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향:specification:dynamic_range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음향:specification:dynamic_range [2024/09/28] – [기술적 측면에서의 다이나믹 레인지] 정승환 | 음향:specification:dynamic_range [2025/03/17] (현재) – 정승환 | ||
---|---|---|---|
줄 1: | 줄 1: | ||
- | ======다이나믹 레인지====== | + | ======다이내믹 레인지====== |
- | **Dynamic | + | **Dynamic |
- | 다이나믹 레인지는 음향이나 음악에서 사용되는 개념으로, | + | 다이내믹 레인지는 음향이나 음악에서 사용되는 개념으로, |
- | =====기술적 측면에서의 다이나믹 레인지===== | + | * **장비의 관점에서의 다이내믹 레인지**: |
+ | * **음악의 관점에서의 다이내믹 레인지**: 음악에서 다이내믹 레인지는 **가장 조용한 부분**과 **가장 큰 부분** 사이의 차이를 의미합니다. 다이내믹 레인지가 크면 곡의 감정적 표현이 더 강렬하고, | ||
- | 음향적인 측면에서 다이나믹 레인지는 소리의 볼륨 변화 범위를 의미합니다. 이는 헤드폰이나 스피커로 재생되는 음악이나 오디오에서 가장 조용한 소리와 가장 큰 소리 사이의 차이를 나타냅니다. 높은 다이나믹 레인지를 가진 오디오 시스템은 세부 사운드를 정확하게 재현하고, | + | =====기술적 측면에서의 다이내믹 레인지===== |
+ | |||
+ | 음향적인 측면에서 다이내믹 레인지는 소리의 볼륨 변화 범위를 의미합니다. 이는 헤드폰이나 스피커로 재생되는 음악이나 오디오에서 가장 조용한 소리와 가장 큰 소리 사이의 차이를 나타냅니다. 높은 다이내믹 레인지를 가진 오디오 시스템은 세부 사운드를 정확하게 재현하고, | ||
{{음향: | {{음향: | ||
- | **오디오 장비들의 일반적인 다이나믹 레인지** | + | **오디오 장비들의 일반적인 다이내믹 레인지** |
- | | 마이크 | + | <WRAP tablewidth 90% center> |
- | | 마이크 프리앰프 | + | | 마이크 |
- | | 레코딩 콘솔 | + | | 무선 마이크(아날로그) |
- | | 디지털 콘솔 | + | | 무선 마이크(디지털) |
- | | | + | | 마이크 프리앰프 |
- | | 마스터 릴 테이프 | + | 하여 게인을 얼마나 지정하여 신호크기를 어떻게 증폭하느냐에 따라서 사용상의 다이내믹 레인지는 달라질 수 있다.)) |
+ | | 레코딩 콘솔 | ||
+ | | 디지털 콘솔 | ||
+ | | | ||
+ | | 마스터 | ||
| 비닐 레코드판 | | 비닐 레코드판 | ||
- | | | + | | |
- | | | + | | |
| 아날로그 FM 라디오 | | 아날로그 FM 라디오 | ||
| 니어필드 모니터 스피커 | | 니어필드 모니터 스피커 | ||
+ | </ | ||
* https:// | * https:// | ||
줄 33: | 줄 41: | ||
마이크의 스펙에서 보면 MaxSPL과 Self-Noise 가 있다. | 마이크의 스펙에서 보면 MaxSPL과 Self-Noise 가 있다. | ||
- | 마이크에서 활용할 수 있는 범위는 바로 Self-Noise ~ MaxSPL 사이의 범위 이므로 마이크로폰의 다이나믹 레인지는 이 범위를 말한다. | + | 마이크에서 활용할 수 있는 범위는 바로 Self-Noise ~ MaxSPL 사이의 범위 이므로 마이크로폰의 다이내믹 레인지는 이 범위를 말한다. |
예시) | 예시) | ||
줄 39: | 줄 47: | ||
* Self-Noise : 20dBA | * Self-Noise : 20dBA | ||
- | 다이나믹 레인지 : 145dBSPL-20dBA = 125dB | + | 다이내믹 레인지 : 145dBSPL-20dBA = 125dB |
===마이크 프리앰프=== | ===마이크 프리앰프=== | ||
- | 마이크 프리앰프는 장비 마다 전부 다른 최대 입력 레벨 및 Gain Range 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 + | 마이크 프리앰프는 장비마다 전부 다른 최대 입력 레벨 및 게인 범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
- | EIN = -130dB : 다이나믹 레인지 | + | EIN = -130dB: |
===오디오 인터페이스 및 컨버터=== | ===오디오 인터페이스 및 컨버터=== | ||
줄 56: | 줄 64: | ||
해당 장비의 최대 입력 레벨을 같이 포함하여 장비의 최소 레벨 부터, 최대 레벨 까지의 범위를 구할수 있다. | 해당 장비의 최대 입력 레벨을 같이 포함하여 장비의 최소 레벨 부터, 최대 레벨 까지의 범위를 구할수 있다. | ||
- | 최대 입력 레벨이 22dBu 이면서, 노이즈 플로어 값이 -100dBu 인 제품의 경우 다이나믹 레인지는 | + | 최대 입력 레벨이 22dBu 이면서, 노이즈 플로어 값이 -100dBu 인 제품의 경우 다이내믹 레인지는 |
**22+100=122dB** | **22+100=122dB** | ||
줄 63: | 줄 71: | ||
===액티브 스피커==== | ===액티브 스피커==== | ||
+ | |||
