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리밍
음원, 영상 등을, 사용자의 기기로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여 재생 하는 기술,
스트리밍은 재생 장치의 재생 스펙에 맞춰서 컨텐츠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재생 장치의 해상도가 1080p인 경우에는 영상을 1080p로 실시간 인코딩하여 전송하며, 스마트폰 등의 작은 화면에 전송하는 경우, 그에 따라 화면의 해상도를 작게 인코딩하여 전송한다.1)
스트리밍은 네트워크 망의 전송 상태에 따라 비트레이트를 실시간으로 조절하는 기술 등이 들어간다. 따라서, 네트워크 망이 좋지 않거나, 사용자가 많이 몰리면, 재생 퀄리티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매장용 스트리밍
매장용 스트리밍은 카페, 음식점, 상점 등 영업장에서 매장음악(배경음악, BGM)을 네트워크를 통해 실시간으로 재생하는 서비스입니다.
일반 개인용 스트리밍(예: 멜론, 유튜브 뮤직 등)과 구분되는 점은, 다중 고객을 대상으로 '공연'되는 형태라 추가적인 저작권(공연권, 전송권 등)이 적용된다는 점입니다.
일반 스트리밍과의 차이점
구분 | 개인용 스트리밍 | 매장용 스트리밍 |
이용 목적 | 개인 감상 | 영업장 BGM, 다수 고객에게 재생 |
저작권 적용 범위 | 복제권, 전송권 | 복제권, 전송권+공연권(공중송신권) |
과금 방식 | 정액제, 개인 요금제 | 매장 면적/규모/방문자 수에 따른 별도 과금 |
서비스 예시 | 멜론, 유튜브 뮤직, 지니 등 | 플레이잇, 뮤직카우 매장용, 달뮤직 등 |
저작권 및 법적 고려사항
매장 안에서 음악을 재생할 경우 '공연권'이 적용됩니다. 단순히 인터넷
스트리밍 서비스에 가입했다고 해서 매장 내 재생이 모두 합법인 것은 아닙니다.
-
일반
스트리밍(개인용 계정 등)을 매장에서 사용할 경우
저작권법 위반 소지가 있습니다.
매장용 스트리밍 서비스의 특징
매장용 서비스는 사업자 등록증 확인 등 사업장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서비스 요금은 매장 크기(평수), 매장 수, 예상 고객 수 등에 따라 차등 적용됩니다.
플레이리스트, 장르별 맞춤 제공, 음량 자동 조절 등 오프
라인 환경에 특화된 기능이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