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영상:obs:setup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 방송영상:obs:setup [2025/07/09] – 정승환 | 방송영상:obs:setup [2025/09/15] (현재) – 정승환 | ||
|---|---|---|---|
| 줄 10: | 줄 10: | ||
| * **스트림 키: 암호** | * **스트림 키: 암호** | ||
| - | < | + | < |
| OBS는 기본적으로 YouTube나 트위치 등은 지원하지만 지원하지 않는 방송 플랫폼의 경우는 RTMP 주소와 스트림 키를 직접 입력하면 어디든 방송이 가능합니다. YouTube나 트위치도 RTMP 주소와 스트림 키를 입력하는 사용자 지정 방식으로도 전부 가능합니다. | OBS는 기본적으로 YouTube나 트위치 등은 지원하지만 지원하지 않는 방송 플랫폼의 경우는 RTMP 주소와 스트림 키를 직접 입력하면 어디든 방송이 가능합니다. YouTube나 트위치도 RTMP 주소와 스트림 키를 입력하는 사용자 지정 방식으로도 전부 가능합니다. | ||
| - | < | + | < |
| RTMP 주소와 스트림 키를 이용하는 방법은 다소 어렵고 불편할 수 있고, 방송 설정이 바뀌거나 한다면, 송출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을 수 있어 최근에는 로그인을 지원하는 플랫폼은 계정에 로그인하여 방송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 RTMP 주소와 스트림 키를 이용하는 방법은 다소 어렵고 불편할 수 있고, 방송 설정이 바뀌거나 한다면, 송출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을 수 있어 최근에는 로그인을 지원하는 플랫폼은 계정에 로그인하여 방송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 ||
| 줄 30: | 줄 30: | ||
| - 방송 송출되는 영상의 화질에 대한 설정입니다. 실제로 영상의 오리지널 소스를 인코딩(압축)하지 않으면 데이터량(비트레이트)이 매우 크기 때문에, 업로드 서버의 상태나 인터넷 망의 속도의 제한 때문에, 영상 스트림을 제대로 전송하기가 힘듭니다. 영상을 제시간에 제대로 전송하지 못하면 영상이 끊기거나 하겠죠? 따라서, 영상을 OBS에서 방송 서버로 실시간 업로드할 때 실시간 압축(인코딩)하여 용량을 줄여서 내보내게 됩니다. 그것에 대한 설정을 하게 됩니다. 세세한 설정은 해당 인코딩(압축)에 대한 압축률이나 방식 등등 세부 옵션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 방송 송출되는 영상의 화질에 대한 설정입니다. 실제로 영상의 오리지널 소스를 인코딩(압축)하지 않으면 데이터량(비트레이트)이 매우 크기 때문에, 업로드 서버의 상태나 인터넷 망의 속도의 제한 때문에, 영상 스트림을 제대로 전송하기가 힘듭니다. 영상을 제시간에 제대로 전송하지 못하면 영상이 끊기거나 하겠죠? 따라서, 영상을 OBS에서 방송 서버로 실시간 업로드할 때 실시간 압축(인코딩)하여 용량을 줄여서 내보내게 됩니다. 그것에 대한 설정을 하게 됩니다. 세세한 설정은 해당 인코딩(압축)에 대한 압축률이나 방식 등등 세부 옵션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
| - | {{방송영상: | + | < |
| ===인코더=== | ===인코더=== | ||
| 줄 40: | 줄 41: | ||
| 인코더에 대해서는 사실 가장 좋은 화질로 인코딩할 수 있는 인코더는 X264 입니다. 하지만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CPU 점유율이 100% 정도로 올라가게 되고, 드롭 프레임이 많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X264의 설정을 줄여서 화질을 낮추게 되면, CPU는 좀 편안하게 동작하지만, | 인코더에 대해서는 사실 가장 좋은 화질로 인코딩할 수 있는 인코더는 X264 입니다. 하지만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CPU 점유율이 100% 정도로 올라가게 되고, 드롭 프레임이 많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X264의 설정을 줄여서 화질을 낮추게 되면, CPU는 좀 편안하게 동작하지만, | ||
