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음향:signal_processor:compressor:compressor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컴프레서

초창기 방송국의 FM 무선 전파 방송의 다이나믹 레인지의 한계 때문에 송출가능한 음량의 헤드룸이 8dB 정도 밖에 안되었기 때문에, 방송 송출 직전에 이 헤드룸 사이즈에 맞춰서 소리다이나믹 레인지를 줄이기 위해서 개발되었다. 즉 소리PeakRMS의 차이인 크레스트 팩터를 줄이기 위해서 만들어졌다.

컴프레서는 일정한 Threshold를 넘는 소리를 일정한 비율(Ratio)로 줄임(Compression)으로써 Peak를 줄이고 상대적으로 RMS를 높여서(Make up gain) 소리크레스트 팩터를 줄인다. 이에 따른 부가 적인 효과로는 소리Peak에 비해 RMS가 커지므로 라우드니스가 더 커진 것처럼 들리게 된다.

최근에는 반응이 빠른 트랜지스터나, IC Op-amp를 이용한 정교한 어택 릴리즈 컨트롤이 가능한 피드 포워드 방식의 VCA 컴프레서들을 이용해서 소리어택감을 조절하는 트랜지언트 쉐이퍼로도 사용하게 되었다.

Compressor

In the early days of FM wireless radio broadcasting, due to the limitations of dynamic range, the headroom for broadcast volume was limited to about 8dB. To accommodate this headroom size just before broadcasting, compressors were developed to reduce the dynamic range of the sound, which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Peak and RMS of the audio, effectively reducing the crest factor.

Compressors work by reducing sounds that exceed a certain threshold by a certain ratio, thereby compressing the audio. This reduces the Peaks and relatively increases the RMS, achieved by applying makeup gain. As a result, the crest factor of the sound is reduced. An additional effect of this process is that the sound appears louder, especially since the RMS becomes relatively larger compared to the Peak. Compressors that primarily function in this manner are often referred to as levelers.

Later on, with the advent of faster-reacting transistors and more advanced control over attack and release settings using feedback-style compressors, compressors began to be used as transient shapers to adjust the perceived attack of the sound.

파라미터

Threshold

임계값

입력되는 소리가 Threshold를 넘어서게 되면 Ratio로 설정한 비율대로 소리를 줄이게 되며, 이것을 Gain reduction이라고 한다.

Ratio

비율.

Threshold를 넘는 소리에 대하여, 원래의 소리에 비해 얼마 만큼의 비율로 레벨을 줄일 것 인가를 설정한다.

Time constant

Attack time, Release time

  • Attack time: 입력된 소리가 Threshold를 넘어서 컴프레서 작동이 걸렸을 때, Ratio에서 설정한 비율 만큼 Gain reduction되는 대까지 걸리는 시간
  • Release time: 입력된 소리가 Threshold를 벗어나서 컴프레서 작동이 풀렸을 때, 다시 원래 소리 크기로 돌아오는 대까지 걸리는 시간

Make up gain

보상.

Gain reducion되면 전체 레벨이 줄어들게 된다. 이것을 다시 출력 레벨을 조정하여 보상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컴프레서를 통해 Make up Gain까지 처리한 소리라우드니스, RMS 증가 효과를 얻는다.1)

Knee

  • Hard knee의 경우에는 소리가 Threshold를 넘어야 레벨감쇄(Compression)가 시작되고,
  • Soft knee의 경우에는 소리가 Threshold를 넘기 전부터 레벨감쇄(Compression)가 시작되어 Threshold를 넘어서야 정해진 Ratio로 작동하게 된다.

Side-chain

Side-chain input

다른 입력(key input)을 따로 받아서 그 소스의 PeakRMS를 검출하여 본래 컴프레서를 적용하는 소스에다가 적용하는 방식.

Side-chain filter

사이드 체인 인풋이 없고 사이드 체인 필터만 있는 방식인 경우에는 보통 해당 소스에 하이패스 필터(HPF)를 통해서 저음을 제외한 고음역대만 Peak/RMS를 측정해서, 오리지널 소스에 적용하는 방식이다. 주로 컴프레서를 하게 되면 저역대에 더 크게 영향을 받아서 과도하게 저역대가 사라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고역대의 Peak/RMS만 측정해서 오리지널 소스에 적용하므로 저역대에 대해서는 컴프레서 동작하게 된다.

