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향:speaker:speaker_unit:subwoofer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음향:speaker:speaker_unit:subwoofer [2025/02/05] – 제거됨 - 바깥 편집 (Unknown date) 127.0.0.1 | 음향:speaker:speaker_unit:subwoofer [2025/04/15] (현재) – 정승환 | ||
---|---|---|---|
줄 1: | 줄 1: | ||
+ | ====== 서브우퍼 ====== | ||
+ | |||
+ | 서브우퍼는 스피커 시스템의 한 유닛으로, | ||
+ | |||
+ | * [[정승환_컬럼: | ||
+ | |||
+ | |||
+ | ======SubWoofer====== | ||
+ | |||
+ | |||
+ | A subwoofer is a unit in a speaker system that specializes in reproducing low-frequency sound. It typically handles frequencies in the range of 20Hz to 200Hz and is responsible for producing deep and powerful bass sounds in music and movies. Subwoofers are commonly used in surround sound systems, home theater setups, and audio systems to enhance the low-frequency effects and improve the overall audio experience. | ||
+ | ===== 서브우퍼와 저음 재생 능력====== | ||
+ | |||
+ | 서브우퍼의 저음 재생 능력은 당연히, 스피커의 유닛 크기가 크면 클 수록 유리한 것은 사실이다. | ||
+ | |||
+ | 스피커의 저음 재생 능력은 스피커가 움직일 수 있는 **공기의 부피와 비례**하게 되므로, 스피커의 크기를 크게 만들거나, | ||
+ | |||
+ | 다만 스피커의 크기를 크게 만드는 것이, 작은 스피커를 앞뒤로 크게 움직이는 것보다 훨씬 설계가 간편하다.((스피커의 앞뒤 변위량을 크게 움직이게 하려면 앰프의 출력이 훨씬 크게 증가 해야 하며, 스피커 유닛 자체의 재질 및 설계에도 많은 기술력이 들어가게 된다.)) | ||
+ | |||
+ | ===== 서브우퍼와 지향성===== | ||
+ | |||
+ | <WRAP important> | ||
+ | </ | ||
+ | ====주파수와 지향성==== | ||
+ | |||
+ | 소리는 저음역대로 갈수록 무지향성에 가깝게 되고, 고음역대로 갈수록 지향성이 크게 증가한다. | ||
+ | |||
+ | {{page>/ | ||
+ | |||
+ | ====서브우퍼 유닛 사이즈와 지향성==== | ||
+ | |||
+ | 유닛의 크기가 커질수록 음원은 면음원의 성질이 강하게 나타나고, | ||
+ | |||
+ | **즉, 스피커의 크기가 커질수록 지향성이 증가한다.** | ||
+ | |||
+ | 반대로 스피커의 크기가 작아질 수록 음원은 점음원의 성질이 강하게 나타나고 점음원은 지향각이 넓어지게 된다. | ||
+ | |||
+ | **즉, 유닛 크기가 작아질 수록 무지향성이 증가한다.** | ||
+ | |||
+ | **추가로 유닛 크기가 커질수록 댐핑 팩터에 불리하기 때문에, 트랜지언트 표현력이 안좋아진다. 즉 스피커가 웅웅거리게 된다.((베이스 앰프 등에서는 그렇기 때문에 12인치 보다 15인치 캐비닛이 더 웅웅거리고, | ||
+ | |||
+ | 이러한 이유로 대형 공연장이나 규모가 큰 스튜디오((시네마 포스트 스튜디오, | ||
+ | |||
+ | {{: | ||
+ | |||
+ | =====서브우퍼와 메인 스피커 간의 레벨===== | ||
+ | |||
+ | 등청감곡선에 의하면 85dBSPL에서 인간의 청각 특성은 서브 우퍼 대역에서 더 높은 음량을 필요로한다. 따라서 서브우퍼도 그에 맞게 더 높은 레벨로 조정하는 것을 권장한다. | ||
+ | |||
+ | 이러한 서브우퍼와 메인 스피커 간의 레벨 조정은 Bass Management를 이용하여 조정한다. 서브우퍼를 벽이나 코너에 밀착시켜서 반사에 의한 증폭을 일부러 얻어내는 방법도 있다. | ||
+ | |||
+ | {{page>/ | ||
+ | |||
+ | =====서브우퍼와 메인 스피커 간의 거리===== | ||
+ | |||
