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방송영상:obs:setup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방송영상:obs:setup [2025/01/14] – [인코더] 정승환방송영상:obs:setup [2025/07/09] (현재) – [방송] 정승환
줄 5: 줄 5:
 인터넷 방송은 RTMP라는 프로토콜을 사용합니다. 인터넷 방송은 RTMP라는 프로토콜을 사용합니다.
  
-RTMP는 업로드 주소에 해당하는 RTMP URL 과 암호에 해당하는 "스트림 키로 이루어져있으며 RTMP 와 스트림 키는 방송을 하고자 하는 플랫폼(YouTube, 트위치 등)의 자신의 방송 설정 대쉬보드에서 받아올수 있습니다.+RTMP는 업로드 주소에 해당하는 RTMP URL과 암호에 해당하는 **스트림 키**로 이루어져 있으며 RTMP와 스트림 키는 방송을 하고자 하는 플랫폼(YouTube, 트위치 등)의 자신의 방송 설정 대쉬보드에서 받아올 수 있습니다.
  
-  * **RTMP 주소 : 업로드 주소** +  * **RTMP 주소: 업로드 주소** 
-  * **스트림 키 : 암호**+  * **스트림 키: 암호**
  
-<WRAP box centeralign> +<imgcaption 1 center|YouTube 설정>{{방송영상:obs:20230209-110901.png|YouTube 설정}}</imgcaption>
-{{ 방송영상:obs:20230209-110901.png |YouTube 설정}}\\ +
-YouTube 설정 +
-</WRAP>+
  
 OBS는 기본적으로 YouTube나 트위치 등은 지원하지만 지원하지 않는 방송 플랫폼의 경우는 RTMP 주소와 스트림 키를 직접 입력하면 어디든 방송이 가능합니다. YouTube나 트위치도 RTMP 주소와 스트림 키를 입력하는 사용자 지정 방식으로도 전부 가능합니다. OBS는 기본적으로 YouTube나 트위치 등은 지원하지만 지원하지 않는 방송 플랫폼의 경우는 RTMP 주소와 스트림 키를 직접 입력하면 어디든 방송이 가능합니다. YouTube나 트위치도 RTMP 주소와 스트림 키를 입력하는 사용자 지정 방식으로도 전부 가능합니다.
  
-<WRAP box>{{ 방송영상:obs:20230209-110915.png |사용자 지정 RTMP 주소와 스트림 키 입력 화면}}\\ +<imgcaption 1 center|사용자 지정 RTMP 주소와 스트림 키 입력 화면>{{ 방송영상:obs:20230209-110915.png |사용자 지정 RTMP 주소와 스트림 키 입력 화면}}</imgcaption> 
-사용자 지정 RTMP 주소와 스트림 키 입력 화 + 
-</WRAP>+RTMP 주소와 스트림 키를 이용하는 방법은 다소 어렵고 불편할 수 있고, 방송 설정이 바뀌거나 한다, 송출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을 수 있어 최근에는 로그인을 지원하는 플랫폼은 계정에 로그인하여 방송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출력 탭===== =====출력 탭=====
  
 출력 탭에서는 위에서 설정한 RTMP로 방송 플랫폼에 전송되거나, 녹화 되는 영상/오디오의 품질에 대한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출력 탭에서는 위에서 설정한 RTMP로 방송 플랫폼에 전송되거나, 녹화 되는 영상/오디오의 품질에 대한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 
  
 ====출력방식==== ====출력방식====
줄 33: 줄 28:
 ====방송====  ====방송==== 
  
-- 방송 송출되는 영상의 화질에 대한 설정입니다. 실제로 영상의 오리지널 소스를 인코딩(압축)하지 않으면 데이터량(비트레이트)이 매우 크기 때문에, 업로드 서버의 상태나 인터넷망의 속도의 제한 때문에, 영상 스트림을 제대로 전송하기가 힘듭니다. 영상을 제시간에 제대로 전송하지 못하면 영상이 끊기거나 하겠죠? 따라서, 영상을 OBS에서 방송 서버로 실시간 업로드할 때 실시간 압축(인코딩)하여 용량을 줄여서 내보내게 됩니다. 그것에 대한 설정을 하게 됩니다. 세세한 설정은 해당 인코딩(압축)에 대한 압축률이나 방식 등등 세부 옵션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방송 송출되는 영상의 화질에 대한 설정입니다. 실제로 영상의 오리지널 소스를 인코딩(압축)하지 않으면 데이터량(비트레이트)이 매우 크기 때문에, 업로드 서버의 상태나 인터넷 망의 속도의 제한 때문에, 영상 스트림을 제대로 전송하기가 힘듭니다. 영상을 제시간에 제대로 전송하지 못하면 영상이 끊기거나 하겠죠? 따라서, 영상을 OBS에서 방송 서버로 실시간 업로드할 때 실시간 압축(인코딩)하여 용량을 줄여서 내보내게 됩니다. 그것에 대한 설정을 하게 됩니다. 세세한 설정은 해당 인코딩(압축)에 대한 압축률이나 방식 등등 세부 옵션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imgcaption 1 center|방송탭>{{방송영상:obs:20230209-110930.png|방송탭}}</imgcaption>
  
-{{방송영상:obs:20230209-110930.png}} 
    
 ===인코더=== ===인코더===
줄 43: 줄 39:
   * X264 - CPU가 연산하여 영상을 인코딩합니다.    * X264 - CPU가 연산하여 영상을 인코딩합니다. 
  
