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방송영상:obs:setup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방송영상:obs:setup [2025/09/15] – [비트레이트] 정승환방송영상:obs:setup [2025/09/15] (현재) 정승환
줄 152: 줄 152:
 왠만하면 I3나 I5 이상 급의 CPU에 내장된 QSV 아래로는 방송과 녹화를 동시에 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방송과 녹화를 동시에 해야 하는 경우는 NVENC 사용을 권장합니다. 내장된 저장 매체의 읽기/쓰기 속도도 중요하므로 SDXC나 SDD에 녹화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사전에 충분한 읽기/쓰기 속도가 나오는지 속도 테스트를 꼭 해보시기 바랍니다.) 왠만하면 I3나 I5 이상 급의 CPU에 내장된 QSV 아래로는 방송과 녹화를 동시에 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방송과 녹화를 동시에 해야 하는 경우는 NVENC 사용을 권장합니다. 내장된 저장 매체의 읽기/쓰기 속도도 중요하므로 SDXC나 SDD에 녹화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사전에 충분한 읽기/쓰기 속도가 나오는지 속도 테스트를 꼭 해보시기 바랍니다.)
  
-<imgcaption image9 center|>{{방송영상:obs:20230209-111132.png}}</imgcaption>+<imgcaption image9 center|녹화 탭>{{방송영상:obs:20230209-111132.png}}</imgcaption>
  
 =====오디오===== =====오디오=====
줄 165: 줄 165:
   * 측정기 - 미터, 오디오 믹서의 미터의 동작 방식을 설정합니다. True-peak는 정확한 피크값을 보여주지만 CPU 사용량이 많아집니다.   * 측정기 - 미터, 오디오 믹서의 미터의 동작 방식을 설정합니다. True-peak는 정확한 피크값을 보여주지만 CPU 사용량이 많아집니다.
   * 고급 - 감시 장치(Monitoring) - 스트림으로 나가는 소리에 대한 모니터링 스피커 설정, 이 기능이 켜져 있으면, 스피커로 나오는 소리가 다시 마이크로 집음되어 에코 현상 등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디폴트로 꺼져 있습니다. 헤드폰 등으로 모니터링이 필요할 시에 켜서 사용하면 됩니다. 모니터링은 편집- 오디오 고급 설정 에서 지정할 수 있습니다.   * 고급 - 감시 장치(Monitoring) - 스트림으로 나가는 소리에 대한 모니터링 스피커 설정, 이 기능이 켜져 있으면, 스피커로 나오는 소리가 다시 마이크로 집음되어 에코 현상 등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디폴트로 꺼져 있습니다. 헤드폰 등으로 모니터링이 필요할 시에 켜서 사용하면 됩니다. 모니터링은 편집- 오디오 고급 설정 에서 지정할 수 있습니다.
 +  * 단축키 - 누르면 말하기, 누르면 음소거 단축키로 동작할 오디오 입력/출력을 체크할 수 있습니다. 해당 단축키 설정은 단축키 탭에서 할 수 있습니다.
  
 <imgcaption image11 center|>{{방송영상:obs:20230209-112310.png}}</imgcaption> <imgcaption image11 center|>{{방송영상:obs:20230209-112310.png}}</imgcaption>
-  
  
-  * 단축키 - 누르면 말하기, 누르면 음소거 단축키로 동작할 오디오 입력/출력을 체크할 수 있습니다. 해당 단축키 설정은 단축키 탭서 할 수 있습니다.+오디오 고급 설정에서는 각 오디오 소스에 대한 **트랙**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  * 라이브 방송의 경우는 1번 트랙으로 설정한 오디오 소스들이 동일한 비율로 믹스되어 송출됩니다. 송출되어야 할 오디오들은 1번 트랙에 체크되어야 합니다. 
 +  * 녹화의 경우에는 하나의 동영상 파일안에 6개의 스테레오 트랙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각각의 오디오 소스들이 어느 트랙으로 녹음 될 것 인지를 결정하게 됩니다. 
  