+ | 메인 스피커와 우퍼의 크로스오버 주파수에 의한 이상적인 유닛 간 거리는 크로스오버 파장의 1/4 이하여야 한다. | ||
+ | |||
+ | <WRAP centeralign box> | ||
+ | 크로스오버 주파수가 80Hz 일 때, 유닛간 거리 = 425cm/4 = 106.25cm 이하 이어야 함 | ||
+ | </ | ||
+ | |||
+ | 만약 이 거리를 벗어나서 좀 떨어진 곳에 서브우퍼가 설치 된다면 서브우퍼와 메인 스피커간의 크로스오버 주파수 부근에서 딥이 발생할 수 있다. | ||
+ | |||
+ | <WRAP centeralign box> | ||
+ | 크로스오버 주파수가 80Hz 일 때, 파장은 425cm이고, | ||
+ | </ | ||
+ | |||
+ | 이러한 딥은 다시 Bass management 에서 Phase alignment 기능을 통해 보정이 가능하다. 하지만 Phase alignment 기능을 사용하기 이전에 최소 간격이내에 설치되는 것을 권장한다.((하지만 최소 간격이내에 서브우퍼를 둘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렇기 때문에 Phase alignment 기능이 있는 것이다.)) | ||
+ | |||
+ | =====서브우퍼와 메인 스피커 간의 크로스오버===== | ||
+ | |||
+ | 서브우퍼와 메인 스피커간에는 크로스오버 주파수를 설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 ||
+ | |||
+ | {{: | ||
+ | |||
+ |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서브우퍼를 정중앙에 배치하기 힘든 경우가 많다. 그런데 이렇게 한쪽 구석에 서브우퍼를 놓다보면 저음역대가 한쪽 방향으로 치우치는 느낌이 들어서 매우 불편한 청취감을 줄 가능성이 높아진다. 서라운드 오디오 시스템의 LFE 기본 로우패스 주파수인 120Hz에서는 그럴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 따라서, Bass Management를 통해서 서브우퍼의 크로스오버 주파수를 120Hz 보다 낮춤으로 서브우퍼의 소리가 느껴지는 방향성을 줄일 수 있다. | ||
+ | |||
+ | 서브우퍼의 크로스오버를 어떤 주파수로 설정했는데, | ||
+ | |||
+ | 예를 들면, 서브우퍼와 메인 스피커간의 크로스오버 주파수를 120Hz로 설정했는데, | ||
+ | |||
+ | ==== 서브우퍼의 크로스오버 주파수는 무조건 낮추는 것이 좋은 것인가? | ||
+ | |||
+ | ===크로스오버 주파수를 낮춰야 할까 높혀야 할까=== | ||
+ | |||
+ | 일반적인 저음 재생은 스피커 유닛이 클수록 좋은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스피커 유닛이 커질수록 지향성이 증가하고, | ||
+ | |||
+ | 하지만, 크로스오버를 낮춤으로 인해서 메인 스피커가 상대적으로 담당해야 할 저역대가 많아지게 된다. 특히 5~8인치 의 우퍼 유닛을 가진 모니터 스피커들의 경우 일반적으로 120Hz 이하의 주파수는 대부분 **베이스 리플렉스 홀**을 통해 재생되는 주파수 들이고, 베이스 리플렉스 홀을 통해 재생되는 소리들의 경우에는 소리의 트랜지언트가 부정확하고, | ||
+ | |||
+ | 스피커를 측정해보면 바로 이 저역대에서 위상이 불분명하고, | ||
+ | |||
+ | {{ : | ||
+ | |||
+ | 만약 이러한 메인 스피커와 서브우퍼의 크로스오버를 80Hz 로 설정하고 사용하게 된다면, 60Hz~120Hz 사이의 주파수는 여전히 메인 스피커의 베이스 리플렉스를 통해 재생되고, | ||
+ | |||
+ | 따라서 이러한 측면에서 보면, 서브우퍼가 더 높은 저역대 까지 담당하게 하여 기본 스피커의 베이스 리플렉스 홀을 통해 재생되는 저음을 줄이고 해당 주파수를 서브우퍼가 재생하는 것이 더욱 유리하다. 메인 스피커의 베이스 리플렉스 홀에서 재생되던 주파수 구간이 서브우퍼로 옮겨지게 되면서, 트랜지언트가 크게 개선되고, | ||
+ | |||
+ | **즉, 메인 스피커의 우퍼에 가해지는 부담을 덜어줄 수 있다.** | ||
+ | |||
+ | 특히, 후면 베이스 리플렉스 홀을 가진 메인 스피커 시스템인 경우, 서브우퍼로 해당 주파수 대역을 담당하도록 크로스오버를 설정하면, | ||
+ | |||
+ | 따라서 서브우퍼와 기본 스피커간의 크로스오버 주파수의 설정은 무지향성 때문에 무조건 낮추는 것이 아닌, | ||
+ | |||
+ | <WRAP important> | ||
+ | |||
+ | ===서브우퍼가 무지향성을 더 강하게 가지게 하기 위한 설계 === | ||