-인코더에 대해서는 사실 가장 좋은 화질로 인코딩할 수 있는 인코더는 X264 입니다. 하지만 그렇게하기 위해서는 CPU 점유율이 100% 정도로 올라가게 되고, 드롭 프레임이 많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X264의 설정을 줄여서 화질을 낮추게 되면, CPU는 좀 편안하게 동작하지만, 화질이 하드웨어 인코더보다 많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실제로 X264 경우는 영상 편집 프로그램에서 결과물을 렌더링할 때(비실시간) 많이 사용하는 인코더라고 볼 수 있습니다. 실시간 라이브 방송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볼 수 있습니다.(물론 CPU가 아주 좋으면 실시간 라이브 방송에도 어느 정도 사용은 할 수 있습니다.)+인코더에 대해서는 사실 가장 좋은 화질로 인코딩할 수 있는 인코더는 X264 입니다. 하지만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CPU 점유율이 100% 정도로 올라가게 되고, 드롭 프레임이 많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X264의 설정을 줄여서 화질을 낮추게 되면, CPU는 좀 편안하게 동작하지만, 화질이 하드웨어 인코더보다 많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실제로 X264 경우는 영상 편집 프로그램에서 결과물을 렌더링할 때(비실시간) 많이 사용하는 인코더라고 볼 수 있습니다. 실시간 라이브 방송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볼 수 있습니다.(물론 CPU가 아주 좋으면 실시간 라이브 방송에도 어느 정도 사용은 할 수 있습니다.)
  
 {{방송영상:obs:20230209-110946.png}} {{방송영상:obs:20230209-110946.png}}
  
-NVENC와 QSV는 그래픽 카드를 사용는 인코더입니다. GPU 파워의 영향을 받게 되는데 소스 영상이 해상도가 높고 인코더의 설정을 높게해야 할 경우 고급형 엔비디아 그래픽 카드를 사용하여 NVENC를 쓰면 많이 유리합니다. 하지만 인텔 내장 GPU 정도로도 충분한 해상도나 화질의 영상은 QSV로도 비슷한 화질의 영상이 가능합니다. 화질 및 속도는 NVENC가 좀더 유리하다고 알려져 있으나 QSV도 크게 차이가 나지는 않는다고 합니다. 인코더 설정을 최대로 높게 해서 GPU의 사용량을 모니터링 해보고 결정하면 좋을듯 합니다.+NVENC와 QSV는 그래픽 카드를 사용는 인코더입니다. GPU 파워의 영향을 받게 되는데 소스 영상이 해상도가 높고 인코더의 설정을 높게해야 할 경우 고급형 엔비디아 그래픽 카드를 사용하여 NVENC를 쓰면 많이 유리합니다. 하지만 인텔 내장 GPU 정도로도 충분한 해상도나 화질의 영상은 QSV로도 비슷한 화질의 영상이 가능합니다. 화질 및 속도는 NVENC가 좀 더 유리하다고 알려져 있으나 QSV도 크게 차이가 나지는 않는다고 합니다. 인코더 설정을 최대로 높게 해서 GPU의 사용량을 모니터링 해보고 결정하면 좋을 듯 합니다.
  
-NVIDIA 그래픽카드를 사용하면서 게임 방송을 하는 경우에는 그래픽 카드로는 게임 화면을 연산하기 때문에 Intel 내장 GPU QSV로 따로 독립적으로 방송 송출 인코딩을 하면 많이 도움이 됩니다.+NVIDIA 그래픽 카드를 사용하면서 게임 방송을 하는 경우에는 그래픽 카드로는 게임 화면을 연산하기 때문에 Intel 내장 GPU QSV로 따로 독립적으로 방송 송출 인코딩을 하면 많이 도움이 됩니다.
  