 +>오디오 고급 설정은 설정 메뉴에서 찾을 수 없습니다. OBS의 오디오 믹서 파트의 아래에 있는 톱니바퀴 아이콘을 누르면 나타납니다.
 +<imgcaption image12 center|오디오 고급 설정: 왼쪽 아래의 톱니바퀴 버튼>{{20250915-133442.png}}</imgcaption>
 =====비디오===== =====비디오=====
  
-<imgcaption image12 center|>{{방송영상:obs:20230209-112320.png}}</imgcaption>+<imgcaption image13 center|>{{방송영상:obs:20230209-112320.png}}</imgcaption>
  
  
-비디오탭의 내용은 OBS에서 방송나가는 화면을 볼 수 있는 "미리 보기" 에 대한 설정입니다.+비디오탭의 내용은 OBS에서 방송나가는 화면을 볼 수 있는 "미리 보기"에 대한 설정입니다.
  
-<imgcaption image13 center|>{{방송영상:obs:20230209-112328.png}}</imgcaption>+<imgcaption image14 center|>{{방송영상:obs:20230209-112328.png}}</imgcaption>
  
   * 기본 해상도 - 기본 해상도   * 기본 해상도 - 기본 해상도
   * 출력 해상도 - 미리 보기에 나오는 해상도   * 출력 해상도 - 미리 보기에 나오는 해상도
-  * 축소 필터 - 미리 보기의 기본 해상도가 1080p 등 방송 해상도 정도 되지만 실제 OBS 미리 보기는 화면 크기가 작습니다. 그러한 미리 보기 표현에 사용하는 알고리즘을 고를 수 있습니다. 각 필터에 대한 설명은 아래와 같습니다.+  * 축소 필터 - 미리 보기의 기본 해상도가 1080p 등 방송 해상도 정도 되지만 실제 OBS 미리 보기는 화면 크기가 작습니다. 또한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서 화면 사이즈를 변경해서 출력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한 미리 보기 표현에 사용하는 알고리즘을 고를 수 있습니다. 각 필터에 대한 설명은 아래와 같습니다.
  
-<imgcaption image14 center|>{{방송영상:obs:20230209-112335.png}}</imgcaption>+<imgcaption image15 center|>{{방송영상:obs:20230209-112335.png}}</imgcaption>
  
 "미리 보기" 를 출력하는 것도 CPU 와 GPU 퍼포먼스를 사용합니다 "미리 보기" 를 출력하는 것도 CPU 와 GPU 퍼포먼스를 사용합니다
줄 190: 줄 194:
 =====단축키===== =====단축키=====
  
-큰 명이 필요 없을 것 같습니다.+OBS 에서 사용되는 동작들에 대한 단축키를 정할 수 있습니다.
  
-<imgcaption image15 center|>{{방송영상:obs:20230209-112342.png}}</imgcaption>+<imgcaption image16 center|단축키 설정>{{방송영상:obs:20230209-112342.png}}</imgcaption>
    
  
 =====고급===== =====고급=====
  
-<imgcaption image16 |center>{{방송영상:obs:20230209-112349.png}}</imgcaption>+<imgcaption image17 center|>{{방송영상:obs:20230209-112349.png}}</imgcaption>
  
   * 일반 - 프로세스 우선순위 설정, 방송을 안정성 있게 하려면 "실시간"을 추천드립니다. CPU 점유율은 가장 높습니다.    * 일반 - 프로세스 우선순위 설정, 방송을 안정성 있게 하려면 "실시간"을 추천드립니다. CPU 점유율은 가장 높습니다. 
- +  * 네트워크 - OBS에서 방송을 송출하는데 사용할 네트워크 기기를 고정할 수 있습니다. 기가비트 랜카드 등으로 고정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고정하지 않으면 다른 네트워크 기기((exWiFi)) 등으로 송출 될 수도 있습니다.
-  * 네트워크 - OBS에서 방송을 송출하는데 사용할 네트워크 기기를 고정할 수 있습니다. 기가비트 랜카드 등으로 고정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고정하지 않으면 다른 네트워크 기기 exWiFi 등으로 송출 될 수도 있습니다.+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방송영상/obs/setup.1757909671.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