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악기:compact_pedal:overdrive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악기:compact_pedal:overdrive [2022/10/25] – [앰프 게인] 정승환악기:compact_pedal:overdrive [2024/03/07] (현재) – [페달 오버드라이브] 정승환
줄 3: 줄 3:
 **Overdrive** **Overdrive**
  
-소프트 클리핑에 의한 신호의 왜곡을 음색 효과로 사용하는 이+소프트 클리핑에 의한 신호의 왜곡을 음색 효과로 사용하는 이
  
 =====앰프 게인===== =====앰프 게인=====
-진공관 기타 앰프에서 발생하는 소프트 클리핑을 주로 앰프 게인, 오버드라이브 라고 한다. 진공관 앰프의 소리의 증폭은 크게 프리앰프와 파워앰프라는 2개의 단계를 거쳐 증폭되는데, 이때 프리앰프의 게인 성향((기타 앰프의 프리앰프 부의 진공관은 Bias 를 신호에 맞게 높게 설정하기가 비교적 쉽다. 아주 높은 전압 까지는 필요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Bias를 신호에 비해 높게 설정한 경우는 거의 클린한 증폭이 이루어진다.)) 자체는 보통 클린 부스터에 가까운 깨끗한 증폭이다. 이렇게 증폭된 소리가 파워 앰프부를 거치면서 거칠게 소프트 클리핑 되게 되는데((기타 앰프의 파워앰프 부의 진공관은 Bias 를 아주 높게 설정하기가 힘들다. 매우 높은 전압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소프트 클리핑이 쉽게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만들어진 소리를 오버드라이브 사운드라고 말한다. 즉 실질적으로 소프트 클리핑 사운드인 오버드라이브가 일어나는 부분은 기타 앰프의 파워앰프 부분이라고 볼 수 있다.+진공관 기타 앰프에서 발생하는 소프트 클리핑을 주로 앰프 게인, 오버드라이브 라고 한다. 진공관 앰프의 소리의 증폭은 크게 프리앰프와 파워앰프라는 2개의 단계를 거쳐 증폭되는데, 이때 프리앰프의 게인 성향((기타 앰프의 프리앰프 부의 진공관은 플레이트 전압을 신호에 맞게 높게 설정하기가 비교적 쉽다. 아주 높은 전압 까지는 필요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플레이트 전압을 신호에 비해 높게 설정한 경우는 거의 클린한 증폭이 이루어진다.)) 자체는 보통 클린 부스터에 가까운 깨끗한 증폭이다. 이렇게 증폭된 소리가 파워앰프 부에서 파워앰프의 헤드룸 한계에 가까워지면서 거칠게 소프트 클리핑 되게 되는데((기타 앰프의 파워앰프 부의 진공관은 플레이트 전압이 매우 높다. 하지만 실제로 큰 소릴로 증폭하기 위해 필요한 전력량에는 못미친다. 따라서 소프트 클리핑이 쉽게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만들어진 소리를 오버드라이브 사운드라고 말한다. 즉 실질적으로 소프트 클리핑 사운드인 오버드라이브가 일어나는 부분은 기타 앰프의 파워앰프 부분이라고 볼 수 있다.
  
-풀 진공관 기타 앰프가 아닌 경우에는, 파워 앰프를 Class AB나 Class D 로 제작하게 되는데, Class AB 나 Class D 는 진공관 회로가 아니기 때문에 소프프 클리핑 현상이 다. 이 때는 프리앰프 부에서 Overdrive 스위치를 통해 프리앰프에서 소프트 클리핑을 시켜주는 회로((진공관, 또는 소프트 클리핑 구현 회로))를 내장하여 앰프 게인의 오버드라이브를 구현한다.+풀 진공관 기타 앰프가 아닌 경우에는, 파워앰프를 솔리드 스테이트 회로로 제작하게 되는데, 진공관 회로가 아니기 때문에 소프트 클리핑이 일어나기 힘들다. 이 때는 프리앰프 부에서 Overdrive 스위치를 통해 프리앰프에서 소프트 클리핑을 시켜주는 회로((진공관, 또는 소프트 클리핑 구현 회로))를 내장하여 앰프 게인의 오버드라이브를 구현한다.((필자는 차라리 파워앰프 부를 진공관 회로로 만들고, 프리앰프 부를 솔리드 스테이트로 만드는 앰프는 어떨까?도 한번 생각해 본다.)) 예를 들면 프리앰프에는 진공관을 이용하고, 파워앰프는 솔리드 스테이트로 이루어진 경우가 있는데, 스위치를 통해서 프리앰프부의 진공관 회로에서 소프트 클리핑을 구현((진공관의 바이어스 전류를 조정하거나, 입력되는 신호를 증폭하거나.))하여 앰프 게인의 오버드라이브를 구현한다. 
 + 
 +{{ youtube>_xLoE_QOSV8?large }}\\ 
 + 
 +{{ youtube>xaJRm17O97A?large }}\\
  
 =====페달 오버드라이브===== =====페달 오버드라이브=====
  
-페달 오버드라이브는 다이오드와 같은 소자를 이용하여 소프트 클리핑을 만들어주는 회로를 구성하여 만든다. 잘 만들어진 페달 오버드라이브는 진공관 기타 앰프의 오버드라이브와 상당히 유사한 소리를 들려줄 수도 있다.+페달 오버드라이브는 다이오드와 같은 소자를 이용하여 소프트 클리핑을 유사하게 만들어주는 회로를 구성하여 만든다. 잘 만들어진 페달 오버드라이브는 진공관 기타 앰프의 오버드라이브와 상당히 유사한 소리를 들려줄 수도 있다. 
 + 
 +{{ :악기:compact_pedal:20240307-115356.png }} 
 + 
 +{{ youtube>c7dNklFi6ws?large }}\\ 
 + 
  
 =====소프트 클리핑===== =====소프트 클리핑=====
  
 {{page>음향:level:clipping#진공관_기기에서의_클리핑&noindent}} {{page>음향:level:clipping#진공관_기기에서의_클리핑&noindent}}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악기/compact_pedal/overdrive.1666678512.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2/10/25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