+ | 액티브 스피커의 다이내믹 레인지는 스피커가 처리할 수 있는 가장 작은 소리(Self-Noise)와 가장 큰 소리(Max SPL) 사이의 차이를 데시벨(dB)로 나타낸 값입니다. 이는 스피커가 얼마나 넓은 음량 범위를 재현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성능 지표입니다. | ||
다이내믹 레인지 = MaxSPL - Self-Noise | 다이내믹 레인지 = MaxSPL - Self-Noise | ||
줄 74: | 줄 84: | ||
{{음향: | {{음향: | ||
- | ua apollo x6의 마이크 입력의 경우 PAD on에서 최대 입력 레벨이 26dBu((PAD on 이지만 이렇게 기재했을 경우 스펙 자체의 모든 값이 PAD on 을 기준으로 한다.실제로는 PAD off 에서 최대 입력 레벨은 6dBu 이다. UA 쪽의 마켓팅 전략에 의해 이렇게 표기한 것 같다.)) 이고, 스펙에 기제된 다이나믹 레인지가 122dB 이므로, 122-26= 96, 즉 이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마이크 입력의 노이즈 플로어는 -96dBu라고 볼 수 있다. | + | ua apollo x6의 마이크 입력의 경우 PAD on에서 최대 입력 레벨이 26dBu((PAD on 이지만 이렇게 기재했을 경우 스펙 자체의 모든 값이 PAD on 을 기준으로 한다.실제로는 PAD off 에서 최대 입력 레벨은 6dBu 이다. UA 쪽의 마켓팅 전략에 의해 이렇게 표기한 것 같다.)) 이고, 스펙에 기제된 다이내믹 레인지가 122dB 이므로, 122-26= 96, 즉 이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마이크 입력의 노이즈 플로어는 -96dBu라고 볼 수 있다. |
줄 81: | 줄 91: | ||
{{음향: | {{음향: | ||
- | RME 옥타 마이크의 경우는 최대 입력 레벨이 21dBu, SNR 로 표기를 하는 것이 110dB 인데, SNR 값은 노미널 레벨을 기준으로 잡는 레벨이므로 실질적으로는 노이즈 플로어는 -106dBu((옥타 마이크 노미널 레벨 = +4dBu)) 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 장비의 다이나믹 레인지는 21+106= 127dB 이다. | + | RME 옥타 마이크의 경우는 최대 입력 레벨이 21dBu, SNR 로 표기를 하는 것이 110dB 인데, SNR 값은 노미널 레벨을 기준으로 잡는 레벨이므로 실질적으로는 노이즈 플로어는 -106dBu((옥타 마이크 노미널 레벨 = +4dBu)) 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 장비의 다이내믹 레인지는 21+106= 127dB 이다. |
줄 92: | 줄 102: | ||
이 마이크의 MaxSPL 은 162dBSPL 이고, Self-Noise 는 10dBA 이다. 따라서 | 이 마이크의 MaxSPL 은 162dBSPL 이고, Self-Noise 는 10dBA 이다. 따라서 | ||
- | 162-10dBA= 152dB 의 다이나믹 레인지를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 + | 162-10dBA= 152dB 의 다이내믹 레인지를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
- | =====음악적 측면에서의 다이나믹 레인지===== | + | =====음악적 측면에서의 다이내믹 레인지===== |
- | 음악의 다이나믹 레인지에 대한 연구 논문\\ | + | 음악의 다이내믹 레인지에 대한 연구 논문\\ |
https:// | https:// | ||
- | 음악적 측면에서의 다이나믹 레인지는 음악이 연주되는 구간 중에서 가장 작은 소리와 가장 큰 소리를 내는 구간의 차이를 말한다. | + | 음악적 측면에서의 다이내믹 레인지는 음악이 연주되는 구간 중에서 가장 작은 소리와 가장 큰 소리를 내는 구간의 차이를 말한다. |
- | 일반적인 음악에서 다이나믹 레인지는 12dB 정도라고 알려져 있으며, EDM 이나 Rock 에서는 6dB 로 매우 다이나믹 레인지의 폭이 좁기도 하다. 재즈에서는 12~20dB 까지의 다이나믹 레인지가 표현되며, | + | 일반적인 음악에서 다이내믹 레인지는 12dB 정도라고 알려져 있으며, EDM 이나 Rock 에서는 6dB 로 매우 다이내믹 레인지의 폭이 좁기도 하다. 재즈에서는 12~20dB 까지의 다이내믹 레인지가 표현되며, |
- | VU 미터를 잘 살펴 보면 -20VU ~ +3VU 까지 표시하도록 되어있는데, | + | VU 미터를 잘 살펴 보면 -20VU ~ +3VU 까지 표시하도록 되어있는데, |
- | + | ||
- | 기술적 측면에서의 다이나믹 레인지와 용어가 혼동되는 경향이 있어서 Loudness Range로 점차 바꿔 부르는 추세이다. | + | |
{{: | {{: | ||
+ | |||
+ | {{tag>" | ||
- | {{page> |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음향/specification/dynamic_range.1727450755.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4/09/28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