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승환_컬럼:무대_모니터_스피커에_피아노_소리가_변하는_이유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정승환_컬럼:무대_모니터_스피커에_피아노_소리가_변하는_이유 [2024/03/27] – [무대 모니터로 연주자에게 피아노 소리를 모니터링 해줄 때] 정승환 | 정승환_컬럼:무대_모니터_스피커에_피아노_소리가_변하는_이유 [2025/08/15] (현재) – 정승환 | ||
---|---|---|---|
줄 5: | 줄 5: | ||
어느 한 공연장에서 재즈 트리오의 공연이 있었는데, | 어느 한 공연장에서 재즈 트리오의 공연이 있었는데, | ||
- | **이럴 경우 스테레오 | + | **이럴 경우 스테레오 |
=====피아노 마이크 소스===== | =====피아노 마이크 소스===== | ||
줄 13: | 줄 13: | ||
<WRAP group> | <WRAP group> | ||
- | <WRAP half column | + | <WRAP half column>< |
- | Correlation = +1 : 이와 같은 경우는 좌우가 완벽히 같은 상태 입니다. 완벽한 모노입니다.</ | + | <WRAP half column>< |
- | <WRAP half column box> | + | |
- | Correlation = 0 : 0에 가까운 경우는 좌우의 상관관계(Correlation)가 거의 없는(0) 상태라고 볼수 있습니다. 완벽한 스테레오 입니다.</ | + | |
</ | </ | ||
줄 29: | 줄 27: | ||
이때 스테레오 마이킹된 소스의 상관관계가 0에 가까울 경우의 레벨은 아래와 같습니다. | 이때 스테레오 마이킹된 소스의 상관관계가 0에 가까울 경우의 레벨은 아래와 같습니다. | ||
- | < | + | < |
- | 상단의 VU 미터는 소스의 VU 미터이고, | + | |
즉 무대 모니터 스피커는 모노로 셋팅되어 있기 때문이 이런 경우 레벨의 변화가 없이 출력됩니다. | 즉 무대 모니터 스피커는 모노로 셋팅되어 있기 때문이 이런 경우 레벨의 변화가 없이 출력됩니다. | ||
줄 36: | 줄 33: | ||
그러나 만약 스테레오 마이킹된 소스의 상관관계가 1에 가까울 경우는 어떻게 될까요? | 그러나 만약 스테레오 마이킹된 소스의 상관관계가 1에 가까울 경우는 어떻게 될까요? | ||
- | < | + | < |
- | 상단의 VU 미터는 소스의 VU 미터이고, | + | |
좌우의 스테레오가 모노로 서밍되면서 +3dB 로 레벨이 **증가**합니다. | 좌우의 스테레오가 모노로 서밍되면서 +3dB 로 레벨이 **증가**합니다. | ||
줄 43: | 줄 39: | ||
여기서 만약 무대 음향감독이 스테레오 마이킹을 제대로 하지 못하여 상관관계가 -로 가는 경우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 여기서 만약 무대 음향감독이 스테레오 마이킹을 제대로 하지 못하여 상관관계가 -로 가는 경우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상단의 VU 미터는 소스의 VU 미터이고, | + | |
좌우의 스테레오가 모노로 서밍되면서 레벨이 크게 **감쇄**합니다. | 좌우의 스테레오가 모노로 서밍되면서 레벨이 크게 **감쇄**합니다. | ||
줄 60: | 줄 55: | ||
**둘다 최악의 상황입니다. 결국 무대 음향 감독의 모노 호환성(Mono Compatibility)에 대한 무지에서 벌어지는 일입니다.** | **둘다 최악의 상황입니다. 결국 무대 음향 감독의 모노 호환성(Mono Compatibility)에 대한 무지에서 벌어지는 일입니다.** | ||
- | {{ youtube> | + | {{ youtube> |
=====예시 케이스===== | =====예시 케이스===== | ||
- | {{ youtube> | + | {{ youtube> |
- | 위의 음원은 스테레오로 들어보면 좌우의 스테레오감이 매우 넓은것 처럼 느껴집니다. 그러나 혹시 이 음원을 모노 스피커인 | + | 위의 음원은 스테레오로 들어보면 좌우의 스테레오감이 매우 넓은것 처럼 느껴집니다. 그러나, 혹시 이 음원을 모노 스피커인 |
위에서 말한 무대의 피아노 스테레오 소스가 연주자의 모노 무대 모니터 스피커로 출력되는 경우가 바로 이것과 비슷한 현상입니다. | 위에서 말한 무대의 피아노 스테레오 소스가 연주자의 모노 무대 모니터 스피커로 출력되는 경우가 바로 이것과 비슷한 현상입니다. | ||
줄 73: | 줄 68: | ||
그래서 그런지 사실 김범수님의 유튜브 채널에는 영어 버전으로 다시 이 부분이 수정되어 올라와 있습니다. | 그래서 그런지 사실 김범수님의 유튜브 채널에는 영어 버전으로 다시 이 부분이 수정되어 올라와 있습니다. | ||
- | {{ youtube> | + | {{ youtube> |
**제가 느끼기에는 이 두 음원은 같은 음원이지만 Correlation의 차이에 대한 좋은 예시로 보입니다. 유튜브에 그대로 둘다 남아 있으면 좋겠습니다.** | **제가 느끼기에는 이 두 음원은 같은 음원이지만 Correlation의 차이에 대한 좋은 예시로 보입니다. 유튜브에 그대로 둘다 남아 있으면 좋겠습니다.** | ||
+ | |||
+ | {{tag> | ||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정승환_컬럼/무대_모니터_스피커에_피아노_소리가_변하는_이유.1711468134.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