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음향:specification:dynamic_range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음향:specification:dynamic_range [2024/09/28] – [기술적 측면에서의 다이나믹 레인지] 정승환음향:specification:dynamic_range [2025/03/17] (현재) 정승환
줄 1: 줄 1:
-======다이믹 레인지======+======다이믹 레인지======
  
-**Dynamic range**+**Dynamic Range**
  
-다이믹 레인지는 음향이나 음악에서 사용되는 개념으로, 소리의 가장 작은 부분과 가장 큰 부분 사이의 차이를 나타냅니다. 이는 소리의 다양성과 강도를 나타내며, 음악이나 오디오의 품질과 표현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다이믹 레인지는 음향이나 음악에서 사용되는 개념으로, 소리의 가장 작은 부분과 가장 큰 부분 사이의 차이를 나타냅니다. 이는 소리의 다양성과 강도를 나타내며, 음악이나 오디오의 품질과 표현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술적 측면에서의 다이믹 레인지=====+  * **장비의 관점에서의 다이내믹 레인지**: 장비의 다이내믹 레인지는 장비가 처리할 수 있는 **최소 신호 레벨**(노이즈 플로어)과 **최대 신호 레벨**(클리핑이 발생하기 직전의 레벨) 사이의 차이를 의미합니다. 이 값이 클수록 장비는 더 넓은 범위의 신호를 왜곡 없이 처리할 수 있습니다. 
 +  * **음악의 관점에서의 다이믹 레인지**: 음악에서 다이내믹 레인지는 **가장 조용한 부분**과 **가장 큰 부분** 사이의 차이를 의미합니다. 다이내믹 레인지가 크면 곡의 감정적 표현이 더 강렬하고, 다이내믹 레인지가 좁으면 일관된 음량으로 곡이 진행됩니다.
  
-음향적인 측면에서 다이믹 레인지는 소리의 볼륨 변화 범위를 의미합니다. 이는 헤드폰이나 스피커로 재생되는 음악이나 오디오에서 가장 조용한 소리와 가장 큰 소리 사이의 차이를 나타냅니다. 높은 다이믹 레인지를 가진 오디오 시스템은 세부 사운드를 정확하게 재현하고, 음악의 원래 음량과 감정을 더욱 잘 전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압축된 오디오 형식이나 제한된 장비에서는 다이믹 레인지가 줄어들 수 있어 음악이나 오디오의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기술적 측면에서의 다이내믹 레인지===== 
 + 
 +음향적인 측면에서 다이믹 레인지는 소리의 볼륨 변화 범위를 의미합니다. 이는 헤드폰이나 스피커로 재생되는 음악이나 오디오에서 가장 조용한 소리와 가장 큰 소리 사이의 차이를 나타냅니다. 높은 다이믹 레인지를 가진 오디오 시스템은 세부 사운드를 정확하게 재현하고, 음악의 원래 음량과 감정을 더욱 잘 전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압축된 오디오 형식이나 제한된 장비에서는 다이믹 레인지가 줄어들 수 있어 음악이나 오디오의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음향:hardware:specification:dynamic_range:pasted:20220112-234616.png}} {{음향:hardware:specification:dynamic_range:pasted:20220112-234616.png}}
  