| - | {{방송영상: | + | < |
| NVENC와 QSV는 그래픽 카드를 사용하는 인코더입니다. GPU 파워의 영향을 받게 되는데 소스 영상이 해상도가 높고 인코더의 설정을 높게해야 할 경우 고급형 엔비디아 그래픽 카드를 사용하여 NVENC를 쓰면 많이 유리합니다. 하지만 인텔 내장 GPU 정도로도 충분한 해상도나 화질의 영상은 QSV로도 비슷한 화질의 영상이 가능합니다. 화질 및 속도는 NVENC가 좀 더 유리하다고 알려져 있으나 QSV도 크게 차이가 나지는 않는다고 합니다. 인코더 설정을 최대로 높게 해서 GPU의 사용량을 모니터링 해보고 결정하면 좋을 듯 합니다. | NVENC와 QSV는 그래픽 카드를 사용하는 인코더입니다. GPU 파워의 영향을 받게 되는데 소스 영상이 해상도가 높고 인코더의 설정을 높게해야 할 경우 고급형 엔비디아 그래픽 카드를 사용하여 NVENC를 쓰면 많이 유리합니다. 하지만 인텔 내장 GPU 정도로도 충분한 해상도나 화질의 영상은 QSV로도 비슷한 화질의 영상이 가능합니다. 화질 및 속도는 NVENC가 좀 더 유리하다고 알려져 있으나 QSV도 크게 차이가 나지는 않는다고 합니다. 인코더 설정을 최대로 높게 해서 GPU의 사용량을 모니터링 해보고 결정하면 좋을 듯 합니다. | ||
| 줄 48: | 줄 49: | ||
| * 출력 배율 재조정: 방송 플랫폼으로 송출되는 스트림의 해상도를 재조정합니다.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크게 필요 없습니다. 출력 해상도를 재조정하는 것도 GPU나 CPU를 사용하게 됩니다. | * 출력 배율 재조정: 방송 플랫폼으로 송출되는 스트림의 해상도를 재조정합니다.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크게 필요 없습니다. 출력 해상도를 재조정하는 것도 GPU나 CPU를 사용하게 됩니다. | ||
| - | {{방송영상: | + | < |
| ==목표 사용 수준== | ==목표 사용 수준== | ||
| 줄 112: | 줄 113: | ||
| YouTube의 경우는 디폴트 스트림키 말고 새로 스트림 키를 만들 때 지정할 수 있는데 아래와 같습니다. OBS에서 해당 스트림 키와 서로 맞춰주면 됩니다. | YouTube의 경우는 디폴트 스트림키 말고 새로 스트림 키를 만들 때 지정할 수 있는데 아래와 같습니다. OBS에서 해당 스트림 키와 서로 맞춰주면 됩니다. | ||
| - | {{방송영상: | + | < |
| ==B-frame== | ==B-frame== | ||
| 줄 120: | 줄 121: | ||
| 그런데 여기에 추가로 B-frame을 도입하게 됩니다. | 그런데 여기에 추가로 B-frame을 도입하게 됩니다. | ||
| - | {{방송영상: | + | < |
| B-frame은 앞뒤로 프레임을 비교하여, | B-frame은 앞뒤로 프레임을 비교하여, | ||
| 줄 128: | 줄 129: | ||
| B-frame은 일반적으로 2나 3정도의 값을 권장합니다. (움직임이 많은 영상일 경우는 0으로 놓아도 좋습니다) | B-frame은 일반적으로 2나 3정도의 값을 권장합니다. (움직임이 많은 영상일 경우는 0으로 놓아도 좋습니다) | ||
| - | {{방송영상: | + | < |
| 줄 151: | 줄 152: | ||
| 왠만하면 I3나 I5 이상 급의 CPU에 내장된 QSV 아래로는 방송과 녹화를 동시에 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방송과 녹화를 동시에 해야 하는 경우는 NVENC 사용을 권장합니다. 내장된 저장 매체의 읽기/ | 왠만하면 I3나 I5 이상 급의 CPU에 내장된 QSV 아래로는 방송과 녹화를 동시에 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방송과 녹화를 동시에 해야 하는 경우는 NVENC 사용을 권장합니다. 내장된 저장 매체의 읽기/ | ||
| - | {{방송영상: | + | < |
| =====오디오===== | =====오디오===== | ||
| - | {{방송영상: | + | < |
| * 샘플링 레이트 - 디지털 오디오의 초당 샘플 갯수 설정, 일반적으로는 48kHz | * 샘플링 레이트 - 디지털 오디오의 초당 샘플 갯수 설정, 일반적으로는 48kHz | ||
