통사}}
  
-레이블과 음원 플랫폼간의 유통을 매개 해주는 업체를 말한다. 음원 유통사는 음원 플랫폼 업체와 **컨텐츠 공급 계약**을 체결((소싱))하여 해당 음원 플랫폼에 음원을 유통하게 된다. +레이블과 음원 플랫폼간의 유통을 매개 해주는 업체를 말한다. 음원 유통사는 음원 플랫폼 업체와 **컨텐츠 공급 계약**을 체결((소싱))하여 OSP(음원 플랫폼)에 음원을 유통하게 된다. 
  
 유통사는 음원 플랫폼에 음원들을 배급해준다.((배급사라고도 한다.)) 유통사는 음원 플랫폼에 음원들을 배급해준다.((배급사라고도 한다.))
  
-쉽게 말해서 독립 아티스트 또는 레이블에서 음원을 제작하면, 유통사는 음원 플랫폼으로 뿌려준다. 구조상 아티스트나 레이블이 직접 음원플랫폼과 거래하기는 불가능하다.+쉽게 말해서 독립 아티스트 또는 레이블에서 음원을 제작하면, 유통사는 음원 플랫폼으로 뿌려준다. 구조상 아티스트나 레이블이 직접 음원 플랫폼과 거래하기는 불가능하다.
  
-사는 보통 산하 레이블(서브 레이블)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 점을 이용하여 개인 아티스트의 경우에는 유통사에 유통을 하게 되면, 유통사 산하의 서브 레이블을 통해 유통이 되는 경우가 많다.+사는 보통 산하 레이블(서브 레이블)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 점을 이용하여 개인 아티스트의 경우에는 유통사에 유통을 하게 되면, 유통사 산하의 서브 레이블을 통해 유통이 되는 경우가 많다.
  
 =====표기===== =====표기=====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뮤직_비즈니스/저작권_대리중개업/cp.1746167814.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