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음향:signal_processor:compressor:compressor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컴프레서

Compressor

초창기 방송국의 FM 무선 전파 방송의 송출 가능한 헤드룸이 8dB 정도 밖에 안되었기 때문에, 방송 송출 직전에 이 헤드룸 사이즈에 맞춰서 큰소리는 자동으로 줄이는 프로세서로써 개발되기 시작했다. 초창기 컴프레서소리다이내믹 레인지를 줄이기 위해서 개발되었다.1)

초창기 오디오 컴프레서는 오로지 “다이내믹 레인지” 조절에만 가능하도록 만들어졌습니다. 근데 시간이 지나 여러개의 멀티트랙모노 또는 2-track(스테레오)으로 **핑퐁** 녹음 또는 글루잉 하는 과정에서 컴프레서를 사용하기 시작했고 그러면서 다이내믹 레인지 뿐만 아니라 크레스트 팩터까지 조절해야할 필요가 생겼고 그 이후에 어택 릴리즈 조절기능이 들어가기 시작했습니다. 그 후 피드 포워드 센싱 기능 및 더 빠른 동작이 가능한 제품이 개발되면서 트랜지언트 디자인 기능까지 가지게 된 것입니다.

파라미터

임계값(Threshold)

입력되는 소리가 임계값(Threshold)을 넘어서게 되면 설정한 비율(Ratio)대로 소리를 줄이게 되며, 이것을 게인 리덕션이라고 한다.

비율(Ratio)

임계값(Threshold)을 넘는 소리에 대하여, 원래의 소리에 비해 얼마 만큼의 비율로 레벨을 줄일 것 인가를 설정한다.

시정수(Time constant)

Attack time, Release time

  • Attack time: 입력소리가 임계값(Threshold)을 넘어서 컴프레서 작동이 걸렸을 때, 설정한 비율(Ratio) 만큼 게인 리덕션되는 대까지 걸리는 시간
  • Release time: 입력소리가 임계값(Threshold)을 벗어나서 컴프레서 작동이 풀렸을 때, 다시 원래 소리 크기로 돌아오는 대까지 걸리는 시간

보상 게인(Make up gain)

게인 리덕션되면 전체 레벨이 줄어들게 된다. 이것을 다시 출력 레벨을 조정하여 보상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컴프레서를 통해 Make up Gain까지 처리한 소리라우드니스, RMS 증가 효과를 얻는다.2)

Knee

  • Hard knee의 경우에는 소리가 임계값(Threshold)을 넘어야 게인 리덕션이 시작되고,
  • Soft knee의 경우에는 소리가 임계값(Threshold)을 넘기 전부터 게인 리덕션이 시작되어 임계값(Threshold)을 넘어서야 정해진 비율(Ratio)로 작동하게 된다.

디텍터

또는 센서(Sensor)

입력 신호레벨을 검출하는 방식

디텍터(Detector) 방식에 의한 분류

Detector 위치에 의한 분류

  • 피드 포워드 방식: 컴프레서가 작동하기 전에 센서가 소스를 검증하는 방식으로 소스에 대해 어택릴리즈에 대한 정교한 컨트롤이 가능. dbx160, SSL 채널 컴프레서 등 주로 모던 컴프레서들의 방식이며, 빠르고 정교하기 때문에 트랜지언트 디자인 용도로 사용하기에 적절하다.

하지만 결국 오래된 장비들이 주로 피드백 방식인 이유는, 기술 발전의 부족으로 인하여, 컴프레서증폭 회로 이전에 센서를 장착하면 여러가지로 장비 성능에 불합리한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컴프레서증폭 회로 이후에 센서를 달아서 측정할 수 밖에 없었던 것이었기 때문에, 빈티지 컴프레서들이 피드백 방식이 많은 이유는, 피드백 방식으로 만드는 것이 그 당시의 기술의 한계로 인하여 회로 설계 상 더 간단하고 성능 상 유리했던 것 뿐이라고 생각된다. 하지만, 후에 컴프레서트랜지언트 디자인 용도로 사용하는 경향이 강해지면서 좀더 정교하고 빠른 피드 포워드 방식이 개발되고 이러한 용도로 많이 사용되게 된다.

Program dependant

프로그램 종속적 동작은 컴프레서입력되는 소스의 특성(레벨, 트랜지언트)에 따라 다른 제어값(주로 어택, 릴리즈, Ratio)이 적용되는 것을 말한다.

Parallel Mix

어떤 컴프레서들에는 믹스(Wet/Dry) 기능이 있어서, 컴프레서가 걸린 오디오 신호컴프레서가 걸리지 않은 원음의 신호를 일정 비율로 섞을 수 있다. 패럴럴 컴프레션을 쉽게 구현할 수 있다.

대표적인 클래식 컴프레서들

Reference

1)
2)
위 그림과 같은 Audio Brickwall 타입의 컴프레서는 Attack time=0ms releas time=0ms 인 경우이다. 단, 실제로 컴프레서를 사용해보면 소리트랜지언트릴리즈(ADSR)때문에 실제로 저런 식의 컴프레서 사용은 권장되지 않는다. 실제 사용에 있어서는 어택릴리즈 타임이 느린 컴프레서들이 더 선호되는 경향이 있다.
로그인하면 댓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
검색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음향/signal_processor/compressor/compressor.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4/12/23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