   * 출력 배율 재조정: 방송 플랫폼으로 송출되는 스트림의 해상도를 재조정합니다.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크게 필요 없습니다. 출력 해상도를 재조정하는 것도 GPU나 CPU를 사용하게 됩니다.   * 출력 배율 재조정: 방송 플랫폼으로 송출되는 스트림의 해상도를 재조정합니다.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크게 필요 없습니다. 출력 해상도를 재조정하는 것도 GPU나 CPU를 사용하게 됩니다.
줄 62: 줄 58:
   * Slow, Fast : 인코딩 속도   * Slow, Fast : 인코딩 속도
  
-Quality로 놓으면 실시간 속도가 좀 느리더라도 화질 중심으로 인코딩 작동하고, Balanced로 놓았을 때는 속도와 품질이 둘다 균형있게 맞춰집니다. 인코딩 속도가 빠르면 영상이 인코딩에 의해 딜레이 되는 정도가 줄어들지만 화질은 더더욱 안좋아지게 됩니다. Balanced를 기본으로 사용하고 조금 GPU 파워가 남는다 싶으면 Quality 로 설정하면 화질에 좀더 이득을 볼수 있습니다.+Quality로 놓으면 실시간 속도가 좀 느리더라도 화질 중심으로 인코딩 작동하고, Balanced로 놓았을 때는 속도와 품질이 둘다 균형있게 맞춰집니다. 인코딩 속도가 빠르면 영상이 인코딩에 의해 딜레이 되는 정도가 줄어들지만 화질은 더더욱 안좋아지게 됩니다. Balanced를 기본으로 사용하고 조금 GPU 파워가 남는다 싶으면 Quality 로 설정하면 화질에 좀 더 이득을 볼 수 있습니다.
  
-만약 CPU 네이티브 인코더인 X264 사용 시에 너무 느리게 인코딩이 되서 드롭되는 프레임이 생긴다면 속도 위주로 재조정을 해야합니다. 하지만 하드웨어 인코더(NVECN, QSV)를 사용할 때는 거의 그럴 일은 없습니다.+만약 CPU 네이티브 인코더인 X264 사용 시에 너무 느리게 인코딩이 되서 드롭되는 프레임이 생긴다면 속도 위주로 재조정을 해야 합니다. 하지만 하드웨어 인코더(NVECN, QSV)를 사용할 때는 거의 그럴 일은 없습니다.
  
-코덱을 QSV나 NVENC, X264등으로 설정 후에 아래와 같은 해당 코덱 세부 설정이 있습니다. +코덱을 QSV나 NVENC, X264등으로 설정 후에 아래와 같은 해당 코덱 세부 설정이 있습니다.((사실 QSV나 NVENC, X264 등도 모두 H.264라는 표준 코덱을 기반으로 한 방식들이기 때문에 세부 설정은 전부 비슷비슷합니다.))
- +
-사실 QSV나 NVENC, X264 등도 모두 H.264라는 표준 코덱을 기반으로 한 방식들이기 때문에 세부 설정은 전부 비슷비슷합니다.+
  
 ==Profile== ==Profile==
줄 96: 줄 90:
 ==키프레임 간격== ==키프레임 간격==
  
-보통 영상 인코딩을 하는 방식은 프레임 간의 변동되지 않은 부분을 삭제 해버리고 변동된 부분의 정보만 저장하는 방식이 이용되고 있습니다. 그중에서 키프레임은 그 키가 되는 프레임으로 삭제되는 정보가 없이 화면 전체의 정보를 전부 가지고 있는 "키프레임" 을 말합니다. 키프레임 간격이 2초 라면 2초마다 전체 샷이 저장되고 그 사이의 프레임들은 키프레임 사이의 움직임이 있어 변동된 부분의 정보만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영상을 멈췄을 때 표시되는 간격이 바로 이 키프레임 간격입니다. +보통 영상을 인코딩하는 방식은 프레임 간의 변동되지 않은 부분을 삭제해버리고 변동된 부분의 정보만 저장하는 방식이 이용되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 키프레임은 삭제되는 정보가 없이 화면 전체의 정보를 전부 가지고있는 "키프레임"을 말합니다. 키프레임 간격이 2초 라면 2초마다 전체 샷이 저장되고 그 사이의 프레임들은 키프레임 사이의 움직임이 있어 변동된 부분의 정보만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동영상 플레이어로 영상을 볼 때 정지버튼으로 멈췄을 때 표시되는 간격이 바로 이 키프레임 간격입니다. 
  
