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음향:signal_processor:compressor:compressor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음향:signal_processor:compressor:compressor [2023/10/01] – [컴프레서의 기원이 테이프에 쓰이던 기술인가요?] 정승환음향:signal_processor:compressor:compressor [2024/05/07] (현재) 정승환
줄 1: 줄 1:
 ====== 컴프레서 ====== ====== 컴프레서 ======
  
-초창기 방송국의 FM 무선 전파 방송의 다이나믹 레인지의 한계 때문에 송출가능한 음량의 헤드룸이 8dB 정도 밖에 안되었기 때문에, 방송 송출 직전에 이 헤드룸 사이즈에 맞춰서 소리의 다이나믹 레인지를 줄이기 위해서 개발되었다. 즉 소리의 Peak 와 RMS 의 차이인 크레스트 팩터를 줄이기 위해서 만들어졌다.+초창기 방송국의 FM 무선 전파 방송의 다이나믹 레인지의 한계 때문에 송출가능한 음량의 헤드룸이 8dB 정도 밖에 안되었기 때문에, 방송 송출 직전에 이 헤드룸 사이즈에 맞춰서 소리의 다이나믹 레인지를 줄이기 위해서 개발되었다. 즉 소리의 Peak와 RMS의 차이인 크레스트 팩터를 줄이기 위해서 만들어졌다.
  
-컴프레서는 일정한 Threshold 를 넘는 소리를 일정한 비율(Ratio) 로 줄임(Compression)으로써 Peak를 줄이고 상대적으로 RMS를 높여서(Make up gain) 소리의 크레스트 팩터를 줄인다. 이에 따른 부가 적인 효과로는 소리의 Peak에 비해 RMS가 커지므로 라우드니스가 더 커진 것처럼 들리게 된다. 특히 이러한 작동 위주로 기능하는 컴프레서를 레벨러라고 부른다.+컴프레서는 일정한 Threshold를 넘는 소리를 일정한 비율(Ratio)로 줄임(Compression)으로써 Peak를 줄이고 상대적으로 RMS를 높여서(Make up gain) 소리의 크레스트 팩터를 줄인다. 이에 따른 부가 적인 효과로는 소리의 Peak에 비해 RMS가 커지므로 라우드니스가 더 커진 것처럼 들리게 된다.
  
-에 반응이 빠른 트랜지스터나, IC Op-amp 를 이용한 정교한 어택 릴리즈 컨트롤이 가능한 피드 포워드 방식의 컴프레서들을 이용해서 소리의 어택감을 조절하는 트랜지언트 쉐이퍼로도 사용하게 되었다.+최근는 반응이 빠른 트랜지스터나, IC Op-amp를 이용한 정교한 어택 릴리즈 컨트롤이 가능한 피드 포워드 방식의 VCA 컴프레서들을 이용해서 소리의 어택감을 조절하는 트랜지언트 쉐이퍼로도 사용하게 되었다.
  
-https://theproaudiofiles.com/video/a-brief-history-compression-explained/+<WRAP box centeralign> 
 +{{:음향:signal_processor:compressor:20240505-215755.png}} 
 +</WRAP> 
 + 
 +{{indexmenu>유저위키:아웃보드:compressor}}
  
 ======Compressor====== ======Compressor======
줄 19: 줄 23:
  
  
-===== 컴프레서 기본 파라미터 =====+=====파라미터 =====
  
-{{ :음향:hardware:outboard:compressor:20230212-045433.png?400 }}+<WRAP right column 25%>{{:음향:hardware:outboard:compressor:20230212-045433.png}}</WRAP>
  
 ==== Threshold ==== ==== Threshold ====
  
-**점.**+****
  
-입력되는 소리가 Threshold 를 넘어서게 되면 Ratio로 설정한 비율대로 소리를 줄이게 되며, 이것을 Gain reduction 이라고 한다.+입력되는 소리가 Threshold를 넘어서게 되면 Ratio로 설정한 비율대로 소리를 줄이게 되며, 이것을 Gain reduction이라고 한다.
  
 ==== Ratio ==== ==== Ratio ====
줄 50: 줄 54:
 **보상.** **보상.**
  
-Gain reducion 되면 전체 레벨이 줄어들게 된다. 이것을 다시 출력 레벨을 조정하여 보상하게 된다.+Gain reducion되면 전체 레벨이 줄어들게 된다. 이것을 다시 출력 레벨을 조정하여 보상하게 된다.
  
