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음향:hardware:specification:distortion:imd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음향:hardware:specification:distortion:imd [2023/09/15] – ↷ 문서가 음향:hardware:specification:thd:imd에서 음향:hardware:specification:distortion:imd(으)로 이동되었습니다 정승환음향:hardware:specification:distortion:imd [2023/12/28] (현재) – [IMD] 정승환
줄 3: 줄 3:
 **I**nter**m**odulation **D**istortion **I**nter**m**odulation **D**istortion
  
-신호에서 두 개 이상의 주파수가 상호 작용하면 원래 신호에 없는 새로운 주파수 성분이 생성된다. 이러한 새로운 구성 요소는 원래 신호의 주파수의 합과 차, 그리고 그 정수배와 동일한 주파수를 가진다.+신호에서 두 개 이상의 주파수가 섞이게 되면 맥놀이 현에 의해 원래 신호에 없는 새로운 주파수 성분이 생성된다.
  
 {{음향:hardware:specification:imd:pasted:20220113-022322.png}} {{음향:hardware:specification:imd:pasted:20220113-022322.png}}
줄 9: 줄 9:
 =====측정방법===== =====측정방법=====
  
-60Hz 와 7KHz 의 주파수를 각기 4:1 의 비율로 동시에 입력하여 발생하는 기생 주파수와 노이즈 플로어의 레벨(IMD+N)을 측정하여 7KHz의 레벨과 나머지 기생 주파수의 레벨의 비율을 측정하여 표기한다.((이 과정에서 원본 주파수를 제거 하고 나머지 주파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처리가 들어간다.))+60Hz 와 7kHz 의 주파수를 각기 4:1 의 비율로 동시에 입력하여 발생하는 기생 주파수와 노이즈 플로어의 레벨(IMD+N)을 측정하여 7kHz의 레벨과 나머지 기생 주파수의 레벨의 비율을 측정하여 표기한다.((이 과정에서 원본 주파수를 제거 하고 나머지 주파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처리가 들어간다.))
  
 {{:음향:hardware:specification:20220518-003707.png}} {{:음향:hardware:specification:20220518-003707.png}}
- 
-=====스피커 시스템에서의 IMD===== 
- 
-====앰프의 IMD 측정==== 
- 
-====스피커 유닛의 IMD 측정====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음향/hardware/specification/distortion/imd.1694751698.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3/09/15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