-**오디오 장비들의 일반적인 다이믹 레인지** +**오디오 장비들의 일반적인 다이믹 레인지** 
-|  마이크  |  120~130dB((노이즈가 적기로 유명한 Rode NT1 과 같은 마이크는 MaxSPL이 135dBSPL, 노이즈 플로어는 4.5dBA이다. 따라서 이 마이크의 전체 다이믹 레인지는 130.5dB 쯤 된다. 하지만 대부분의 마이크들은 120dB 정도의 다이믹 레인지를 가진다.))  |   +<WRAP tablewidth 90% center> 
-|  마이크 프리앰프  |  120~130dB((최신의 하이엔드 마이크 프리앰프들의 EIN은 130dB 정도가 거의 최상급이다. 다만 마이크와 연결하여 게인을 얼마나 지정하여 신호크기를 어떻게 증폭하느냐에 따라서 사용상의 다이믹 레인지는 달라질 수 있다.))  |   +|  마이크  |  120~130dB((노이즈가 적기로 유명한 Rode NT1 과 같은 마이크는 MaxSPL이 135dBSPL, 노이즈 플로어는 4.5dBA이다. 따라서 이 마이크의 전체 다이믹 레인지는 130.5dB 쯤 된다. 하지만 대부분의 마이크들은 120dB 정도의 다이믹 레인지를 가진다.))    
-|  레코딩 콘솔  |  90~110dB((레코딩 콘솔들의 다이믹 레인지는 보통 마이크 프리앰프의 다이믹 레인지보다 높기 힘든데, Neve AIR 콘솔의 경우 106dB의 다이믹 레인지를 제공한다고 한다.- https://www.ams-neve.com/award-winning-scores))  |   +|  무선 마이크(아날로그)  |  70~90dB  |   
-|  디지털 콘솔  |  100~110dB    +|  무선 마이크(디지털)  |  110~120dB    
-|  릴 to 릴 테이프 레코더(멀티트랙)  |  60~70dB  |   +|  마이크 프리앰프  |  120~130dB((최신의 하이엔드 마이크 프리앰프들의 EIN은 130dB 정도가 거의 최상급이다. 다만 마이크와 연결 
-|  마스터 릴 테이프  |  70~80dB  |  +하여 게인을 얼마나 지정하여 신호크기를 어떻게 증폭하느냐에 따라서 사용상의 다이믹 레인지는 달라질 수 있다.))  |   
 +|  레코딩 콘솔  |  90~110dB((레코딩 콘솔들의 다이믹 레인지는 보통 마이크 프리앰프의 다이믹 레인지보다 높기 힘든데, Neve AIR 콘솔의 경우 106dB의 다이믹 레인지를 제공한다고 한다.- https://www.ams-neve.com/award-winning-scores))  |   
 +|  디지털 콘솔  |  100~120dB((Yamaha DM7: 117dB))    
 +|  오픈 릴 테이프 레코더(멀티트랙)  |  60~70dB  |   
 +|  마스터 오픈 릴 테이프  |  70~80dB  |  
 |  비닐 레코드판  |  60~70dB  |   |  비닐 레코드판  |  60~70dB  |  
-|  16-bit 컨버터  |  90~96dB  |   +|  16bit 컨버터  |  90~96dB  |   
-|  24-bit 컨버터  |  110~120dB  |  +|  24bit 컨버터  |  110~120dB  |  
 |  아날로그 FM 라디오  |  50dB  |   |  아날로그 FM 라디오  |  50dB  |  
 |  니어필드 모니터 스피커  |  100~110dB  |   |  니어필드 모니터 스피커  |  100~110dB  |  
 +</WRAP>
  
   * https://en.wikipedia.org/wiki/Comparison_of_analog_and_digital_recording   * https://en.wikipedia.org/wiki/Comparison_of_analog_and_digital_recording
줄 33: 줄 41:
 마이크의 스펙에서 보면 MaxSPL과 Self-Noise 가 있다. 마이크의 스펙에서 보면 MaxSPL과 Self-Noise 가 있다.
  
-마이크에서 활용할 수 있는 범위는 바로 Self-Noise ~ MaxSPL 사이의 범위 이므로 마이크로폰의 다이믹 레인지는 이 범위를 말한다.+마이크에서 활용할 수 있는 범위는 바로 Self-Noise ~ MaxSPL 사이의 범위 이므로 마이크로폰의 다이믹 레인지는 이 범위를 말한다.
  
