뮤직_비즈니스:distribution:음반수익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뮤직_비즈니스:distribution:음반수익 [2024/08/30] – 제거됨 - 바깥 편집 (Unknown date) 127.0.0.1 | 뮤직_비즈니스:distribution:음반수익 [2025/05/02] (현재) – 정승환 | ||
---|---|---|---|
줄 1: | 줄 1: | ||
+ | ======음반 수익(실물 음반, 오프라인)====== | ||
+ | |||
+ | 대중들이 음반을 구매하거나 스트리밍으로 들을 때 발생하는 수익은 기본적으로 일반 상품 거래처럼 소유권에 대한 이전이 발생하는 수익이 아니고 **음악을 들을 수 있는 권리인 라이선스(License)**를 구매한 것이다. 따라서 음반 수익은 실제의 물건의 가치를 판매하는 것이라기 보다는 권리를 판매하는 개념으로 보야하며 그에 따라 음반 수익은 **저작권**에 관한 수익과 **저작인접권** 수익으로 이루어져 있다. 어떤 음악의 소유권(지식재산권, | ||
+ | |||
+ | 여기서 말하는 **음반 수익**은 CD나 카세트 테이프 또는 레코드판 등 실물 음반의 **오프라인 수익**을 다룬다. | ||
+ | |||
+ | {{ : | ||
+ | |||
+ | ===저작권 수익=== | ||
+ | |||
+ | 저작권은 저작인격권과 저작재산권의 2가지로 이루어져 있다. 저작권 수익은 저작재산권에 근거해서 발생한다. | ||
+ | |||
+ | * 멜로디를 작곡해서 얻어지는 저작권 수익 : 5/12 | ||
+ | * 가사를 작사해서 얻어지는 저작권 수익 : 5/12 | ||
+ | * 음악을 편곡해서 얻어지는 저작권 수익 : 2/12 | ||
+ | |||
+ | |||
+ | ===저작인접권 수익=== | ||
+ | |||
+ | * 음반 판매 수익 : 음반을 유통하거나 음원을 다운로드 판매/ | ||
+ | * 실연자 수익 : 음원을 노래하거나 연주한 것에 대한 " | ||
+ | |||
+ | =====오프라인 수익(음반 수익)===== | ||
+ | |||
+ | 실제의 음반을 유통, 판매 하여 얻어지는 수익. | ||
+ | |||
+ | * 실제의 음반 수익은 제작자, 아티스트 간의 계약 조항 과 유통 마진에 따라 다를 수 있다. | ||
+ | * 오프라인 수익은 다시 음반 판매 수익(저작인접권 수익)과, 저작권 수익으로 나뉜다. | ||
+ | |||
+ | 오프라인 음반의 경우는 음반을 판매할 때 저작권의 징수가 쉽지 않다. 오래전에는 작곡/ | ||
+ | |||
+ | 이와 비슷하게 레코딩 세션을 한 실연자의 수익도 레코딩 세션 비용으로 일괄 지급되는 경우가 많았다. 실연자 중에서 소속 아티스트의 경우에만 음반 판매 대금을 비율대로 정산 받을 수 있었다. 이러한 문제가 있었기 때문에 온라인 음반 시장으로 전환된 이후에는 음악 실연자 협회가 설립되어 실연권에 대한 분배 업무를 맡고 있다. | ||
+ | |||
+ | ====수익 분배==== | ||
+ | |||
+ | * **음반 판매 수익(저작인접권)** : 제작사(레이블)에서 판매 수익을 아티스트와의 계약 조건에 따라 서로 분배한다. | ||
+ | * **유통 수익(저작인접권)** : 도매점과 소매점은 음반의 유통 마진을 이용하여 수익을 얻는다. | ||
+ | * **저작권 수익** : 음반 제작 부수에 따라서 곡비, 작사비, 편곡비 등으로 일괄 지급 및 저작권 인지 비용로 지급 | ||
+ | * **실연자 수익(저작인접권)** : 레코딩 세션 비용으로 일괄 지급 | ||
+ | |||
+ | ====실제 예시==== | ||
+ | |||
+ | **픽션입니다!** | ||
+ | |||
+ | * 제작자 : 리버사이드 재즈 | ||
+ | * 아티스트 : 뮤탈리카 | ||
+ | * 저작자 : 실리비헌 | ||
+ | ===음반 판매 수익(저작인접권)=== | ||
+ | 4인조 롹밴드 뮤탈리카는 유명한 음반 레이블인 리버사이드 재즈와 계약하여 음반 판매 수익의 30%를 받고 모든 음반 제작 비용은 리버사이드 재즈에서 부담하는 조건으로, | ||
+ | |||
+ | 이때 유통사에 판매한 도매 가격이 음반 한개 당 가격이 1만원(소매 시장에서 대중들이 구매한 가격은 2만원, 이 경우 유통 마진은 1만원으로 도매점과 소매점의 수익에 해당한다.)이었는데 10만장이 팔렸다. 이 경우 10억의 수익이 예상되므로, | ||
+ | |||
+ | ===저작권 수익=== | ||
+ | 이때 사실 뮤탈리카의 모든 곡을 작곡/ | ||
+ | |||
+ | ===실연자 수익(저작인접권)=== | ||
+ | 오프라인 음반 판매량에 대한 실연권에 대한 정산에 대해서는 이제까지는 실질적인 방법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음반 제작시에 세션비용으로 미리 선금을 받고 연주를 했다. 이미 발표된 음반이 디지털 음원으로 다시 서비스 되는 것에 대한 실연권 수익은 실연자 협회가 설립됨으로 인하여 받을 수 있게 되었다. | ||
+ | |||
+ | {{tag> | ||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