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뮤직_비즈니스:media:album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뮤직_비즈니스:media:album [2025/06/02] – [앨범이라는 용어의 기원] 정승환뮤직_비즈니스:media:album [2025/06/24] (현재) 정승환
줄 13: 줄 13:
 ===== 앨범이라는 용어의 기원 ===== ===== 앨범이라는 용어의 기원 =====
  
-앨범이라는 용어는 원래 사진첩에서 유래했다. 비닐 레코드판(특히 78rpm SP나 초기 싱글 레코드) 시대에는 기술적 한계로 인해 한 장의 레코드판(single record)에 1~2곡 정도밖에 수록할 수 없었다. 이 때문에 여러 장의 싱글 레코드를 사진첩처럼 한데 모아 묶어서 판매했는데, 이 패키지를 '앨범(album)'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즉, 앨범은 여러 개의 싱글 레코드를 모아 하나의 책자 형태로 만든 것이 그 기원이다.((아티스트의 여러가지 음원을 한대 묶어 팔던 마켓팅 방법))+앨범이라는 용어는 원래 사진첩에서 유래했다. 비닐 레코드판(특히 78rpm SP나 초기 7" 싱글 레코드) 시대에는 기술적 한계로 인해 한 장의 레코드판(single record)에 1~2곡 정도밖에 수록할 수 없었다. 이 때문에 여러 장의 싱글 레코드를 사진첩처럼 한데 모아 묶어서 판매했는데, 이 패키지를 '앨범(album)'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즉, 앨범은 여러 개의 싱글 레코드를 모아 하나의 책자 형태로 만든 것이 그 기원이다.((아티스트의 여러가지 음원을 한대 묶어 팔던 마켓팅 방법)) 
 + 
 +1960년대 중반부터 음반시장은 싱글(7인치, 한두 곡 수록) 중심에서 12인치 LP(롱플레이, 여러 곡 수록) 앨범 중심으로 빠르게 전환되었습니다. 이 변화의 중심에는 비틀즈, 비치보이스, 핑크플로이드 등 세계적인 아티스트들이 있었으며, 이들은 단일 곡의 히트보다 앨범 전체의 예술적 완성도를 추구하며 음악 산업의 흐름을 바꾸었습니다. 
 + 
 +이전에는 한 곡 또는 두 곡이 담긴 싱글이 시장의 주류였으나, 1960년대 후반부터는 여러 곡이 하나의 레코드에 수록된 앨범이 음악적·상업적으로 더 큰 가치를 지니게 되었습니다. 이는 LP 레코드의 기술적 발전(앞뒤 면에 각각 6곡 이상 수록 가능)과도 맞물려, 아티스트와 레이블 모두에게 앨범 단위 제작과 판매가 경제적으로 더 유리해졌기 때문입니다. 
 + 
 +앨범 단위 판매의 확산은 음악 감상의 방식에도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소비자들은 더 이상 개별 곡이 아닌, 아티스트가 의도한 흐름과 콘셉트에 따라 구성된 앨범 전체를 감상하게 되었고, 이는 앨범 내 곡들의 음량, 음색, 공간감 등 사운드의 일관성 확보가 중요한 과제로 부상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이러한 개념이 후에는 CD 시대에는 Box Set((한 뮤지션의 여러가지 CD 를 묶어 팔기))라는 개념으로 다시 등장하기도 했다. 이러한 개념이 후에는 CD 시대에는 Box Set((한 뮤지션의 여러가지 CD 를 묶어 팔기))라는 개념으로 다시 등장하기도 했다.
 +
 +{{20250602-131554.png}}
 +
 +{{20250602-160723.png}}
 +
 +{{20250602-133436.png}}
 +
 +{{20250602-160100.png}}
  
 {{20250602-131440.png}} {{20250602-131440.png}}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뮤직_비즈니스/media/album.1748837681.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