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승환_컬럼:서브_우퍼_있고_없고_의_장단점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정승환_컬럼:서브_우퍼_있고_없고_의_장단점 [2023/08/25] – 정승환 | 정승환_컬럼:서브_우퍼_있고_없고_의_장단점 [2025/04/16] (현재) – [Spectogram] 정승환 | ||
---|---|---|---|
줄 1: | 줄 1: | ||
- | ======서브 우퍼 있고 없고 장단점====== | + | ======서브우퍼 있고 없고 장단점====== |
- | 스테레오 시스템에 서브 우퍼를 추가하여 2.1채널 시스템으로 구성하면, | + | 스테레오 시스템에 서브우퍼를 추가하여 2.1채널 시스템으로 구성하면, |
- | * 메인 스피커의 작은 우퍼 유닛이 담당하기 부담스러운 주파수를 서브 우퍼가 담당하게 되므로 해당 주파수의 THD 감소((메인 스피커 우퍼 유닛의 Excursion이 줄어들기 때문에 스피커의 분할진동이 적어짐)) | + | * 메인 스피커의 작은 우퍼 유닛이 담당하기 부담스러운 주파수를 서브우퍼가 담당하게 되므로 해당 주파수의 THD 감소((메인 스피커 우퍼 유닛의 Excursion이 줄어들기 때문에 스피커의 분할 진동이 적어짐)) |
- | * 메인 스피커의 베이스 리플렉스 홀로 담당하던 저역도 서브 우퍼가 담당하게 되므로 해당 주파수 대역의 | + | * 메인 스피커의 베이스 리플렉스 홀로 담당하던 저역도 서브우퍼가 담당하게 되므로 해당 주파수 대역의 |
+ | 어떤 스피커의 포트와 우퍼, 트위터를 클리펠 장비로 각기 측정한 그래프이다. 이 그래프를 보면 주황색 그래프가 포트에 의해 재생되는 주파수이다. 포트는 이상적으로는 저역대만 재생하야 함이 맞지만, 공진에의한 1kHz 부근의 주파수도 불규칙적으로 올라오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서브우퍼와 메인 스피커간의 크로스오버 설정에 따라 베이스 리플렉스 홀이 담당하던 대부분의 주파수의 재생이 줄어들고 포트에 의한 공기의 움직임을 줄여버리기 때문에 이러한 포트 공진들이 많이 줄어들게 된다.)) | ||
* 위와 같은 개선으로 인하여 중저역대(메인 스피커의 우퍼 유닛 대역)의 명료도 개선 | * 위와 같은 개선으로 인하여 중저역대(메인 스피커의 우퍼 유닛 대역)의 명료도 개선 | ||
* 추가로 좀 더 낮은 주파수까지 재생 가능하도록 음역대 확장 | * 추가로 좀 더 낮은 주파수까지 재생 가능하도록 음역대 확장 | ||
주의 사항 | 주의 사항 | ||
- | * 아래의 서브 우퍼는 110Hz((이 시스템에서 무지향성이 유지되는 최대 높은 크로스오버 주파수. 시스템 및 환경 마다 이 주파수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에서 메인 스피커와 크로스오버 설정되었습니다. | + | * 아래의 서브우퍼는 110Hz((이 시스템에서 무지향성이 유지되는 최대 높은 크로스오버 주파수. 시스템 및 환경 마다 이 주파수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에서 메인 스피커와 크로스오버 설정되었습니다. |
- | * 천정과 바닥의 간격에 의한 정제파가 존재 합니다. 140Hz(2.4m), | + | * 천정과 바닥의 간격에 의한 정재파가 존재 합니다. 140Hz(2.4m), |
* 측정 시 오류로 인해 고역대 롤 오프로 측정되었는데, | * 측정 시 오류로 인해 고역대 롤 오프로 측정되었는데, | ||
- | 좌측이 서브 우퍼 없을 시, 우측이 서브 우퍼 있을 시 측정 결과 입니다. | + | 좌측이 서브우퍼 없을 시, 우측이 서브우퍼 있을 시 측정 결과 입니다. |
줄 21: | 줄 22: | ||
{{: | {{: | ||
- | 빨간색 : 서브 우퍼 없을 시, 녹색 : 서브 우퍼 추가 시 | + | 빨간색 : 서브우퍼 없을 시, 녹색 : 서브우퍼 추가 시 |
=====Frequency Response and THD+N===== | =====Frequency Response and THD+N===== | ||
- | |{{: | + | <WRAP group> |
+ | <WRAP half column>{{: | ||
+ | <WRAP half column>{{: | ||
+ | </ | ||
저역대의 전체적인 THD 감소(갈색 : 노이즈 플로어, 검은색 : THD) | 저역대의 전체적인 THD 감소(갈색 : 노이즈 플로어, 검은색 : THD) | ||
줄 31: | 줄 35: | ||
=====Group Delay===== | =====Group Delay===== | ||
- | |{{: | + | <WRAP group> |
+ | <WRAP half column>{{: | ||
+ | <WRAP half column>{{: | ||
+ | </ | ||
그룹 딜레이는 획기적으로 개선됨 | 그룹 딜레이는 획기적으로 개선됨 | ||
=====Clarity===== | =====Clarity===== | ||
- | + | <WRAP group> | |
- | |{{: | + | <WRAP half column>{{: |
+ | <WRAP half column>{{: | ||
+ | </ | ||
중저역대, | 중저역대, | ||
줄 43: | 줄 52: | ||
=====Decay===== | =====Decay===== | ||
- | |{{: | + | <WRAP group> |
+ | <WRAP half column>{{: | ||
+ | <WRAP half column>{{: | ||
+ | </ | ||
- | 80Hz~100Hz 사이의 | + | 80Hz~100Hz 사이의 |
=====Waterfall===== | =====Waterfall===== | ||
- | |{{: | + | <WRAP group> |
+ | <WRAP half column>{{: | ||
+ | <WRAP half column>{{: | ||
+ | </ | ||
=====Spectogram===== | =====Spectogram===== | ||
- | |{{: | + | <WRAP group> |
+ | <WRAP half column>{{: | ||
+ | <WRAP half column>{{: | ||
+ | </ | ||
좀더 깊은 저역대를 재생할 수 있게 됨 | 좀더 깊은 저역대를 재생할 수 있게 됨 | ||
+ | {{tag> | ||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정승환_컬럼/서브_우퍼_있고_없고_의_장단점.1692955636.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3/08/25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