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음향:audio_production:recording:start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음향:audio_production:recording:start [2023/08/01] 정승환음향:audio_production:recording:start [2024/05/19] (현재) 정승환
줄 2: 줄 2:
 ======레코딩====== ======레코딩======
  
-**Recording, 녹음**+녹음은 소리나 음악을 기록하는 프로세스로오디오 신호를 기록하여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형식으로 저장하는 과정을 가리킵니다. 이 과정은 음악 프로듀스, 음성 녹음, 사운드 효과 제작, 오디오 예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며, 음악 스튜디오, 녹화실, 필드 녹음 등 다양한 장소에서 이루어집니다. 녹음은 소리를 영구적으로 보존하거나 편집하여 원하는 목적에 맞게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드는 핵심 단계 중 하나입니다.
  
-레코딩 과정은 연주자의 연주나 노래, 소리를 녹음하는 과정을 말한다.\\ +{{indexmenu>.}} 
-녹음을 진행하기 전에는 악기의 준비마이킹그리고 어떻게 녹음을 진행할 것 인지에 대한 사전 회의가 필요할 수 있다.+ 
 +======Recording====== 
 + 
 +**Recording** is the process of capturing sound or music by recording audio signals in digital or analog formats. This process is used in various fieldsincluding music productionvoice recording, sound effect creation, audio art, and takes place in different locations such as music studios, recording rooms, or field recording. Recording is a crucial step in preserving sound permanently and editing it to serve various purposes.
 =====사전 회의===== =====사전 회의=====
  
줄 14: 줄 17:
 =====리허설===== =====리허설=====
  
-리허설은 녹음을 진행하기 전에 모든 녹음 과정을 시연하는 것을 말한다. 리허설 동안에 각각의 마이크와 채널스트립에 대한 설정을 하고, 각 연주자들의 [[음향:audio_production:recording:start#모니터_믹스|모니터 믹스]]를 개별 조정한다. 모니터 믹스의 조정은 퍼스널 모니터 믹서가 있는 경우는 각 연주자들이 알아서 자신의 퍼스널 모니터 믹서를 조정하면 되고, 퍼스널 모니터 믹서가 없는 경우, 엔지니어가 각 연주자들과 소통하며 [[음향:mixingconsole:aux_bus#monitor_sends|모니터 버스]]를 조절하여 모니터 믹스를 각 연주자에 맞게 조절한다.+리허설은 녹음을 진행하기 전에 모든 녹음 과정을 시연하는 것을 말한다. 리허설 동안에 각각의 마이크와 채널스트립에 대한 설정을 하고, 각 연주자들의 [[음향:audio_production:recording:start#모니터_믹스|모니터 믹스]]를 개별 조정한다. 모니터 믹스의 조정은 퍼스널 모니터 믹서가 있는 경우는 각 연주자들이 알아서 자신의 퍼스널 모니터 믹서를 조정하면 되고, 퍼스널 모니터 믹서가 없는 경우, 엔지니어가 각 연주자들과 소통하며 [[음향:mixingconsole:bus:aux_bus#monitor_sends|모니터 버스]]를 조절하여 모니터 믹스를 각 연주자에 맞게 조절한다.
  또한, 각 악기의 톤을 조정하며, 각 음원에 마이킹한 마이크의 위치를 필요에 따라 다시 조정한다.  또한, 각 악기의 톤을 조정하며, 각 음원에 마이킹한 마이크의 위치를 필요에 따라 다시 조정한다.
  
줄 43: 줄 46:
 {{ 음향:audio_production:recording:pasted:20220113-024057.png?180|}} {{ 음향:audio_production:recording:pasted:20220113-024057.png?180|}}
 \\ \\
-CUE mix 라고도 한다.\\+CUE 믹스 라고도 한다.\\
 \\ \\
 연주자 별로 편하게 연주할 수 있도록 각기 다른 믹스를 보내줘야 한다.\\ 연주자 별로 편하게 연주할 수 있도록 각기 다른 믹스를 보내줘야 한다.\\
 예를 들면 드럼 연주자의 경우는 메트로놈 소리가 크고 베이스 소리가 크게 들려야 연주가 편할 수 있고, 기타 연주자의 경우는 자신의 기타 소리가 크게 들려야 연주하는 것이 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드럼 연주자의 경우는 메트로놈 소리가 크고 베이스 소리가 크게 들려야 연주가 편할 수 있고, 기타 연주자의 경우는 자신의 기타 소리가 크게 들려야 연주하는 것이 편할 수 있다.\\
 보통 연주자들은 헤드폰으로 모니터 믹스를 듣게된다. 이때 헤드폰의 소리가 흘러 나와 레코딩에 사용되는 마이크로 들어갈 수 있기 때문에, 이 부분을 주의해야 한다.\\ 보통 연주자들은 헤드폰으로 모니터 믹스를 듣게된다. 이때 헤드폰의 소리가 흘러 나와 레코딩에 사용되는 마이크로 들어갈 수 있기 때문에, 이 부분을 주의해야 한다.\\
-이러한 모니터 믹스를 조정하기 위해, 녹음 전에 사전 리허설 연주를 하며 연주자 별로 편한 모니터링이 될 수 있도록 각 연주자의 Monitor bus 믹스를 조정해 주어야 하며, 만약 연주자들 마다 퍼스널 모니터 믹서 를 개별적으로 설치 한다면, 연주자 스스로 각 악기 별 밸런스를 자신의 퍼스널 모니터 믹서를 통해 조절할 수 있으므로, 편하게 진행 될 수 있다.\\+이러한 모니터 믹스를 조정하기 위해, 녹음 전에 사전 리허설 연주를 하며 연주자 별로 편한 모니터링이 될 수 있도록 각 연주자의 Monitor 버스 믹스를 조정해 주어야 하며, 만약 연주자들 마다 퍼스널 모니터 믹서 를 개별적으로 설치 한다면, 연주자 스스로 각 악기 별 밸런스를 자신의 퍼스널 모니터 믹서를 통해 조절할 수 있으므로, 편하게 진행 될 수 있다.\\
 ---- ----
  
줄 72: 줄 75:
 ====Step 레코딩==== ====Step 레코딩====
  
-컨디션 문제로 인하여 한 곡 전체를 한번에 연주 할 수 없을 때 프레이즈 단위나 마디 별로 구간 구간 끊어서 녹음하는 것을 스탭 레코딩 이라고 한다. 일명 끊어가기라고 한다.+컨디션 문제로 인하여 한 곡 전체를 한번에 연주 할 수 없을 때 프레이즈 단위나 마디 별로 구간 구간 끊어서 녹음하는 것을 스탭 레코딩 이라고 한다. 일명 찍어가기, 끊어가기라고 한다.
  
 {{음향:audio_production:steprollrecording.gif|}} {{음향:audio_production:steprollrecording.gif|}}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음향/audio_production/recording/start.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4/05/19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