 {{ 음향:hardware:outboard:compressor:20220219-150325.png?500 }} {{ 음향:hardware:outboard:compressor:20220219-150325.png?500 }}
  
-결과적으로 컴프레서를 통해 Make up Gain 까지 처리한 소리는 라우드니스, RMS 증가 효과를 얻는다.(( +결과적으로 컴프레서를 통해 Make up Gain까지 처리한 소리는 라우드니스, RMS 증가 효과를 얻는다.(( 
-위 그림과 같은 Audio Brickwall 타입의 컴프레서는 Attack time=0ms  releas time=0ms 인 경우 이다. 단, 실제로 컴프레서를 사용해보면 소리의 트랜지언트와 릴리즈(ADSR)때문에 실제로 저런 식의 컴프레서 사용은 권장되지 않는다. 실제 사용에 있어서는 어택과 릴리즈 타임이 느린 컴프레서들이 더 선호되는 경향이 있다.+위 그림과 같은 Audio Brickwall 타입의 컴프레서는 Attack time=0ms  releas time=0ms 인 경우이다. 단, 실제로 컴프레서를 사용해보면 소리의 트랜지언트와 릴리즈(ADSR)때문에 실제로 저런 식의 컴프레서 사용은 권장되지 않는다. 실제 사용에 있어서는 어택과 릴리즈 타임이 느린 컴프레서들이 더 선호되는 경향이 있다.
 )) ))
  
줄 69: 줄 73:
 ===Side-chain input=== ===Side-chain input===
  
-다른 입력(key input) 을 따로 받아서 그 소스의 Peak 나 RMS 를 검출하여 본래 컴프레서를 적용하는 소스에다가 적용하는 방식.+다른 입력(key input)을 따로 받아서 그 소스의 Peak 나 RMS를 검출하여 본래 컴프레서를 적용하는 소스에다가 적용하는 방식.
  
 {{ 음향:hardware:outboard:compressor:20220112-200025.png }} {{ 음향:hardware:outboard:compressor:20220112-200025.png }}
줄 75: 줄 79:
 === Side-chain filter === === Side-chain filter ===
  
-사이드 체인 인풋이 없고 사이드 체인 필터만 있는 방식인 경우에는 보통 해당 소스에 하이패스 필터(HPF)를 통해서 저음을 제외한 고음역대만 Peak/RMS 를 측정해서, 오리지널 소스에 적용하는 방식이다. 주로 컴프레서를 하게 되면 저역대에 더 크게 영향을 받아서 과도하게 저역대가 사라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고역대의 Peak/RMS 만 측정해서 오리지널 소스에 적용하므로 저역대에 대해서는 컴프레서가 덜 동작하게 된다.+사이드 체인 인풋이 없고 사이드 체인 필터만 있는 방식인 경우에는 보통 해당 소스에 하이패스 필터(HPF)를 통해서 저음을 제외한 고음역대만 Peak/RMS를 측정해서, 오리지널 소스에 적용하는 방식이다. 주로 컴프레서를 하게 되면 저역대에 더 크게 영향을 받아서 과도하게 저역대가 사라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고역대의 Peak/RMS만 측정해서 오리지널 소스에 적용하므로 저역대에 대해서는 컴프레서가 **** 동작하게 된다.
  
 === Ducking Effect === === Ducking Effect ===
줄 94: 줄 98:
 일반적으로 아날로그 회로에서 신호의 Peak 성분을 검출하기는 기술 상 매우 어렵기 때문에, 많은 빈티지 컴프레서들은 대부분 RMS detector 방식인 경우가 많다. 하지만 많은 모던 컴프레서들의 경우에는 Peak detecting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아날로그 회로에서 신호의 Peak 성분을 검출하기는 기술 상 매우 어렵기 때문에, 많은 빈티지 컴프레서들은 대부분 RMS detector 방식인 경우가 많다. 하지만 많은 모던 컴프레서들의 경우에는 Peak detecting이 가능하다.
  
