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음향:hardware:inline_preamp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음향:hardware:inline_preamp [2024/03/04] – 바깥 편집 127.0.0.1음향:hardware:inline_preamp [2024/05/08] (현재) 정승환
줄 28: 줄 28:
 따라서, 이럴 때 팬텀파워를 사용하면서 20~30dB 사이의 Gain을 더해줄 수 있는 Inline 프리앰프를 추가 하여 20dB 정도를 먼저 증폭 후에, 마이크 프리앰프로는 42dB 정도만 증폭하게 되면 좀더 리본 마이크를 사용하기 편해진다. 따라서, 이럴 때 팬텀파워를 사용하면서 20~30dB 사이의 Gain을 더해줄 수 있는 Inline 프리앰프를 추가 하여 20dB 정도를 먼저 증폭 후에, 마이크 프리앰프로는 42dB 정도만 증폭하게 되면 좀더 리본 마이크를 사용하기 편해진다.
  
-인라인 프리앰프들의 일반적인 노이즈 플로어 스펙((약 9 μV, 약 -100dBV, -98dBu 정도))은 매우 낮은 수준이기 때문에 보통 추가적인 노이즈 걱정은 하지 않아도 무방하다.((-100dBu + 마이크 프리앰프 증폭량 42dB = -58dBu, 일반적인 컨덴서 마이크도 이 정도 노이즈 플로어를 가진다. 인라인 프리앰프서 마이크 프리앰프가 42dB 증폭한다고 치면 -100dBu -> -58dBu ))+인라인 프리앰프들의 일반적인 노이즈 플로어 스펙((약 9 μV, 약 -100dBV, -98dBu 정도))은 매우 낮은 수준이기 때문에 보통 추가적인 노이즈 걱정은 하지 않아도 무방하다.((-100dBu + 마이크 프리앰프 증폭량 42dB = -58dBu, 일반적인 컨덴서 마이크도 이 정도 노이즈 플로어를 가진다. 인라인 프리앰프 이후에 마이크 프리앰프가 42dB 증폭한다고 치면 -100dBu -> -58dBu ))
  
-인라인 프리앰프는 일부 특별한 [[음향:microphone:dynamic_mic|다이내믹 마이크]]에도 가끔 사용되는 편인데, Shure SM7B와 같은 마이크는 스펙 상 감도가 -59 dBV/Pa (1.12 mV)이다. 이 값은 위에 예시로 든 Royer R-121 보다 더 낮은 감도 값이기 때문에, 인라인 프리앰프가 종종 사용되기도 한다.+인라인 프리앰프는 일부 특별한 [[음향:microphone:dynamic_mic|다이내믹 마이크]]에도 가끔 사용되는 편인데, Shure SM7B와 같은 마이크는 스펙 상 감도가 -59dBV/Pa(1.12 mV)이다. 이 값은 위에 예시로 든 Royer R-121 보다 더 낮은 감도 값이기 때문에, 이와 같은 경우에 인라인 프리앰프가 종종 사용되기도 한다.
  
 {{:음향:hardware:20220516-172053.png|Tierra audio, Flavour}}\\ {{:음향:hardware:20220516-172053.png|Tierra audio, Flavour}}\\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음향/hardware/inline_preamp.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4/05/08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