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컴프레서
Compressor
초창기 방송국의 FM 무선 전파 방송의 송출 가능한 헤드룸이 8dB 정도 밖에 안되었기 때문에, 방송 송출 직전에 이 헤드룸 사이즈에 맞춰서 큰소리는 자동으로 줄이는 프로세서로써 개발되기 시작했다. 초창기 컴프레서는 소리의 다이내믹 레인지를 줄이기 위해서 개발되었다.1)
파라미터
임계값(Threshold)
비율(Ratio)
시정수(Time constant)
Attack time, Release time
보상 게인(Make up gain)
게인 리덕션되면 전체 레벨이 줄어들게 된다. 이것을 다시 출력 레벨을 조정하여 보상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컴프레서를 통해 Make up Gain까지 처리한 소리는 라우드니스, RMS 증가 효과를 얻는다.2)
Knee
디텍터
디텍터(Detector) 방식에 의한 분류
Detector 위치에 의한 분류
하지만 결국 오래된 장비들이 주로 피드백 방식인 이유는, 기술 발전의 부족으로 인하여, 컴프레서의 증폭 회로 이전에 센서를 장착하면 여러가지로 장비 성능에 불합리한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컴프레서의 증폭 회로 이후에 센서를 달아서 측정할 수 밖에 없었던 것이었기 때문에, 빈티지 컴프레서들이 피드백 방식이 많은 이유는, 피드백 방식으로 만드는 것이 그 당시의 기술의 한계로 인하여 회로 설계 상 더 간단하고 성능 상 유리했던 것 뿐이라고 생각된다. 하지만, 후에 컴프레서를 트랜지언트 디자인 용도로 사용하는 경향이 강해지면서 좀더 정교하고 빠른 피드 포워드 방식이 개발되고 이러한 용도로 많이 사용되게 된다.
Program dependant
Parallel Mix
어떤 컴프레서들에는 믹스(Wet/Dry) 기능이 있어서, 컴프레서가 걸린 오디오 신호와 컴프레서가 걸리지 않은 원음의 신호를 일정 비율로 섞을 수 있다. 패럴럴 컴프레션을 쉽게 구현할 수 있다.
대표적인 클래식 컴프레서들
Reference
https://theproaudiofiles.com/video/a-brief-history-compression-explained/
— retronica 2019/01/06 12:59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