-사실 사람의 귀는 소리를 RMS 와 유사한 방식으로 인지 하기 때문에, 그에 비슷한 검출 방식(( +사실 사람의 귀는 소리를 RMS와 유사한 방식으로 인지 하기 때문에, 그에 비슷한 검출 방식(( 
-광학 센서를 이용한 Opto detector 의 경우에 사람의 귀가 소리를 듣는 방식과 상당히 유사한 동작을 보여준다. +광학 센서를 이용한 Opto detector의 경우에 사람의 귀가 소리를 듣는 방식과 상당히 유사한 동작을 보여준다. 
-))을 컴프레서가 가지는 것이 레벨러 특성((소리의 RMS를 키워서 라우드니스를 크게 만드는 방식))의 컴프레서에 적합하다. 하지만, 소리의 트랜지언트를 다루어야 하는 트랜지언트 쉐이퍼((트랜지언트를 컨트롤하는 방식))로 컴프레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정확한 Peak에 대한 프로세싱을 하기 위해서는 Peak Detector 또한 필요하게 된다.+))을 컴프레서가 가지는 것이 레벨러 특성((소리의 RMS를 키워서 라우드니스를 크게 만드는 방식))의 컴프레서에 적합하다. 하지만, 소리의 트랜지언트를 다루어야 하는 트랜지언트 쉐이퍼((트랜지언트를 컨트롤하는 방식))로 컴프레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정확한 Peak에 대한 프로세싱을 하기 위해서는 Peak detector 또한 필요하게 된다.
  
  
줄 103: 줄 107:
   * 피드백 방식 : 컴프레서가 작동하고 나서 소스를 검증하는 방식으로 소스에 대해서 어택과 릴리즈에 대해 정밀한 컨트롤이 불가능하고 반응이 느리다. 그래서 음악적이라고 말하기도 한다.((어택과 릴리즈가 반능이 느려서))   * 피드백 방식 : 컴프레서가 작동하고 나서 소스를 검증하는 방식으로 소스에 대해서 어택과 릴리즈에 대해 정밀한 컨트롤이 불가능하고 반응이 느리다. 그래서 음악적이라고 말하기도 한다.((어택과 릴리즈가 반능이 느려서))
 {{ 음향:hardware:outboard:compressor:20220112-200059.png }} {{ 음향:hardware:outboard:compressor:20220112-200059.png }}
-  * 피드 포워드 방식: 컴프레서가 작동하기 전에 센서가 소스를 검증하는 방식으로 소스에 대해 어택과 릴리즈에 대한 정교한 컨트롤이 가능. Dbx160, SSL 채널 컴프레서 등 주로 모던 컴프레서들의 방식+  * 피드 포워드 방식: 컴프레서가 작동하기 전에 센서가 소스를 검증하는 방식으로 소스에 대해 어택과 릴리즈에 대한 정교한 컨트롤이 가능. dbx160, SSL 채널 컴프레서 등 주로 모던 컴프레서들의 방식
 {{ 음향:hardware:outboard:compressor:20220112-200147.png }} {{ 음향:hardware:outboard:compressor:20220112-200147.png }}
  
-<bootnote>하지만 결국 오래된 장비들이 주로 피드백 방식인 이유는, 기술 발전의 부족으로 인하여, 컴프레서의 증폭 회로 이전에 센서를 장착하면 여러가지로 장비 성능에 불합리한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컴프레서의 증폭 회로 이후에 센서를 달아서 측정할 수 밖에 없었던 것이었기 때문에, 빈티지 컴프레서들이 피드백 방식이 많은 이유는, 피드백 방식으로 만드는 것이 그 당시의 기술의 한계로 인하여 회로 설계 상 더 간단하고 성능 상 유리했던 것 뿐이라고 생각된다.</bootnote>+{{ :음향:signal_processor:compressor:20240507-150616.png }} 
 + 
 +<WRAP info>하지만 결국 오래된 장비들이 주로 피드백 방식인 이유는, 기술 발전의 부족으로 인하여, 컴프레서의 증폭 회로 이전에 센서를 장착하면 여러가지로 장비 성능에 불합리한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컴프레서의 증폭 회로 이후에 센서를 달아서 측정할 수 밖에 없었던 것이었기 때문에, 빈티지 컴프레서들이 피드백 방식이 많은 이유는, 피드백 방식으로 만드는 것이 그 당시의 기술의 한계로 인하여 회로 설계 상 더 간단하고 성능 상 유리했던 것 뿐이라고 생각된다. 실제로 최근의 새로운 타입으로 만들어지는 컴프레서들은 피드 포워드 방식으로 대부분 만들어진다.</WRAP>
  
 ==== Parallel Mix ==== ==== Parallel Mix ====
  
-어떤 컴프레서들에는 Mix(Wet/Dry) 기능이 있어서, 컴프레서가 걸린 오디오 신호와 컴프레서가 걸리지 않은 원음의 신호를 일정 비율로 섞을 수 있다. 패럴럴 컴프레싱을 위한 기능.+어떤 컴프레서들에는 믹스(Wet/Dry) 기능이 있어서, 컴프레서가 걸린 오디오 신호와 컴프레서가 걸리지 않은 원음의 신호를 일정 비율로 섞을 수 있다. 패럴럴 컴프레싱을 위한 기능.
  
