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음향:speaker:thiele_small:fs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음향:speaker:thiele_small:fs [2024/05/10] 정승환음향:speaker:thiele_small:fs [2024/05/27] (현재) 정승환
줄 1: 줄 1:
 {{indexmenu_n>1}} {{indexmenu_n>1}}
-======fs======+======Fs======
  
 **스피커 유닛의 자체 공진 주파수** **스피커 유닛의 자체 공진 주파수**
줄 8: 줄 8:
 스피커 유닛의 자체 공진 주파수를 피해서 재생 주파수 범위를 정해야 한다.  스피커 유닛의 자체 공진 주파수를 피해서 재생 주파수 범위를 정해야 한다. 
  
-이것은 자유 공기에서의 공진 주파수이다. 이것은 스피커가 최소한의 노력으로도 움직일 수 있는 주파수이다. 유닛을 손끝으로 툭툭 쳐보면 유닛이 자체적으로 특정한 음정을 가지는 것을 들어볼 수 있다. 이 음정이 스피커 유닛의 공진 주파수이다. 이 공진 주파수가 100Hz라면 이 스피커 유닛은 100Hz 이상을 재생하도록 사용해야 한다. 만약 100Hz를 재생하도록 한다면 스피커가 공진 주파수에서 공진해버려서 100Hz를 중심으로 특유의 음정을 생성하게 된다. 가끔 PC 스피커나 아주 작은 스피커에서 공진 주파수가 높은 경우 박시(Boxy)한 소리가 나는 현상이 발생한다. 공진 주파수 이하의 주파수에서는 스피커 유닛의 응답의 효율성이 현저하게 줄어들며, 드라이버를 고장낼 수 있다. 우퍼는 일반적으로 13~60Hz의 범위에 f<sub>s</sub>가 있습니다. 미드 레인지는 일반적으로 60~500Hz의 범위에 있으며, 트위터는 500Hz에서 4kHz 사이에 위치한다. +이것은 자유 공기에서의 공진 주파수이다. 이것은 스피커가 최소한의 노력으로도 움직일 수 있는 주파수이다. 유닛을 손끝으로 툭툭 쳐보면 유닛이 자체적으로 특정한 음정을 가지는 것을 들어볼 수 있다. 이 음정이 스피커 유닛의 공진 주파수이다. 이 공진 주파수가 100Hz라면 이 스피커 유닛은 100Hz 이상을 재생하도록 사용해야 한다. 만약 100Hz를 재생하도록 한다면 스피커가 공진 주파수에서 공진해버려서 100Hz를 중심으로 특유의 음정을 생성하게 된다. 가끔 PC 스피커나 아주 작은 스피커에서 공진 주파수가 높은 경우 박시(Boxy)한 소리가 나는 현상이 발생한다. 공진 주파수 이하의 주파수에서는 스피커 유닛의 응답의 효율성이 현저하게 줄어들며, 드라이버를 고장낼 수 있다. 우퍼는 일반적으로 13~60Hz의 범위에 f<sub>s</sub>가 있다. 미드 레인지는 일반적으로 60~500Hz의 범위에 있으며, 트위터는 500Hz에서 4kHz 사이에 위치한다. 
  
 {{ :음향:hardware:specification:20231030-115014.png }} {{ :음향:hardware:specification:20231030-115014.png }}
줄 42: 줄 42:
  
 유닛의 움직이는 파트의 질량이 무겁고 유연성이 높을수록 공진 주파수는 낮아진다. 유닛의 움직이는 파트의 질량이 무겁고 유연성이 높을수록 공진 주파수는 낮아진다.
 +
 +병에 물을 채우고 치거나 입구에 바람을 불어 공명시키면 음정이 나오고, 물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음정이 나오지만 병의 자체적인 공진 주파수(물을 비웠을 때 나는 소리) 이하의 주파수는 낼 수 없습니다. F<sub>s</sub>도 이와 비슷합니다.
  
 {{ :음향:speaker:20240418-175646.png }} {{ :음향:speaker:20240418-175646.png }}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음향/speaker/thiele_small/fs.1715318558.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4/05/10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