 **이 키프레임은?** **이 키프레임은?**
줄 105: 줄 99:
  
 YouTube와 같은 플랫폼은 키프레임 간격을 3초나 2초를 권장하고 있습니다. YouTube와 같은 플랫폼은 키프레임 간격을 3초나 2초를 권장하고 있습니다.
- 
- 
  
 ==데이터율 제어== ==데이터율 제어==
줄 134: 줄 126:
  
 P-frame과 B-frame이 다른 부분은, P-frame은 앞의 키프레임에 비해서 바뀐 정보만을 기록하는 방식에 비하여, B-frame은 앞과 뒤의 프레임을 서로 비교하여 변동 된 정보를 찾아내서 기록하는 방식이라는 점입니다. 그래서 Bi-directional predicted 프레임이라고 합니다. P-frame과 B-frame이 다른 부분은, P-frame은 앞의 키프레임에 비해서 바뀐 정보만을 기록하는 방식에 비하여, B-frame은 앞과 뒤의 프레임을 서로 비교하여 변동 된 정보를 찾아내서 기록하는 방식이라는 점입니다. 그래서 Bi-directional predicted 프레임이라고 합니다.
- 
- 
  
 B-frame은 일반적으로 2나 3정도의 값을 권장합니다. (움직임이 많은 영상일 경우는 0으로 놓아도 좋습니다) B-frame은 일반적으로 2나 3정도의 값을 권장합니다. (움직임이 많은 영상일 경우는 0으로 놓아도 좋습니다)
- 
- 
  
 {{방송영상:obs:20230209-111116.png}} {{방송영상:obs:20230209-111116.png}}
줄 156: 줄 144:
 다만 녹화인 만큼, 방송 플랫폼이 원하는 비트레이트가 아닌, 더 높은 비트레이트를 설정함으로써, 녹화되는 영상의 화질을 좋게 만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녹화되는 파일 용량이 커지게 됩니다. 다만 녹화인 만큼, 방송 플랫폼이 원하는 비트레이트가 아닌, 더 높은 비트레이트를 설정함으로써, 녹화되는 영상의 화질을 좋게 만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녹화되는 파일 용량이 커지게 됩니다.
  
-대체적으로 1080P 영상의 경우에는 캠코더나 카메라에서 레코딩되는 원본 영상들의 경우 25Mbps, 50Mbps 등의 비트레이트로 레코딩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이와 비슷하게 옵션을 설정하여 사용하면, 캠코더나 카메라의 원본 영상의 화질과 비슷한 결과를 얻을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대체적으로 1080P 영상의 경우에는 캠코더나 카메라에서 레코딩되는 원본 영상들의 경우 25Mbps, 50Mbps 등의 비트레이트로 레코딩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이와 비슷하게 옵션을 설정하여 사용하면, 캠코더나 카메라의 원본 영상의 화질과 비슷한 결과를 얻을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4K 의 경우에는 100Mbps )
- +
-(4K 의 경우에는 100Mbps ) +
- +
-단위에 조심하세요. 25Mbps = 25000kbps. +
  
 +>단위에 조심하세요. 25Mbps = 25,000kbps.
  
 방송과 녹화를 동시에 하는 경우 높은 GPU 사용량이 요구 되므로 GPU 점유율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방송과 녹화를 동시에 하는 경우 높은 GPU 사용량이 요구 되므로 GPU 점유율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왠만하면 I3나 I5 이상 급의 CPU에 내장된 QSV 아래로는 방송과 녹화를 동시에 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방송과 녹화를 동시에 해야하는 경우는 NVENC 사용을 권장합니다. 내장된 저장 매체의 읽기/쓰기 속도도 중요하므로 SDXC나 SDD에 녹화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사전에 충분한 읽기/쓰기 속도가 나오는지 속도 테스트를 꼭 해보시기 바랍니다.)+왠만하면 I3나 I5 이상 급의 CPU에 내장된 QSV 아래로는 방송과 녹화를 동시에 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방송과 녹화를 동시에 해야 하는 경우는 NVENC 사용을 권장합니다. 내장된 저장 매체의 읽기/쓰기 속도도 중요하므로 SDXC나 SDD에 녹화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사전에 충분한 읽기/쓰기 속도가 나오는지 속도 테스트를 꼭 해보시기 바랍니다.)
  
 {{방송영상:obs:20230209-111132.png}} {{방송영상:obs:20230209-111132.png}}
줄 186: 줄 170:
  
   * 단축키 - 누르면 말하기, 누르면 음소거 단축키로 동작할 오디오 입력/출력을 체크할 수 있습니다. 해당 단축키 설정은 단축키 탭에서 할 수 있습니다.   * 단축키 - 누르면 말하기, 누르면 음소거 단축키로 동작할 오디오 입력/출력을 체크할 수 있습니다. 해당 단축키 설정은 단축키 탭에서 할 수 있습니다.
- 
- 
  
 =====비디오===== =====비디오=====
줄 205: 줄 187:
  
 "미리 보기" 를 출력하는 것도 CPU 와 GPU 퍼포먼스를 사용합니다 "미리 보기" 를 출력하는 것도 CPU 와 GPU 퍼포먼스를 사용합니다
- 
- 
  
 =====단축키===== =====단축키=====
줄 224: 줄 204: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
 +{{soundcloud>riversidejazz/sets/recordingsamples?full }}\\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방송영상/obs/setup.1736855162.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