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승환_컬럼:다이렉트_모니터링_vs_소프트웨어_모니터링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정승환_컬럼:다이렉트_모니터링_vs_소프트웨어_모니터링 [2023/07/12] 정승환정승환_컬럼:다이렉트_모니터링_vs_소프트웨어_모니터링 [2025/04/16] (현재) – [소프트웨어 모니터링의 단점] 정승환
줄 1: 줄 1:
 ======다이렉트 모니터링 vs 소프트웨어 모니터링====== ======다이렉트 모니터링 vs 소프트웨어 모니터링======
  
-{{ youtube>O07Uabwi74k?large }}\\ +<WRAP centeralign box> 
 +{{ youtube>O07Uabwi74k?full }}\\ 
 +</WRAP>
 =====다이렉트 모니터링의 단점===== =====다이렉트 모니터링의 단점=====
  
 {{정승환_컬럼:20220922-223027.png}} {{정승환_컬럼:20220922-223027.png}}
  
-다이렉트 모니터링은 녹음할 때 모니터링되는 소리에 레이턴시가 없기 때문에, 많은 녹음 작업에서 다이렉트 모니터링이 소프트웨어 모니터링보다 선호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DAW 를 거치지 않고 바로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입력으로 들어오는 소리를 모니터링 아웃풋으로 보내주기 때문에 제로 레이턴시가 가능하만, 사실 단점도 있습니다.+다이렉트 모니터링은 녹음할 때 모니터링되는 소리에 레이턴시가 없다는 큰 장점 덕분에, 많은 녹음 작업에서 소프트웨어 모니터링보다 선호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DAW를 거치지 않고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입력으로 들어오는 소리를 바로 모니터링 아웃풋으로 보내주기 때문에제로 레이턴시를 실현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다이렉트 모니터링에도 몇 가지 단점이 존재합니다.
  
-소프트웨어 모니터링의 경우에는 ASIO buffer size 에 의한 레이턴시가 반드시 있지만, DAW 에서 플러그인을 걸면, 해당 플러그인을 거쳐서 달라진 소리로 모니터링이 가능합니다.+소프트웨어 모니터링의 경우에는 ASIO 버퍼 사이즈에 따라 레이턴시가 발생하지만, DAW 에서 플러그인을 적용한 상태로 소리를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이는 녹음 중 플러그인을 통해 실시간으로 변형된 소리를 들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기타 앰프 시뮬레이터 플러그인을 사용하는 녹음의 경우, 반드시 플러그인을 걸고 당 플러그인을 통해 앰프 시뮬레이팅 된 소리를 들어야 제대로 된 연주가 가능합니다. 기타의 생톤으로 모니터링하면서나중에 플러그인을 걸어서 디스토션 이펙를 걸어야지 하고 녹음하면, 어떤 소리로 연주될지 예하기가 사실 쉽지 않습니다.+예를 들어, 기타 앰프 시뮬레이터 플러그인을 사용하는 경우, 반드시 플러그인을 활성화한 상태에서 모니터링해야 제대로 된 연주가 가능합니다. 기타의 생톤으로 모니터링하면서 녹음을 진행하고 나중에 플러그인을 적용해 디스토션 이펙를 걸 경우연주 당시 어떤 소리가 나왔을지 예하기 어려워집니다.
  
-기타 앰프 시뮬레이터 플러그인의 경우와 마찮 가지로 보컬 녹음 등을 할 때도 똑같습니다. 리버브나 이퀄라이저, 컴프레서 을 걸고 녹음할 때해당 플러인을 거친 후의 소리를 모니터링하면서 녹음을 해야, 나중에 어떤 소리가 녹음될 지 예측을 하며 녹음할 수 있습니다.  +보컬 녹음에서도 리버브이퀄라이저, 컴프레서와 같은 플러그인을 걸고 녹음하면, 그 효과를 적용한 소리를 모니터링하면서 녹음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해야 중에 녹음 결과가 어떻게 나올지 예측하면서 작업할 수 있더 나은 결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 +
-영상이나 사진의 예를 들면, 이해가 좀 더 쉬운데요, 요즘의 미러리스 카메라는 사진을 찍을 때 해당 사진이 어떻게 찍힐지 미리 카메라에 있는 LCD 모니터를 통해서 모니터링을 실시간으로 하면서 찍을 수 있습니다. 이미 사진의 화이트 밸런스색감 조정, 여러가지 효등을 미리 LCD 화면에서 실시간으로 보면서 사진을 찍을 수 있습니다. 물론 사진도 원본 파일과, 해당 색감 변경, 효과 변경등이 적용된 파일로 두가지로 저장되기도 합니다.+
  