| 줄 164: | 줄 165: | ||
| * 측정기 - 미터, 오디오 믹서의 미터의 동작 방식을 설정합니다. True-peak는 정확한 피크값을 보여주지만 CPU 사용량이 많아집니다. | * 측정기 - 미터, 오디오 믹서의 미터의 동작 방식을 설정합니다. True-peak는 정확한 피크값을 보여주지만 CPU 사용량이 많아집니다. | ||
| * 고급 - 감시 장치(Monitoring) - 스트림으로 나가는 소리에 대한 모니터링 스피커 설정, 이 기능이 켜져 있으면, 스피커로 나오는 소리가 다시 마이크로 집음되어 에코 현상 등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디폴트로 꺼져 있습니다. 헤드폰 등으로 모니터링이 필요할 시에 켜서 사용하면 됩니다. 모니터링은 편집- 오디오 고급 설정 에서 지정할 수 있습니다. | * 고급 - 감시 장치(Monitoring) - 스트림으로 나가는 소리에 대한 모니터링 스피커 설정, 이 기능이 켜져 있으면, 스피커로 나오는 소리가 다시 마이크로 집음되어 에코 현상 등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디폴트로 꺼져 있습니다. 헤드폰 등으로 모니터링이 필요할 시에 켜서 사용하면 됩니다. 모니터링은 편집- 오디오 고급 설정 에서 지정할 수 있습니다. | ||
| + | * 단축키 - 누르면 말하기, 누르면 음소거 단축키로 동작할 오디오 입력/ | ||
| - | {{방송영상: | + | < |
| - | + | ||
| - | * 단축키 - 누르면 말하기, 누르면 음소거 단축키로 동작할 | + | 오디오 |
| + | * 라이브 방송의 경우는 1번 트랙으로 | ||
| + | * 녹화의 경우에는 하나의 동영상 파일안에 6개의 스테레오 트랙이 포함될 | ||
| + | > | ||
| + | < | ||
| =====비디오===== | =====비디오===== | ||
| - | {{방송영상: | + | < |
| - | 비디오탭의 내용은 OBS에서 방송나가는 화면을 볼 수 있는 " | + | 비디오탭의 내용은 OBS에서 방송나가는 화면을 볼 수 있는 " |
| - | {{방송영상: | + | < |
| * 기본 해상도 - 기본 해상도 | * 기본 해상도 - 기본 해상도 | ||
| * 출력 해상도 - 미리 보기에 나오는 해상도 | * 출력 해상도 - 미리 보기에 나오는 해상도 | ||
| - | * 축소 필터 - 미리 보기의 기본 해상도가 1080p 등 방송 해상도 정도 되지만 실제 OBS 미리 보기는 화면 크기가 작습니다. 그러한 미리 보기 표현에 사용하는 알고리즘을 고를 수 있습니다. 각 필터에 대한 설명은 아래와 같습니다. | + | * 축소 필터 - 미리 보기의 기본 해상도가 1080p 등 방송 해상도 정도 되지만 실제 OBS 미리 보기는 화면 크기가 작습니다. 또한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서 화면 사이즈를 변경해서 출력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한 미리 보기 표현에 사용하는 알고리즘을 고를 수 있습니다. 각 필터에 대한 설명은 아래와 같습니다. |
| - | {{방송영상: | + | < |
| " | " | ||
| 줄 189: | 줄 194: | ||
| =====단축키===== | =====단축키===== | ||
| - | 큰 설명이 필요 없을 것 같습니다. | + | OBS 에서 사용되는 동작들에 대한 단축키를 |
| - | {{방송영상: | + | < |
| =====고급===== | =====고급===== | ||
| - | {{방송영상: | + | < |
| * 일반 - 프로세스 우선순위 설정, 방송을 안정성 있게 하려면 " | * 일반 - 프로세스 우선순위 설정, 방송을 안정성 있게 하려면 " | ||
| - | + | | |
| - | | + | |
|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 ||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방송영상/obs/setup.1751991358.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저자 정승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