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전기는 전파를 이용해 음성이나 데이터를 주고받는 통신 기기입니다. 주로 손에 들고 사용하는 핸디형, 차량이나 선박에 설치하는 이동국, 일정 장소에 설치되는 기지국으로 나뉩니다. 대부분 반이중 통신 방식을 사용해 한쪽이 말할 때 다른 쪽은 듣는 방식이며, 경찰이나 업무용, 생활용 등 다양한 용도로 쓰입니다.
무전기는 대부분 반이중 통신 방식을 사용합니다. 반이중 통신은 양방향으로 통신이 가능하지만 동시에 송수신은 불가능하여, 한쪽이 말할 때 다른 쪽은 듣는 방식입니다. 이에 반해 전이중 통신은 동시에 송수신이 가능하여 일반 전화기처럼 양방향 대화가 가능합니다. 무전기는 주로 반이중 방식을 쓰기 때문에 “오버”라는 말을 사용해 대화 순서를 알립니다.
일반인들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무전기는 CB와 FRS타입이 있고, 나머지 방식은 허가 또는 면허가 필요할 수 있다.
| 무전기 종류 | 대표 주파수 대역 | 특징 및 상세 설명 |
|---|---|---|
| CB(Citizen Band), 1형 생활용 | 약 27 MHz (26.96~27.40 MHz) | 구입하여 바로 사용 가능, 단거리, 일반 사용자용, 허가 불필요 |
| FRS(Family Radio Service), 2형 생활용 | 약 448~480 MHz | 구입하여 바로 사용 가능, 단거리, 간이무선국, 허가 불필요, 2형 생활용 |
| LMR(Land Mobile Radio), 업무용 무전기 | 주로 400 MHz(UHF)대 | 기업, 공사현장, 경호, 최대 출력 20W(허가 필요), 중계기 설치 가능 |
| VHF 업무용/전문용 | 30~300 MHz | 경찰, 소방, 해양, 항공 등, 중거리, 산과 지형 방해 적음 |
| UHF 업무용/전문용 | 300~3000 MHz(주로 400MHz대 사용) | 도시 환경, 건물 침투력 높음, 짧은거리 중심, 국내 업무용 다수 |
| GMRS(General Mobile Radio Service) | 462MHz/467MHz | 개인용, 라이센스 필요, FRS보다 출력 높음(최대 50W), 장거리 가능 |
| PMR(Private Mobile Radio) | 446 MHz (주로 유럽) | 단거리, 유럽 중심, 라이센스 불필요, 기업/이벤트/레저용 |
| HAM(아마추어무선) | HF/VHF/UHF 등 다양한 대역 | 자격증 필요, 교육 및 비상통신, 연구 목적 사용 |
| 해양 무선(선박) | VHF(156~162 MHz)/HF/UHF | 선박~해안, 구조 및 안전 우선, 긴급채널(예: 156.8MHz) |
| 항공 무선 | VHF(118~137 MHz) | 항공기~관제소, 항공 교통 관제, 안전 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