 예시) 예시)
줄 39: 줄 47:
   * Self-Noise : 20dBA   * Self-Noise : 20dBA
  
-다이믹 레인지 : 145dBSPL-20dBA = 125dB+다이믹 레인지 : 145dBSPL-20dBA = 125dB
  
 ===마이크 프리앰프=== ===마이크 프리앰프===
  
-마이크 프리앰프는 장비 마다 전부 다른 최대 입력 레벨 및 Gain Range 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동일 등가 입력 노이즈를 측정하여 제시하게 된다. 마이크 프리앰프의 입력에 저항으로 부하를 주어서 노이즈 레벨을 측정한다.  바로 이 EIN 값이 마이크 프리앰프의 다이믹 레인지를 말한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EIN 은 150Ω을 기준으로 측정한 값이기 때문에, 마이크 프리앰프에 사용된 마이크의 출력 임피던스에 따라 얼마든지 나믹 인지는 살짝 변할 수 있다.+마이크 프리앰프는 장비마다 전부 다른 최대 입력 레벨 및 게인 범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EIN(등가 입력 노이즈 레벨)을 대신 제시하게 된다. 마이크 프리앰프의 입력에 저항으로 부하를 주어서 노이즈 레벨을 측정한다. 바로 이 EIN 값이 마이크 프리앰프의 다이믹 레인지를 말한다고 볼 수도 있지만, 마이크 프리앰프의 실제 다이내믹 레인지는 마이크의 실제 출력 임피던스와 설정된 게인값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EIN(등가 입력 노즈 벨)으로 표기하는 것이다.
  
-EIN = -130dB : 다이믹 레인지 = 130dB+EIN = -130dB: “이 마이크 프리앰프는 사용하는 방법 및 마이크에 따라 최대 130dB의 다이믹 레인지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라는 뜻
  
 ===오디오 인터페이스 및 컨버터=== ===오디오 인터페이스 및 컨버터===
줄 56: 줄 64:
 해당 장비의 최대 입력 레벨을 같이 포함하여 장비의 최소 레벨 부터, 최대 레벨 까지의 범위를 구할수 있다. 해당 장비의 최대 입력 레벨을 같이 포함하여 장비의 최소 레벨 부터, 최대 레벨 까지의 범위를 구할수 있다.
  
-최대 입력 레벨이 22dBu 이면서, 노이즈 플로어 값이 -100dBu 인 제품의 경우 다이믹 레인지는+최대 입력 레벨이 22dBu 이면서, 노이즈 플로어 값이 -100dBu 인 제품의 경우 다이믹 레인지는
  
 **22+100=122dB** **22+100=122dB**
줄 63: 줄 71:
  
 ===액티브 스피커==== ===액티브 스피커====
 +
 +액티브 스피커의 다이내믹 레인지는 스피커가 처리할 수 있는 가장 작은 소리(Self-Noise)와 가장 큰 소리(Max SPL) 사이의 차이를 데시벨(dB)로 나타낸 값입니다. 이는 스피커가 얼마나 넓은 음량 범위를 재현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성능 지표입니다.
  
 다이내믹 레인지 = MaxSPL - Self-Noise  다이내믹 레인지 = MaxSPL - Self-Noise 
줄 74: 줄 84:
 {{음향:hardware:specification:dynamic_range:pasted:20220112-234625.png}} {{음향:hardware:specification:dynamic_range:pasted:20220112-234625.png}}
  
-ua apollo x6의 마이크 입력의 경우 PAD on에서 최대 입력 레벨이 26dBu((PAD on 이지만 이렇게 기재했을 경우 스펙 자체의 모든 값이 PAD on 을 기준으로 한다.실제로는 PAD off 에서 최대 입력 레벨은 6dBu 이다. UA 쪽의 마켓팅 전략에 의해 이렇게 표기한 것 같다.)) 이고, 스펙에 기제된 다이믹 레인지가 122dB 이므로, 122-26= 96, 즉 이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마이크 입력의 노이즈 플로어는 -96dBu라고 볼 수 있다. +ua apollo x6의 마이크 입력의 경우 PAD on에서 최대 입력 레벨이 26dBu((PAD on 이지만 이렇게 기재했을 경우 스펙 자체의 모든 값이 PAD on 을 기준으로 한다.실제로는 PAD off 에서 최대 입력 레벨은 6dBu 이다. UA 쪽의 마켓팅 전략에 의해 이렇게 표기한 것 같다.)) 이고, 스펙에 기제된 다이믹 레인지가 122dB 이므로, 122-26= 96, 즉 이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마이크 입력의 노이즈 플로어는 -96dBu라고 볼 수 있다. 
  