Ducking Effect

라디오 DJ 들이 음악을 틀면서 말을 할 때, 사이드 체인 인풋을 자신의 목소리로 셋업하고, 컴프레서를 적용하는 소스를 음악으로 지정하여, 말을 할 때마다 음악감쇄 되도록 하는 효과. 오리가 물속으로 잠수하는 것을 말하는 Ducking에서 유래하였다.

Compressor detector

입력 신호레벨을 검출하는 방식

방식에 의한 분류

일반적으로 아날로그 회로에서 신호Peak 성분을 검출하기는 기술 상 매우 어렵기 때문에, 많은 빈티지 컴프레서들은 대부분 RMS detector 방식인 경우가 많다. 하지만 많은 모던 컴프레서들의 경우에는 Peak detecting이 가능하다.

사실 사람의 귀는 소리RMS와 유사한 방식으로 인지 하기 때문에, 그에 비슷한 검출 방식2)컴프레서가 가지는 것이 레벨러 특성3)컴프레서에 적합하다. 하지만, 소리트랜지언트를 다루어야 하는 트랜지언트 쉐이퍼4)컴프레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정확한 Peak에 대한 프로세싱을 하기 위해서는 Peak detector 또한 필요하게 된다.

Detector 위치에 의한 분류

  • 피드백 방식 : 컴프레서가 작동하고 나서 소스를 검증하는 방식으로 소스에 대해서 어택릴리즈에 대해 정밀한 컨트롤이 불가능하고 반응이 느리다. 그래서 음악적이라고 말하기도 한다.5)

하지만 결국 오래된 장비들이 주로 피드백 방식인 이유는, 기술 발전의 부족으로 인하여, 컴프레서증폭 회로 이전에 센서를 장착하면 여러가지로 장비 성능에 불합리한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컴프레서증폭 회로 이후에 센서를 달아서 측정할 수 밖에 없었던 것이었기 때문에, 빈티지 컴프레서들이 피드백 방식이 많은 이유는, 피드백 방식으로 만드는 것이 그 당시의 기술의 한계로 인하여 회로 설계 상 더 간단하고 성능 상 유리했던 것 뿐이라고 생각된다. 실제로 최근의 새로운 타입으로 만들어지는 컴프레서들은 피드 포워드 방식으로 대부분 만들어진다.

Parallel Mix

어떤 컴프레서들에는 믹스(Wet/Dry) 기능이 있어서, 컴프레서가 걸린 오디오 신호컴프레서가 걸리지 않은 원음의 신호를 일정 비율로 섞을 수 있다. 패럴럴 컴프레싱을 위한 기능.

대표적인 클래식 컴프레서들

Diode Bridge

  • 센서 : RMS, Peak detector
  • Ratio : 조절 가능
  • Attack, Release 조절 가능
  • 분류 : Leveler, Transient shaper 등 다양하게 사용 가능

입력 신호에 다이오드 브릿지 회로를 이용한 감쇄를 적용하는 방식의 컴프레서.

한 가지 특징으로는 다이오드 브릿지 회로를 이용한 감쇄 회로는 큰 오디오 신호 처리에는 불리하고 작은 오디오 신호효과적이기 때문에, 입력된 신호를 다이오드 브릿지 회로에 맞게 한번 감쇄 시킨 후 다이오드 브릿지 회로로 보낸다. 그 이후에 다시 오디오 신호를 원래 크기로 복구하는 회로를 다시 거친다. 이 과정에서 많은 잡음이 생성될 수 있기 때문에, 다이오드 브릿지 회로오디오 신호밸런스로 구성, +신호와 - 신호밸런스 회로로 설계되어 차동 증폭단을 거치게 되는 경우가 많다.6) 이 과정에서 IC Op-amp 또는 Discrete Op-amp 가 사용 될 수 있다.7)

따라서 Diode Bridge 방식의 컴프레서는 일반적인 오디오 아웃보드들과는 달리 내부 오디오 신호의 대부분이 밸런스로 처리되며, 레벨감쇄가 다이오드 회로에 의존하므로, 컴프레서 감쇄 작동 범위가 좁다. 또한 밸런스 오디오 회로로 만들어져야 하므로 다이오드 부품 및 기타 회로 부품의 선별이 엄격하게 이루어져야 한다.8) 제작 비용이 다른 컴프레서들에 비하여 많이 들어가며, 퀄리티는 그에 비해 떨어질 가능성이 많다.

