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U(유럽 방송 연합)의 권장 사항에 관한 문서 R128에 따라 소리 크기, 소리의 범위 및 True Peak를 표기 하도록 만들어진 미터.
LUFS1)와 LKFS2)는 같다고 보면 된다. 원래 명칭은 LKFS였으나, LUFS로 바꿔서 부르도록 권장하고 있다고 한다.
사람이 청감상 인지하는 소리 크기, 즉 라우드니스를 수치로 현실화하기 위해서 K-weighted 가중치를 고려한 필터를 사용하고, RMS 값을 측정하여 dBFS로 결과를 내어서, 단위는 LUFS(절대값), 또는 LU(상대값, ex) 0LU=-23LUFS)로 표기한다.
전체 곡의 시작부터 끝까지 소리 크기의 평균을 계산한 값을 LUFS 로 표기한다.
LUFS(Loudness Unit, referenced to Full Scale).
재생 구간에 따라 값이 다르게 나올 수 있다. 예를 들어 곡의 클라이맥스 구간만 측정하면 매우 크게 나오게 된다.
게이트 알고리즘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무음 구간은 측정하지 않고 패쓰한다.
EBU R128에서는 소리 크기를 -23 LUFS (Tolerance, 허용 : ±1 LU)로 맞출 것을 권고한다.
3초 동안의 소리의 크기를 매 1초마다 표기한다. 최고 값이 왼쪽에 작게 표기된다.
Loudness range 는 곡 전체에 대한 다이나믹 레인지를 LU 로 표기한다. 가장 큰 부분과 가장 조용한 부분 사이의 차이를 표시.
음량이 가장 조용한 부분 상위 10 %와 가장 큰 부분의 상위 5 %는 최종 분석에서 제외한다. 계산 된 Loudness Range는 가장 큰 오디오 구간과 가장 조용한 나머지 오디오 구간의 비율이다.4)
디지털에서는 샘플 데이터가 Peak 값 이하라고 하더라도, 파형 자체는 Peak 를 충분히 넘을 수가 있고, 이것이 D/A 컨버터를 거쳐 아날로그 파형으로 재생된다면, Peak 값을 넘는 신호가 발생된다. 미터로는 Peak가 아니지만 들리는 소리는 Peak로 인한 클리핑이 발생하는 모순이 생긴다. 따라서 샘플 데이터의 Peak 값을 기반으로 실제 아날로그 파형으로 변할 때의 True Peak 값을 유추 해내서 표기 하는 것을 True Peak라고 하고, 단위는 dBTP를 사용한다.
이에 따라서 True Peak는 ITU-R BS.1770에 따라 측정된 연속 시간 영역에서 신호 파형의 최대 절대 레벨이다. 단위는 dBTP로 공칭 100%, 실제 피크에 대한 데시벨을 의미한다.
EBU R128은 다음과 같은 명명 규칙 및 단위 규칙을 제안한다.
기준 레벨과 관련된 값인 Loudness Unit(1LU 는 1dB)과 같은 상대 측정 값이다.
EBU에서는 -23LUFS를 0LU로 표기 하는 것을 권장한다.
음원을 스트리밍으로 재생하는 플랫폼에서는 해당 스트리밍 플랫폼의 사용자가 스트리밍 이용할 때에 계속 곡마다 다른 볼륨으로 재생되면 볼륨을 계속 오르락 내리락 조절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래서, 각자의 표준 음량을 정해서 모든 음원을 해당 음량 값으로 재조정하여 스트리밍 하는 기술을 적용한다.5)
이것을 오해하여 각 스트리밍 플랫폼에 맞도록 각기 다른 라우드니스로 마스터링해야 한다는 잘못된 인식이 있기도 하다.6)
그렇기 때문에, 각 플랫폼의 라우드니스에 맞춘 여러가지 마스터링 본을 만들 필요는 없다.
이러한 기술은 스트리밍 플레이어 앱이나 소프트웨어에서 Loudness Normalization 기능을 켜거나 끌 수 도 있다.
아직 특별한 업체별 기준 없음.
변동사항 제보바람.
플러그인, 외장 하드웨어 등으로 수많은 LUFS 미터가 시중에 나와있다. 그 중에서 대표적인 것 몇 가지만 소개 한다. Cubase Pro 에 내장되어있는 Supervision에도 LUFS 미터가 내장되어 있다.
TC Electronic LMn 씨리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