  
줄 81: 줄 91:
 {{음향:hardware:specification:dynamic_range:pasted:20220112-234729.png}} {{음향:hardware:specification:dynamic_range:pasted:20220112-234729.png}}
  
-RME 옥타 마이크의 경우는 최대 입력 레벨이 21dBu, SNR 로 표기를 하는 것이 110dB 인데, SNR 값은 노미널 레벨을 기준으로 잡는 레벨이므로 실질적으로는 노이즈 플로어는 -106dBu((옥타 마이크 노미널 레벨 = +4dBu)) 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 장비의 다이믹 레인지는 21+106= 127dB 이다.+RME 옥타 마이크의 경우는 최대 입력 레벨이 21dBu, SNR 로 표기를 하는 것이 110dB 인데, SNR 값은 노미널 레벨을 기준으로 잡는 레벨이므로 실질적으로는 노이즈 플로어는 -106dBu((옥타 마이크 노미널 레벨 = +4dBu)) 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 장비의 다이믹 레인지는 21+106= 127dB 이다.
  
  
줄 92: 줄 102:
 이 마이크의 MaxSPL 은 162dBSPL 이고, Self-Noise 는 10dBA 이다. 따라서 이 마이크의 MaxSPL 은 162dBSPL 이고, Self-Noise 는 10dBA 이다. 따라서
  
-162-10dBA= 152dB 의 다이믹 레인지를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162-10dBA= 152dB 의 다이믹 레인지를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음악적 측면에서의 다이믹 레인지=====+=====음악적 측면에서의 다이믹 레인지=====
  
-음악의 다이믹 레인지에 대한 연구 논문\\ +음악의 다이믹 레인지에 대한 연구 논문\\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4753356/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4753356/
  
-음악적 측면에서의 다이믹 레인지는 음악이 연주되는 구간 중에서 가장 작은 소리와 가장 큰 소리를 내는 구간의 차이를 말한다.+음악적 측면에서의 다이믹 레인지는 음악이 연주되는 구간 중에서 가장 작은 소리와 가장 큰 소리를 내는 구간의 차이를 말한다.
  
-일반적인 음악에서 다이믹 레인지는 12dB 정도라고 알려져 있으며, EDM 이나 Rock 에서는 6dB 로 매우 다이믹 레인지의 폭이 좁기도 하다. 재즈에서는 12~20dB 까지의 다이믹 레인지가 표현되며, 다이믹 레인지가 가장 큰 장르는 클래식으로 20dB~30dB 정도 까지의 다이내믹 이 표현되기도 한다.+일반적인 음악에서 다이믹 레인지는 12dB 정도라고 알려져 있으며, EDM 이나 Rock 에서는 6dB 로 매우 다이믹 레인지의 폭이 좁기도 하다. 재즈에서는 12~20dB 까지의 다이믹 레인지가 표현되며, 다이믹 레인지가 가장 큰 장르는 클래식으로 20dB~30dB 정도 까지의 다이내믹 이 표현되기도 한다.
  
-VU 미터를 잘 살펴 보면 -20VU ~ +3VU 까지 표시하도록 되어있는데, 이러한 음악의 다이믹 레인지가 넓기 때문에 20dB 정도의 표현을 하도록 설계되어있다고 보면된다. 즉 연주가 작을때는 -20VU 근처에서 바늘이 움직이고 음악이 최대로 다이내믹이 클 때는 0VU 나 +3VU 까지도 바늘이 표현 될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다. +VU 미터를 잘 살펴 보면 -20VU ~ +3VU 까지 표시하도록 되어있는데, 이러한 음악의 다이믹 레인지가 넓기 때문에 20dB 정도의 표현을 하도록 설계되어있다고 보면된다. 즉 연주가 작을때는 -20VU 근처에서 바늘이 움직이고 음악이 최대로 다이내믹이 클 때는 0VU 나 +3VU 까지도 바늘이 표현 될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다.
- +
-기술적 측면에서의 다이나믹 레인지와 용어가 혼동되는 경향이 있어서 Loudness Range로 점차 바꿔 부르는 추세이다.+
  
 {{:음향:hardware:specification:20230517-155226.png}} {{:음향:hardware:specification:20230517-155226.png}}
 +
 +{{tag>"노이즈"}}
  
  
-{{page>오디오_미신:다이내믹_레인지&noindent}}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음향/specification/dynamic_range.1727450755.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4/09/28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