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음향:signal_processor:equalizer:topology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음향:signal_processor:equalizer:topology [2024/12/23] 정승환음향:signal_processor:equalizer:topology [2025/03/21] (현재) – [이퀄라이저 토폴로지] 정승환
줄 1: 줄 1:
 ======이퀄라이저 토폴로지====== ======이퀄라이저 토폴로지======
  
-이퀄라이저 토폴로지는 신호 처리를 위해 사용하는 회로 설계 방식으로, 주로 패시브와 액티브의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됩니다. 패시브 이퀄라이저는 저항, 인덕터, 캐패시터와 같은 패시브 부품만을 사용하여 주파수를 감쇄하며, 메이크업 게인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반면, 액티브 이퀄라이저는 증폭 소자를 포함하여 신호를 증폭하거나 감쇄하며, 더 정밀한 주파수 조정과 넓은 대역을 처리할 수 있는 설계를 특징으로 합니다. 이러한 토폴로지는 이퀄라이저의 음질, 왜곡, 위상 특성, 조정 가능성 등에 영향을 미칩니다.+이퀄라이저 토폴로지는 신호 처리를 위해 사용하는 회로 설계 방식으로, 주로 패시브와 액티브의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됩니다. 패시브 이퀄라이저는 저항, 인덕터, 캐패시터와 같은 패시브 소자만을 사용하여 주파수를 감쇄하며, 메이크업 게인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반면, 액티브 이퀄라이저는 액티브 소자를 포함하여 신호를 증폭하거나 감쇄하며, 더 정밀한 주파수 조정과 넓은 대역을 처리할 수 있는 설계를 특징으로 합니다. 이러한 토폴로지는 이퀄라이저의 음질, 왜곡, 위상 특성, 조정 가능성 등에 영향을 미칩니다.
  
 ===== 패시브 이퀄라이저 ===== ===== 패시브 이퀄라이저 =====
-패시브 이퀄라이저는 **저항(Resistor)**, **캐패시터(Capacitor)**, **인덕터(Inductor)**와 같은 **패시브 부품**만을 사용하여 신호의 주파수를 조작하는 장치입니다. 자체적으로 신호 증폭을 하지 않기 때문에, 입력 신호보다 출력 신호의 레벨이 낮아질 수 있으며, 종종 **메이크업 게인**(출력 신호를 복원하는 증폭 단계)이 필요합니다.+패시브 이퀄라이저는 **저항(Resistor)**, **캐패시터(Capacitor)**, **인덕터(Inductor)**와 같은 **패시브 소자**만을 사용하여 신호의 주파수를 컨트롤하는 장치입니다. 자체적으로 신호 증폭을 하지 않기 때문에, 입력 신호보다 출력 신호의 레벨이 낮아질 수 있으며, 종종 **메이크업 게인**(출력 신호를 복원하는 증폭 단계)이 필요합니다.
  
 ==== 특징 ==== ==== 특징 ====
줄 29: 줄 29:
  
 ===== 액티브 이퀄라이저 ===== ===== 액티브 이퀄라이저 =====
-액티브 이퀄라이저는 신호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증폭 소자**(Op-Amp, 트랜지스터 등)를 사용하여 주파수를 조작하고, 신호의 감쇠나 증폭을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는 이퀄라이저입니다. 신호의 손실 없이 동작하며, 더 넓은 주파수 대역과 세밀한 조정이 가능합니다.+액티브 이퀄라이저는 신호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액티브 소자**(Op-Amp, 트랜지스터 등)를 사용하여 주파수를 조작하고, 신호의 감쇠나 증폭을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는 이퀄라이저입니다. 신호의 손실 없이 동작하며, 더 넓은 주파수 대역과 세밀한 조정이 가능합니다.
  
 ==== 특징 ==== ==== 특징 ====
줄 50: 줄 50:
 {{:음향:signal_processor:equalizer:20241221-045058.png}} {{:음향:signal_processor:equalizer:20241221-045058.png}}
  
-{{tag>토폴로지}}+=====리니어 페이즈 이퀄라이저===== 
 + 
 +**Linear phase Equalizer** 
 + 
 +디지털 이퀄라이저 설계에서 사용되는 필터 알고리즘을 FIR 필터 알고리즘을 사용함으로써 위상 왜곡이 발생하지 않도록 만들어진 이퀄라이저를 말한다. 다만, 청감상 더 좋은 쪽은 아날로그 필터 설계를 본따 알고리즘을 만든 IIR 필터((natural phase)) 기반의 이퀄라이저이다.((왜냐면 자연계의 모든 주파수 특성은 위상이 변하는 것이 자연스럽기 때문이다. 특히 FIR 필터 알고리즘을 저역 주파수에서 사용할 경우에는 Pre-Ringing 이라는 원음을 크게 왜곡 시키는 현상이 일어난다.)) 따라서 리니어 페이즈 이퀄라이저는 위상 왜곡이 발생하지 말아야 할 경우((예를 들면 특정 주파수 성분만 제거하여도 원래의 소리 특성을 유지해야 할 때))에만 사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 
 +{{tag>"이퀄라이저" "토폴로지"}}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음향/signal_processor/equalizer/topology.1734882659.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4/12/23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