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음향:speaker:speaker_unit_sizes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양쪽 다음 판
음향:speaker:speaker_unit_sizes [2024/05/13] – [스피커 유닛 사이즈와 저역 재생 능력의 관계] 정승환음향:speaker:speaker_unit_sizes [2024/05/13] 정승환
줄 18: 줄 18:
 ====Speaker Size==== ====Speaker Size====
  
-그 다음에 고려되어야 할 사항은 스피커의 사이즈이다.+그 다음에 고려되어야 할 사항은 스피커의 [[음향:speaker:thiele_small:sd|유효면적]]이다.
  
 어떤 1인치의 스피커가 40Hz 로 앞뒤로 진동하고 있고, 10인치의 스피커가 40Hz 로 똑같이 앞뒤로 진동하고 있을 때, 이 두 스피커가 만들어내는 공기의 부피량의 차이는 100배 이기 때문에 이 두 스피커가 만들어내는 음압은 100배의 차이가 난다.   어떤 1인치의 스피커가 40Hz 로 앞뒤로 진동하고 있고, 10인치의 스피커가 40Hz 로 똑같이 앞뒤로 진동하고 있을 때, 이 두 스피커가 만들어내는 공기의 부피량의 차이는 100배 이기 때문에 이 두 스피커가 만들어내는 음압은 100배의 차이가 난다.  
줄 31: 줄 31:
 ====Speaker Excursion==== ====Speaker Excursion====
  
-스피커의 사이즈만 음압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다. 스피커가 앞뒤로 움직이는 변위량(Excursion)도 음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이다.+스피커의 사이즈만 음압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다. 스피커가 앞뒤로 움직이는 [[음향:speaker:thiele_small:xmax|변위량]](Excursion)도 음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이다.
  
 똑같은 10인치 크기를 가진 스피커 A 와 B 가 있을 때, 스피커 A 는 앞뒤로 1cm 움직이고, 스피커 B 는 앞뒤로 10cm 움직일 때, 이 두 스피커가 만들어내는 공기의 부피량은 10배의 차이가 난다. 이 두 스피커가 만들어내는 음압은 10배의 차이가 난다. 똑같은 10인치 크기를 가진 스피커 A 와 B 가 있을 때, 스피커 A 는 앞뒤로 1cm 움직이고, 스피커 B 는 앞뒤로 10cm 움직일 때, 이 두 스피커가 만들어내는 공기의 부피량은 10배의 차이가 난다. 이 두 스피커가 만들어내는 음압은 10배의 차이가 난다.
줄 38: 줄 38:
  
 따라서 작은 스피커라 해도 앰프의 출력이 충분하고 스피커의 재질과 설계가 좋다면 앞뒤로 많이 움직여서 큰 스피커와 얼마든지 같은 저역대의 음압을 만들어 낼 수 있다. 따라서 작은 스피커라 해도 앰프의 출력이 충분하고 스피커의 재질과 설계가 좋다면 앞뒤로 많이 움직여서 큰 스피커와 얼마든지 같은 저역대의 음압을 만들어 낼 수 있다.
- 
- 
  
 ====Size vs Excursion==== ====Size vs Excursion====
줄 46: 줄 44:
    
 스피커가 쉽게 저음역대에 큰 음압을 낼 수 있도록 설계 하기 위해서는 스피커의 사이즈를 크게 늘리면 된다. 하지만 스피커가 사이즈가 커질수록 소리의 성질은 점음원에서 면음원으로 변경되고 스피커의 지향각이 좁아진다. 스피커가 쉽게 저음역대에 큰 음압을 낼 수 있도록 설계 하기 위해서는 스피커의 사이즈를 크게 늘리면 된다. 하지만 스피커가 사이즈가 커질수록 소리의 성질은 점음원에서 면음원으로 변경되고 스피커의 지향각이 좁아진다.
- 
  
 ===분할 진동=== ===분할 진동===
줄 52: 줄 49:
  
 ===댐핑 특성=== ===댐핑 특성===
 +
 +[[음향:speaker:thiele_small:q|퀄리티 팩터]]
  