 {{정승환_컬럼:20220922-223237.png}} {{정승환_컬럼:20220922-223237.png}}
  
-이와 마찮 가지로 이미 녹음할 때 미리 어느정도 컴프레서나 이퀄이저, 리버브 등의 소리가 입혀진 채로 모니터링을 하며 녹음야, 나중의 결과물이 어떻게 나올지 예측이 가능며 더 좋은 결과을 얻을 수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비유하자면, 스 카메라로 사진을 찍을 때, LCD 모니터를 통해 실시간으로 사진의 트 밸런스, 색감, 효과 등을 미리 확인면서 찍는 것과 같습니다. 결과적으로 원본 파일과 더불어, 미리 조정된 효과가 적용된 파일을 함께 얻을 수 있듯이, 녹음 시에도 미리 이펙트를 걸고 모니터링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하지만 소프트웨어 모니터링은 레이턴시라는 한계가 있고, 다이렉트 모니터링은 결과물이 어떻게 나올지 모니터링을 해본다는 단점이 있습니다.+소프트웨어 모니터링은 레이턴시라는 단점이 있고, 반대로 다이렉트 모니터링은 플러그인을 적용한 상태의 소리를 미리 모니터링하지 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소프트웨어 모니터링의 단점===== =====소프트웨어 모니터링의 단점=====
  
-소프트웨어 모니터링은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다이렉트 모니터링이나DSP mixer를 사용하지 않고, 컴퓨터를 통해 실행되는 DAW 소프트웨어의 모니터링 기능을 이용는 을 말합니다.+소프트웨어 모니터링은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다이렉트 모니터링이나 DSP 믹서를 사용하지 않고, 컴퓨터의 DAW 소프트웨어를 통해 모니터링하는 것을 말합니다. 
 + 
 +소프트웨어 모니터링의 가장 큰 단점은 ASIO Input/Output 레이턴시의 영향을 받는다는 점입니다. 하지만 이 외에도 중요한 단점이 있습니다. 싱글 채널 녹음을 할 때는 큰 문제가 없지만, 멀티트랙 녹음을 하는 경우에는 동시에 여러 채널을 모니터링해야 하기 때문에, 모니터링 지연나 동기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각 트랙마다 레이턴시가 다르게 적될 수 있으며, 이는 녹음 당시의 실시간 모니터링을 어렵게 만들어 작업 효율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소프웨어 모니터링의 가장 치명적인 단점은 ASIO input/Output 레이턴시의 영향을 받는는 점입니다.+멀티랙 녹음에서의 이러한 문제는 레이턴시로 인해 악기 간의 타이밍이 어긋나거나, 전체 믹스의 밸런스가 맞지 않게 될 가능성이 큽니. 이로 인해 다이렉트 모니터링이나 하드웨어 기반 DSP 모니터링이 필요한 상황이 생길 수 있습니다.
  
 +그래서, 홈레코딩의 경우 싱글 채널만 녹음하는 경우가 주로 많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상황에서는 소프트웨어 모니터링을 어느 정도 사용해 볼 수는 있지만, 드럼 녹음이나, 녹음실에서 밴드 원 테이크 녹음을 하는 경우에는 소프트웨어 모니터링을 적용하는 것은 위험할 수도 있습니다.
  
 +<WRAP info>---[[admin@homerecz.com|admin@homerecz.com]] - [[:user:merefox|정승환]] - 2023/02/13 - 서명됨</WRAP>
  
-<bootnote>---[[admin@homerecz.com|admin@homerecz.com]] - [[:user:merefox|정승환]] - 2023/02/13 - 서명됨</bootnote>+{{tag>다이렉트 모니터}}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정승환_컬럼/다이렉트_모니터링_vs_소프트웨어_모니터링.1689146081.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3/07/12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