+ | |||
+ | 서브우퍼의 크로스오버 주파수를 높히고 싶어도 큰 유닛을 가진 서브우퍼 일수록 면음원의 성질에 가깝기 때문에 크로스오버 주파수를 높히기가 쉽지 않다.((그래서 상대적으로 큰 공간인 시네마 포스트 스튜디오나 공연장 등의 환경에서는 저역대의 무지향성을 얻기 위해 여러개의 서브우퍼를 특수하게 배치하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 ||
+ | |||
+ | 반면, 스피커 유닛의 크기를 줄이고 앞뒤 변위량을 증가시킨다던지, | ||
+ | |||
+ | 아래의 스피커는 Yamaha의 HS8S 모델이다. 내부에 다운 파이어링을 하는 8인치의 스피커 유닛이 있고, 외부에는 8인치 유닛의 작동으로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하여 더 낮은 저음역대를 출력해주는 베이스 리플렉스 홀이 있다. 베이스 리플렉스 홀에서는 8인치 유닛에서 재생하는 저음역대보다 더 낮은 저음역대((무지향성))가 재생된다. | ||
+ | |||
+ | 이런 식의 작은 서브우퍼 유닛 + 베이스 리플렉스 구조는 스피커를 더욱더 무지향성에 가깝게 만들어 줄 수 있다. | ||
+ | |||
+ | 이러한 서브우퍼 유닛 설계는 스튜디오 모니터에서는 대표적으로 Yamaha와 제네렉((7040 서브우퍼의 경우는 스피커 유닛이 6.5인치, 7050 서브우퍼의 경우는 8인치))이 구현하고 있다. | ||
+ | |||
+ | **Genelec 7040, 7050** | ||
+ | {{ : | ||
+ | |||
+ | {{ : | ||
+ | |||
+ | 일반적인 12인치 스피커 유닛을 가진 서브우퍼와 Yamaha의 8인치 스피커 유닛 서브우퍼를 실제로 비교하면, | ||
+ | |||
+ | 이러한 Yamaha나 제네렉의 서브우퍼 설계는 스피커 유닛의 크기만으로 승부를 보는 시시한 일반적인 서브우퍼 설계를 벗어나서 서브우퍼 자체의 무지향성을 크게 증가시키는 한 단계 앞선 설계라고 볼 수 있다.((심지어 Yamaha는 hs10s 라는 10" 유닛을 가진 모델이었고 무지향 성향이 상대적으로 부족했던 모델을 단종시키고, | ||
+ | |||
+ | 이렇게 서브우퍼가 무지향성이 강한 성향으로 설계를 하기 때문에, 서브우퍼의 소리가 어디서 나는지 알아채기 힘들다. 따라서, 이러한 설계의 서브우퍼들은 어느 위치에 놓아도 전체 스피커 시스템의 정위감이 흐트러지지 않는다. | ||
+ | |||
+ | 하지만, 이런 설계에는 단점도 존재한다. 큰 음압을 내기 위해서는 적합하지 않기 때문에 작은 공간을 위한 서브우퍼에 주로 사용된다. 작은 사이즈의 서브우퍼 유닛을 더 큰 앞뒤 변위량으로 구동하기 위해서는 앰프의 출력이 훨씬 높아져야 해서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이보다 더 큰 음압을 내기 위한 서브우퍼는 전통적인 설계인 우퍼 유닛 사이즈를 키우는 경우가 많다.))((공연장과 같은 큰 공간에서는 큰 음압을 내야하므로 유닛 사이즈가 큰 우퍼를 사용하게 된다. 유닛 사이즈가 큼으로 인해서 저역대의 방향성이 느껴지게 되는 것을 막기 위해 최소 두개 이상의 서브우퍼를 사용한다. 또한 무대로 저음역대가 흘러 들어가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해 추가로 서브우퍼를 더 사용하여 지향성 카디오이드 배치를 한다.)) | ||
+ | |||
+ | **Yamaha HS8S** | ||
+ | * 8인치 서브우퍼 유닛 다운 파이어링 | ||
+ | * 자사의 HS 시리즈 모니터 스피커와 쉬운 매칭 | ||
+ | {{ http:// | ||
+ | |||
+ | {{ : | ||
+ | |||
+ | **KEF KC62** | ||
+ | * 6.5인치 서브우퍼 유닛 대칭형 구조로 무지향성 극대화 및 진동 상쇄 | ||
+ | * 105dBSPL, 매우 작은 사이즈 실현, 246x256x248mm | ||
+ | {{ : | ||
+ | |||
+ | **KALI Watt WS6.2** | ||
+ | * 6.5인치 서브우퍼 유닛 대칭형 구조로 무지향성 극대화 및 진동 상쇄 | ||
+ | * 120dBSPL | ||
+ | {{ : | ||
+ | |||
+ | ======Reference====== | ||
+ | |||
+ | [[https:// | ||
+ | |||
+ | [[https:// | ||
+ | |||
+ | {{tag>" | ||
+ | |||
+ | |||
+ | |||
+ | |||
+ | |||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