자체 노이즈가 매우 높을 수 밖에 없지만, OPTO 방식에 비하면 빠른 반응성을 가지면서 FET 방식에 비해서는 낮은 왜곡을 가지고 있는 장점이 있다.

Neve 2254
Neve 2254

Neve 33609
Neve 33609

Rupert neve 5254
Rupert neve 5254



FET

Urei-1176
Urei-1176

  • 센서 : Peak detector
  • Ratio : 4, 8, 16, 20, all 등 다양
  • Attack, Release 조절 가능
  • 분류 : Leveler, Transient shaper 등 다양하게 사용 가능

FET 증폭의 특성 상, 적절한 게인 리덕션이 들어가면 소스의 오버드라이브가 발생해서 시원하고 강렬한 소리를 들려줌 20의 타격감 큰 소리나, ALL9) 버튼의 특징적인 소리(리미터에 가까운 ratio 와 빠른 릴리스)를 사용하는 경우도 많음



OPTO

Teletronix LA-2A
Teletronix LA-2A

  • 센서 : 사실 상 RMS detector, 전구로 빛을 밝히고 그 빛을 센서로 감지한다. 결국 RMS는 정확히는 아니지만 RMS처럼 동작한다.10) 전구는 몇 개월 마다 교체해야 한다. 만약 전구 수명이 다하면 컴프레션이 잘 걸리지 않는다.11) 요즘은 수명이 긴 LED가 들어있는 제품도 있는데, 느낌은 크게 다르다고 한다.12)
  • Ratio : 약 4:1 로 고정
  • Attack, release 고정 13)
  • 분류 : leveler



사실 이 LA-2A는 구형 장비이기 때문레 레퍼런스 레벨에 대한 표준이 등장하기 이전에 만들어져서, 입출력 연결 방식도 표준에 따르지 않고, 입출력 레벨 또한 16dBu 로 표준에 맞지 않는 장비이기 때문에, 시그널 체인 사용상의 제한사항이 많고 제대로 사용하기가 힘들다.

그래서 LA-2A를 표준에 맞는 시그널 체인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22dBu 나 24dBu출력으로 다시 복각하여 만든 제품들이 있다. TLA-100이나, ADL-1000, Manely ELOP+와 같은 장비들이 바로 그런 제품들이다.

Summit Audio TLA-100A
Summit Audio TLA-100A

ADL 1000
ADL 1000

Manley ELOP
Manley ELOP


Variable-Mu

Fairchild 670
Fairchild 670

  • 센서 : RMS detector
  • Ratio : 가변식, gain reduction에 따라서 2:1 ~ 20:1 까지 변화함 14)
  • 분류 : leveler

TIME constant

어택릴리즈
10.20.3
20.20.8
30.42
40.85
50.42 (Peak),10 (multiple Peak)
60.20.3 (Peak), 10 (multiple Peak), 25 (programme material)



VCA

SSL Quad compressor
SSL Quad compressor

  • 센서 : 주로 Peak detector(기종별로 다를 수 있음, SSL 버스 컴프레서 : RMS 디텍터)
  • Ratio : 2, 4, 10 등 다양
  • 대부분 Attack , Release 조절 가능
  • 분류 : Leveler, Tansient shaper, Master BUS Compressor 등 다양하게 사용 가능

SSL G-comp : 2:1 의 ratio 가 가능해서 버스 컴프레서로 자주 사용,


SSL 6000G BUS compressor

That Corp사의 THAT 2150이라는 VCA Op-amp가 개발되면서, 해당 IC 칩을 이용한 컴프레서프리앰프 제품들이 dbx 사와 SSL 사에서 제작되기 시작했다. VCA 칩은, 컨트롤 입력 전압으로 신호Gain 값을 빠르게 변경할 수 있는 Op-amp를 말한다.

