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음향:specification:distortion:imd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IMD

Intermodulation Distortion, 혼변조 왜곡

MD는 두 개 이상의 주파수비선형 시스템을 통과할 때 원래 신호에 없던 새로운 주파수 성분이 생성되는 현상입니다. 이는 주로 오디오 장비(앰프, 스피커, DAC 등)의 비선형 특성에서 발생하며, THD(고조파 왜곡)와 달리 서로 다른 주파수 간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왜곡이 발생합니다.

IMD의 발생 원리

주파수 f₁과 f₂가 입력되면, 비선형 시스템에서 다음과 같은 합/차 주파수가 생성됩니다:

  • f₁ + f₂
  • f₁ - f₂
  • 2f₁ ± f₂, 2f₂ ± f₁ (3차 IMD)

예시: 1kHz와 1.5kHz 신호 입력 → 500Hz(차주파수) 및 2.5kHz(합주파수)가 생성될 수 있습니다.

측정방법

표준 측정법(CCIF/ITU-R Method)

입력 신호: 60Hz(저주파)와 7kHz(고주파)를 4:1 진폭 비율로 혼합합니다.(예: 60Hz = 4V, 7kHz = 1V)

측정 대상:

계산식:

SMPTE 측정법

입력 신호: 60Hz(저주파) + 7kHz(고주파) 대신 60Hz + 6kHz를 사용합니다.

목적: 고주파 영역에서의 왜곡을 더 민감하게 포착합니다.

실제 측정 예시

IMD가 음질에 미치는 영향

IMD가 높을 경우 다음과 같은 청감적 문제가 발생합니다.

  • 고주파 영역의 “거칠음”: 새로 생성된 고주파수(예: 7kHz ± 60Hz)가 원래 고음의 선명도를 해칩니다. 피아노 고음이나 심벌즈 소리가 날카롭고 귀에 거슬리게 들릴 수 있습니다.
  • 음악적 혼란 (Muddy Sound): 저주파와 고주파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중저음이 뭉개지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보컬과 기타가 겹치는 부분에서 분리도가 떨어져 음악이 지저분하게 느껴집니다.
  • 음악잡음 증가: 3차 IMD는 특히 인간 청각이 민감한 2~4kHz 대역에서 왜곡을 유발합니다. 왜곡된 보컬이 “금속성”이나 “삐걱거리는” 톤으로 들릴 수 있습니다.
  • 피로도 상승: IMD 성분이 지속되면 청각 피로가 쌓여 장시간 음악 감상이 힘들어집니다.

IMD vs. THD: 왜 IMD가 더 문제일까?

구분 THD IMD
발생 원인 단일 주파수의 고조파 다중 주파수의 상호작용
주요 영향 음색 변화 음악적 분리도 저하
인지 용이성 단순 톤에서 더 잘 감지 복잡한 음원에서 더 두드러짐
측정 난이도 상대적 간편함 복잡한 신호 분석 필요

IMD 관리의 중요성

  • 하이엔드 오디오: IMD는 0.01% 미만을 목표로 설계됩니다. (예: Benchmark DAC3의 IMD+N = -110dB ≈ 0.0032%)
  • 보급형 장비: IMD가 0.1%를 넘으면 음질 열화가 명확히 느껴집니다.
로그인하면 댓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
검색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음향/specification/distortion/imd.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5/03/25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