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음향:level:headroom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음향:level:headroom [2024/10/10] – [헤드룸] 정승환음향:level:headroom [2025/05/15] (현재) – [디지털 장비의 헤드룸] 정승환
줄 5: 줄 5:
 어떤 장비의 **노미널 레벨과 최대 입출력 레벨 사이의 공간**을 관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아날로그 기기**의 특성상, **최대 출력 근처**에서는 **비선형 왜곡(THD, GBW)** 등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큽니다. **하지만**, 반대로 **레벨이 너무 낮으면** **노이즈 플로어**가 더 크게 영향을 주고, **기계적 부품**이나 **회로의 물리적·전기적 임피던스**에 의해 **대역폭 감쇄**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노미널 레벨 부근**에서 신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어떤 장비의 **노미널 레벨과 최대 입출력 레벨 사이의 공간**을 관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아날로그 기기**의 특성상, **최대 출력 근처**에서는 **비선형 왜곡(THD, GBW)** 등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큽니다. **하지만**, 반대로 **레벨이 너무 낮으면** **노이즈 플로어**가 더 크게 영향을 주고, **기계적 부품**이나 **회로의 물리적·전기적 임피던스**에 의해 **대역폭 감쇄**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노미널 레벨 부근**에서 신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아날로그 장비의 헤드룸**이 크다는 것은 **노미널 레벨과 최대 입출력 레벨의 차이**가 크다는 의미로, 이는 **높은 크레스트 팩터**를 가진 소리도 **노미널 레벨 부근(RMS)**에서 처리하면서 **피크(Clip)**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사진과 영상에서도 **화면의 가장자리**에서는 왜곡이 심해질 수 있으므로, 그 구간에 오브젝트를 배치하지 말고 **공간을 비우라는 뜻**으로 '헤드룸'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합니다.))+**아날로그 장비의 헤드룸**이 크다는 것은 **노미널 레벨과 최대 입출력 레벨의 차이**가 크다는 의미로, 이는 **높은 크레스트 팩터**를 가진 소리도 **노미널 레벨 부근**((RMS))에서 처리하면서 **피크** 또는 **클리핑**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사진과 영상에서도 **화면의 가장자리**에서는 왜곡이 심해질 수 있으므로, 그 구간에 오브젝트를 배치하지 말고 **공간을 비우라는 뜻**으로 '헤드룸'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줄 27: 줄 27:
   -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마이크 입력**이 **최대 입력 레벨 +6dBu**이고, **EBU 표준**에 따라 만들어졌다면, 이 장비의 **노미널 레벨은 -18dBFS**입니다. 그러므로, **+6dBu - 18dBFS = -12dBu**로 계산되며, 이 마이크 프리앰프의 **노미널 레벨은 -12dBu**입니다. 또한, **18dB의 헤드룸**을 가지고 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장비는 **레퍼런스 장비**가 아닙니다.   -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마이크 입력**이 **최대 입력 레벨 +6dBu**이고, **EBU 표준**에 따라 만들어졌다면, 이 장비의 **노미널 레벨은 -18dBFS**입니다. 그러므로, **+6dBu - 18dBFS = -12dBu**로 계산되며, 이 마이크 프리앰프의 **노미널 레벨은 -12dBu**입니다. 또한, **18dB의 헤드룸**을 가지고 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장비는 **레퍼런스 장비**가 아닙니다.
   - **레퍼런스 장비**는 **최대 입력 레벨 +22dBu**이고, **노미널 레벨이 -18dBFS**라면, **+4dBu**가 이 장비의 아날로그 입출력의 **노미널 레벨**이 됩니다. 즉, 다른 아날로그 장비들과의 호환이 가능합니다. 이러한 장비는 **EBU 기준의 레퍼런스 장비**로 간주됩니다.   - **레퍼런스 장비**는 **최대 입력 레벨 +22dBu**이고, **노미널 레벨이 -18dBFS**라면, **+4dBu**가 이 장비의 아날로그 입출력의 **노미널 레벨**이 됩니다. 즉, 다른 아날로그 장비들과의 호환이 가능합니다. 이러한 장비는 **EBU 기준의 레퍼런스 장비**로 간주됩니다.
 +
 +{{tag>"레벨"}}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음향/level/headroom.1728495806.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