VCA : Voltage Controller Amplifier

dbx160 : 컴프레션(Ratio)에 따라서 Attack과 Release가 자동적으로 최적값으로 적용되는(Adopted attack, Adopted release , 드럼, 베이스) 방식이라 사용하기 쉬움, Master 버스, 레벨러 등 다양한 상황에 사용 가능. 라이브 현장에서 들을 수 있는 트랜지언트가 강하게 강조된 킥과 스네어의 소리는 거의 대부분 dbx160의 소리이다. 다만 랙 형태의 dbx160a와 아래의 사진에 있는 오리지널 dbx160은 차이가 크다.15) 실제 명기로 불리는 제품은 오리지널 dbx160이다.

dbx160
dbx160


컴프레서의 기원이 테이프에 쓰이던 기술인가요?

컴프레서의 기원이 카세트 테이프의 제한된 다이나믹 레인지 안에서 모든 다이내믹을 잘 표현하기 위해서, 다이나믹 레인지를 압축(Compressor)하여 소리를 기록하고, 다시 다이나믹 레인지를 확장(Expander)하여 소리를 재생한다는 내용은, dbx사에 의해 1971년에 개발된 dbx 노이즈 리덕션 기술(Compressor + Expander = Compander)의 내용인데, 이것은 컴프레서의 기원이 아니다. 컴프레서카세트 테이프가 사용되기 훨씬 전부터 이미 사용되고 있었다. 그러므로 컴프레서카세트 테이프에 사용하기 위해 사용했다는 기술, 또는 테이프에 기록할 때 압축하여 기록하기 위해 사용되던 기술이 시초라는 내용은 잘못된 내용이다.

dbx의 이 기술은 보통 카세트 테이프에 많이 쓰이던 기술이다. 릴 테이프의 경우에는 다이나믹 레인지가 높기 때문에 이러한 기술을 사용하지 않았으며, 세미 프로 릴 테이프 머신의 경우(Tascam의 소형 릴 테입이나 Nagra)에는 dbx noise reduction, 또는 유사한 기술이 들어간 제품들이 소수 있었다.

Reference

1)
위 그림과 같은 Audio Brickwall 타입의 컴프레서는 Attack time=0ms releas time=0ms 인 경우이다. 단, 실제로 컴프레서를 사용해보면 소리트랜지언트릴리즈(ADSR)때문에 실제로 저런 식의 컴프레서 사용은 권장되지 않는다. 실제 사용에 있어서는 어택릴리즈 타임이 느린 컴프레서들이 더 선호되는 경향이 있다.
2)
광학 센서를 이용한 Opto detector의 경우에 사람의 귀가 소리를 듣는 방식과 상당히 유사한 동작을 보여준다.
3)
소리RMS를 키워서 라우드니스를 크게 만드는 방식
4)
트랜지언트를 컨트롤하는 방식
5)
어택릴리즈가 반능이 느려서
6)
차동 증폭단은 노이즈에 강하다.
7)
일부 33609 와 같은 경우 이 회로의 구성에 따라 IC 방식 Discrete Circuit 방식으로 리비전이 여러가지 이다.
8)
+ 신호측과 - 신호측의 회로의 특성이 상당히 일치 해야 한다.
9)
4,8,16,20 버튼을 모두 누르는것을 말함
10)
예전 장비에서 들어오는 입력신호를 측정하는 것은 매우 힘들었다고 한다. 따라서 입력신호를 측정하는 회로를 쉽게 구현하기 위해 이러한 방법을 쓴것 같다. 하지만 일반적인 입력신호전압 측정방식과는 다른 이러한 옵토 센서 덕에 독특한 옵토 컴프레서소리가 구현된다.
11)
근데 전구 수명이 다된 상황에서 오래된 빈티지 장비라며 역시 컴프를 깊게 걸어도 소리가 안 걸린 듯(실제 안 걸림) 자연스러워~하며 감탄하는 사람들도 있을수 있다.
12)
사실 RMS 센서를 넣는게 더 나아서 Opto를 표방하며 RMS센서가 달려있는 Opto 컴프레서들도 있다.
13)
Tubetech 의 CL-1B 의 경우는 어택, 릴리즈를 수정이 가능하다. 옵토 컴프의 진화
14)
Vari-Mu , 소리가 크면 클수록 gain reduction이 크게 걸리고 크게 걸릴수록 ratio가 가변한다. 어떻게 보면 테이프 세츄레이션과 비슷하다.
15)
dbx160a는 양산형 저가 버전
로그인하면 댓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
검색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음향/signal_processor/compressor/compressor.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4/03/25 저자 127.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