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음향:electric_circuit:balanced_input_output:balanced_output_type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음향:electric_circuit:balanced_input_output:balanced_output_type [2024/02/22] – 바깥 편집 127.0.0.1음향:electric_circuit:balanced_input_output:balanced_output_type [2024/03/01] (현재) – [Electronicaly balanced] 정승환
줄 11: 줄 11:
 Op-amp 또는, FET를 이용하여 소리를 복사 하여 + - 의 밸런스 출력을 구사하는 방법. 즉 Active splitter. Op-amp 또는, FET를 이용하여 소리를 복사 하여 + - 의 밸런스 출력을 구사하는 방법. 즉 Active splitter.
  
-임피던스 밸런스드 아웃풋처럼 저역이 사라지는 현상은 없다. 다만 액티브 버퍼의 회로의 구성과 품질에 따라 출력 품질이 달라지게 된다. 회로 구성이 복잡해지고, 그 회로 품질에 따라 CMRR 이나 고역대 특성, 노이즈 플로어 등이 차이가 나게 된다. 회로가 복잡하기 때문에 출력부의 노이즈 플로어가 다소 높다. 회로가 부실한 경우 CMRR 특성에 의해서 고역대에 화이트 노이즈가 많다. 이러한 특성 탓에 장비의 다이나믹 레인지를 많이 잡아먹는 요인이 된다.+임피던스 밸런스드 아웃풋처럼 저역이 감쇄되는 현상은 없다. 다만 액티브 버퍼의 회로의 구성과 품질에 따라 출력 품질이 달라지게 된다. 회로 구성이 복잡해지고, 그 회로 품질에 따라 CMRR 이나 고역대 특성, 노이즈 플로어 등이 차이가 나게 된다. 회로가 복잡하기 때문에 출력부의 노이즈 플로어가 다소 높다. 회로가 부실한 경우 CMRR 특성에 의해서 고역대에 화이트 노이즈가 많다. 이러한 특성 탓에 장비의 다이나믹 레인지를 많이 잡아먹는 요인이 된다.
  
 밸런스 출력을 하게 되면 DC 바이어스는 어차피 연결되는 다른 장비의 밸런스 입력에서 제거 된다. 밸런스 출력을 하게 되면 DC 바이어스는 어차피 연결되는 다른 장비의 밸런스 입력에서 제거 된다.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음향/electric_circuit/balanced_input_output/balanced_output_type.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4/03/01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