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정승환_컬럼:사운드_디자인과_믹싱의_차이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정승환_컬럼:사운드_디자인과_믹싱의_차이 [2025/04/18] – 만듦 정승환정승환_컬럼:사운드_디자인과_믹싱의_차이 [2025/04/18] (현재) 정승환
줄 1: 줄 1:
 ======사운드 디자인과 믹싱의 차이====== ======사운드 디자인과 믹싱의 차이======
 +
  
 음악이나 음향 작업을 하다 보면, 많은 사람들이 ‘사운드 디자인’과 ‘믹싱’의 차이를 혼동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실제로 주변의 많은 작곡가나 뮤지션들이 자신이 믹스를 하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실상은 사운드 디자인 작업에 머무르는 경우가 많죠. 물론 EQ, 컴프레서, 리버브 등은 믹싱에서 자주 사용하는 도구들이지만, 이 도구들을 사용한다고 해서 그 작업이 곧 믹싱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여러분이 하고 있는 작업이 실제로는 믹싱이 아니라, 사운드 디자인에 가깝다는 점을 인식할 필요가 있습니다. 음악이나 음향 작업을 하다 보면, 많은 사람들이 ‘사운드 디자인’과 ‘믹싱’의 차이를 혼동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실제로 주변의 많은 작곡가나 뮤지션들이 자신이 믹스를 하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실상은 사운드 디자인 작업에 머무르는 경우가 많죠. 물론 EQ, 컴프레서, 리버브 등은 믹싱에서 자주 사용하는 도구들이지만, 이 도구들을 사용한다고 해서 그 작업이 곧 믹싱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여러분이 하고 있는 작업이 실제로는 믹싱이 아니라, 사운드 디자인에 가깝다는 점을 인식할 필요가 있습니다.
 +
 +**특히, 작곡가들은 사운드 디자인을 해놓고 믹싱을 했다고 착각하고, 믹싱 엔지니어들은 믹싱을 하면서 사운드 디자인을 해버리는 오류를 범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로 인해 곡의 본질이나 의도가 흐려지거나, 작업의 역할이 혼동되는 일이 자주 발생합니다.
  
 사운드 디자인이란, 곡이나 작품에 들어가는 각각의 소리를 창조하거나 변형하여, 원하는 감정이나 분위기, 색채를 만들어내는 과정입니다. 예를 들어, 신스 패드에 디스토션을 걸어 소리를 더 날카롭게 만들거나, 특정 악기에 이펙터를 걸어 몽롱하게 만드는 작업이 바로 사운드 디자인입니다. 즉, 개별 소리의 ‘캐릭터’를 만드는 것이 이 과정의 핵심입니다. 사운드 디자인이란, 곡이나 작품에 들어가는 각각의 소리를 창조하거나 변형하여, 원하는 감정이나 분위기, 색채를 만들어내는 과정입니다. 예를 들어, 신스 패드에 디스토션을 걸어 소리를 더 날카롭게 만들거나, 특정 악기에 이펙터를 걸어 몽롱하게 만드는 작업이 바로 사운드 디자인입니다. 즉, 개별 소리의 ‘캐릭터’를 만드는 것이 이 과정의 핵심입니다.
줄 19: 줄 22:
  
 이처럼, 사운드 디자인과 믹싱은 목적과 역할이 다릅니다. 사운드 디자인은 음악이나 음향의 ‘재료’를 만드는 과정이고, 믹싱은 그 재료들을 조화롭게 다듬어 완성된 결과물을 만들어내는 과정입니다. 두 작업 모두 중요하며, 각자의 역할을 명확히 이해할 때 더 좋은 결과물을 만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자신이 하고 있는 작업이 사운드 디자인인지, 믹싱인지 구분하고, 그에 맞는 접근 방식을 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처럼, 사운드 디자인과 믹싱은 목적과 역할이 다릅니다. 사운드 디자인은 음악이나 음향의 ‘재료’를 만드는 과정이고, 믹싱은 그 재료들을 조화롭게 다듬어 완성된 결과물을 만들어내는 과정입니다. 두 작업 모두 중요하며, 각자의 역할을 명확히 이해할 때 더 좋은 결과물을 만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자신이 하고 있는 작업이 사운드 디자인인지, 믹싱인지 구분하고, 그에 맞는 접근 방식을 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
 +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정승환_컬럼/사운드_디자인과_믹싱의_차이.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5/04/18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