 스피커의 사이즈가 커질수록 응답 특성이 안좋아진다. 즉 스피커가 받은 신호에 대해서 정확한 동작을 해야 하지만, 사이즈가 큰 스피커일 수록 정확한 제어가 안되고 응답이 느리거나 여진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뜻이다. 즉 큰 사이즈의 스피커일수록 제어가 쉽지 않기 때문에 음의 트랜지언트 및 릴리즈 표현에 매우 불리하다. 작은 사이즈의 스피커일수록 제어가 쉽게 가능하기 때문에 음의 트랜지언트 및 릴리즈 표현에 매우 유리하다. 반응이 느린 경우 그룹 딜레이로 측정될 수 있다. 스피커의 사이즈가 커질수록 응답 특성이 안좋아진다. 즉 스피커가 받은 신호에 대해서 정확한 동작을 해야 하지만, 사이즈가 큰 스피커일 수록 정확한 제어가 안되고 응답이 느리거나 여진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뜻이다. 즉 큰 사이즈의 스피커일수록 제어가 쉽지 않기 때문에 음의 트랜지언트 및 릴리즈 표현에 매우 불리하다. 작은 사이즈의 스피커일수록 제어가 쉽게 가능하기 때문에 음의 트랜지언트 및 릴리즈 표현에 매우 유리하다. 반응이 느린 경우 그룹 딜레이로 측정될 수 있다.
줄 58: 줄 57:
  
 {{:음향:speaker:20230804-172004.png}} {{:음향:speaker:20230804-172004.png}}
- 
- 
  
 =====스피커의 사이즈에 따른 장단점 예시===== =====스피커의 사이즈에 따른 장단점 예시=====
줄 96: 줄 93:
 저음 재생을 위해서 무조건적으로 스피커의 사이즈를 늘리면 좋겠다 라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가끔 있다. 과거에는 앰프의 기술이나 스피커의 재질에 관한 기술이 발전하지 못하여, 감도가 높은 스피커 유닛으로 사이즈를 늘리는 것이 저역 재생을 위한 유일한 해답이었던 시절도 있었던 것은 사실이다.  저음 재생을 위해서 무조건적으로 스피커의 사이즈를 늘리면 좋겠다 라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가끔 있다. 과거에는 앰프의 기술이나 스피커의 재질에 관한 기술이 발전하지 못하여, 감도가 높은 스피커 유닛으로 사이즈를 늘리는 것이 저역 재생을 위한 유일한 해답이었던 시절도 있었던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사실 스피커의 사이즈와 앞뒤 변위량은 스피커의 재질과 지향각, 응답 특성 등 스피커의 전면적인 부분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그렇게 고려하여 적절한 스피커의 사이즈와 감도, 앰프의 적절한 출력이 정해지게 된다. 오히려 최근에는 작은 사이즈의 스피커들에서 더욱더 고성능의 스피커 성능이 나오는 경향이 강해졌다. 스피커를 작게 만들었을 경우, 특히 지향각과 스테레오 이미지, 스피커가 마주보는 벽의 스탠딩 웨이브의 영향을 들 받는 점, 서브우퍼의 경우에는 무지향성에서 많은 장점이 생긴다. 또한 유닛이 작아지면 멀티-way 스피커에서 트위터와 우퍼의 간격과 크로스오버 주파수에 의한 로빙 오류 또한 줄일 수 있다.((유닛 간의 간격은 크로스오버 주파수의 1/4이내 이어야 로빙 오류가 제거된다.)) +하지만, 사실 스피커의 사이즈와 앞뒤 변위량은 스피커의 재질과 지향각, 응답 특성 등 스피커의 전면적인 부분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그렇게 고려하여 적절한 스피커의 사이즈와 감도, 앰프의 적절한 출력이 정해지게 된다. 오히려 최근에는 작은 사이즈의 스피커들에서 더욱더 고성능의 스피커 성능이 나오는 경향이 강해졌다. 스피커를 작게 만들었을 경우, 특히 지향각과 스테레오 이미지, 스피커가 마주보는 벽의 스탠딩 웨이브의 영향을 들 받는 점, 서브우퍼의 경우에는 무지향성에서 많은 장점이 생긴다. 또한 유닛이 작아지면 멀티-way 스피커에서 트위터와 우퍼의 간격과 크로스오버 주파수에 의한 [[음향:speaker:acoustic_lobing|로빙 에러]] 또한 줄일 수 있다.((유닛 간의 간격은 크로스오버 주파수의 1/4이내 이어야 로빙 오류가 제거된다.)) 
  
 따라서, 서브우퍼나 우퍼가 무조건 사이즈가 더 커야만 저음을 제대로 재생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매우 잘못된 생각이다. 스피커의 저음 재생 능력이나 지향각, 최대 음압 등은 스피커의 스펙 시트를 보면 알 수 있다.  따라서, 서브우퍼나 우퍼가 무조건 사이즈가 더 커야만 저음을 제대로 재생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매우 잘못된 생각이다. 스피커의 저음 재생 능력이나 지향각, 최대 음압 등은 스피커의 스펙 시트를 보면 알 수 있다.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음향/speaker/speaker_unit_sizes.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4/05/24 저자 127.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