 {{ :음향:hardware:outboard:compressor:20220422-032716.png?500 }} {{ :음향:hardware:outboard:compressor:20220422-032716.png?500 }}
줄 117: 줄 123:
 ===== 대표적인 클래식 컴프레서들 ===== ===== 대표적인 클래식 컴프레서들 =====
  
-{{namespace>음향:signal_processor:compressor&nofooter}}+{{namespace>음향:signal_processor:compressor}}
  
 ===== 컴프레서의 기원이 테이프에 쓰이던 기술인가요? ===== ===== 컴프레서의 기원이 테이프에 쓰이던 기술인가요? =====
  
-컴프레서의 기원이 카세트 테이프의 제한된 다이나믹 레인지 안에서 모든 다이내믹을 잘 표현하기 위해서, 다이나믹 레인지를 압축(Compressor)하여 소리를 기록하고, 다시 다이나믹 레인지를 확장(Expander)하여 소리를 재생한다는 내용은, dbx 사에 의해 1971년에 개발된 dbx 노이즈 리덕션 기술(Compressor + Expander = Compander)의 내용인데, 이것은 컴프레서의 기원이 아니다. 컴프레서는 카세트 테이프가 사용되기 훨씬 전부터 이미 사용되고 있었다. 그러므로 컴프레서가 카세트 테이프에 사용하기 위해 사용했다는 기술, 또는 테이프에 기록할 때 압축하여 기록하기 위해 사용되던 기술이 시초라는 내용은 잘못된 내용이다.+컴프레서의 기원이 카세트 테이프의 제한된 다이나믹 레인지 안에서 모든 다이내믹을 잘 표현하기 위해서, 다이나믹 레인지를 압축(Compressor)하여 소리를 기록하고, 다시 다이나믹 레인지를 확장(Expander)하여 소리를 재생한다는 내용은, dbx사에 의해 1971년에 개발된 dbx 노이즈 리덕션 기술(Compressor + Expander = Compander)의 내용인데, 이것은 컴프레서의 기원이 아니다. 컴프레서는 카세트 테이프가 사용되기 훨씬 전부터 이미 사용되고 있었다. 그러므로 컴프레서가 카세트 테이프에 사용하기 위해 사용했다는 기술, 또는 테이프에 기록할 때 압축하여 기록하기 위해 사용되던 기술이 시초라는 내용은 잘못된 내용이다.
  
 {{ 음향:hardware:outboard:compressor:20220112-200204.png }} {{ 음향:hardware:outboard:compressor:20220112-200204.png }}
  
-dbx 의 이 기술은 보통 카세트 테이프에 많이 쓰이던 기술이다. 릴 테이프의 경우에는 다이나믹 레인지가 높기 때문에 이러한 기술을 사용하지 않았으며, 세미 프로 릴 테이프 머신의 경우(Tascam의 소형 릴 테입이나 Nagra)이 dBx noise reduction, 또는 유사한 기술이 들어간 제품들이 소수 있었다.\\+dbx의 이 기술은 보통 카세트 테이프에 많이 쓰이던 기술이다. 릴 테이프의 경우에는 다이나믹 레인지가 높기 때문에 이러한 기술을 사용하지 않았으며, 세미 프로 릴 테이프 머신의 경우(Tascam의 소형 릴 테입이나 Nagra)에는 dbx noise reduction, 또는 유사한 기술이 들어간 제품들이 소수 있었다.\\
  
 {{ 음향:hardware:outboard:compressor:20220112-200211.png }} {{ 음향:hardware:outboard:compressor:20220112-200211.png }}
 +=====Reference=====
 +
 +https://theproaudiofiles.com/video/a-brief-history-compression-explained/
  
  --- //[[merefox@Naver.com|retronica]] 2019/01/06 12:59//  --- //[[merefox@Naver.com|retronica]] 2019/01/06 12:59//
 +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음향/signal_processor/compressor/compressor.1696165012.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3/10/01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