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정승환_컬럼:워드_클럭은_왜_쓰는가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정승환_컬럼:워드_클럭은_왜_쓰는가 [2024/02/20] – [클럭 제너레이터를 사용하여 연결할 때] 정승환정승환_컬럼:워드_클럭은_왜_쓰는가 [2024/03/04] (현재) – 바깥 편집 127.0.0.1
줄 38: 줄 38:
 따라서 확장 유닛이 아닌 오디오 인터페이스 쪽을 클럭 마스터로 쓰기 위해서는, 오디오 인터페이스 쪽의 ADAT out도 확장 유닛의 ADAT in으로 연결하여 양방향 연결을 하여 워드클럭 신호를 보내주거나, 아니면,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워드클럭 out 을 확장 유닛 쪽의 워드클럭 input 으로 연결을 해주어야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워드클럭 마스터, 연결된 A/D 컨버터나 외장 프리앰프를 클럭 슬레이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확장 유닛이 아닌 오디오 인터페이스 쪽을 클럭 마스터로 쓰기 위해서는, 오디오 인터페이스 쪽의 ADAT out도 확장 유닛의 ADAT in으로 연결하여 양방향 연결을 하여 워드클럭 신호를 보내주거나, 아니면,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워드클럭 out 을 확장 유닛 쪽의 워드클럭 input 으로 연결을 해주어야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워드클럭 마스터, 연결된 A/D 컨버터나 외장 프리앰프를 클럭 슬레이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bootnote>중요한 것은, 컴퓨터의 OS 나 DAW 등 디지털 오디오를 레코딩하거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컴퓨터가 워드클럭에 대한 제어가 가능한 것이 가장 좋은 셋팅입니다. 만약 라이브 환경이라면 오디오를 처리하는 DSP 엔진이 있는 메인 믹싱 콘솔이 워드클럭에 대한 제어를 해야 가장 좋습니다. </bootnote>+<WRAP info>중요한 것은, 컴퓨터의 OS 나 DAW 등 디지털 오디오를 레코딩하거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컴퓨터가 워드클럭에 대한 제어가 가능한 것이 가장 좋은 셋팅입니다. 만약 라이브 환경이라면 오디오를 처리하는 DSP 엔진이 있는 메인 믹싱 콘솔이 워드클럭에 대한 제어를 해야 가장 좋습니다. </WRAP>
  
 외장 8채널 프리앰프가 클럭 마스터가 되는 경우는 컴퓨터에서 워드클럭 제어를 할 수 없고, 8채널 프리앰프에서 수동으로 해줘야 하며, 메인 오디오 인터페이스에서 8채널 프리앰프 쪽으로 워드클럭 신호를 주는 경우에는 메인 오디오 인터페이스가 워드클럭 마스터가 되기 때문에 컴퓨터가 워드클럭 제어를 할 수 있습니다. 외장 8채널 프리앰프가 클럭 마스터가 되는 경우는 컴퓨터에서 워드클럭 제어를 할 수 없고, 8채널 프리앰프에서 수동으로 해줘야 하며, 메인 오디오 인터페이스에서 8채널 프리앰프 쪽으로 워드클럭 신호를 주는 경우에는 메인 오디오 인터페이스가 워드클럭 마스터가 되기 때문에 컴퓨터가 워드클럭 제어를 할 수 있습니다.
줄 80: 줄 80:
 이런 경우에는 아래 그림처럼 워드클럭 제너레이터를 따로 사용하여 Star chain 연결을 구성 하게 됩니다.  이런 경우에는 아래 그림처럼 워드클럭 제너레이터를 따로 사용하여 Star chain 연결을 구성 하게 됩니다. 
  
-클럭 마스터는 워드클럭 제너레이터가 되고, 워드클럭 제너레이터에 연결된 나머지 장비와 오디오 인터페이스는 클럭 슬레이브로 동작하게됩니다. 따라서, 이렇게 사용하는 경우도 앞으로 OS 나 DAW 에서 클럭 변경을 통해 클럭을 제어할 수 없고, 워드클럭 제너레이터를 통해 수동으로 클럭을 변경하거나 설정해야 합니다.+클럭 마스터는 워드클럭 제너레이터가 되고, 워드클럭 제너레이터에 연결된 나머지 장비와 오디오 인터페이스는 클럭 슬레이브로 동작하게 됩니다. 따라서, 이렇게 사용하는 경우도 앞으로 OS 나 DAW 에서 클럭 변경을 통해 클럭을 제어할 수 없고, 워드클럭 제너레이터를 통해 수동으로 클럭을 변경하거나 설정해야 합니다.
  
 {{정승환_컬럼:20220929-183350.png}} {{정승환_컬럼:20220929-183350.png}}
줄 90: 줄 90:
 만약!, 워드클럭 제너레이터가 [[음향:hardware:clockgenerator#clock_reference|Clock Reference]] 와 같은 외부 클럭을 입력 받는 기능이 있어서 외부 워드클럭을 기준 클럭으로 지정할 수 있으면,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클럭 소스를 여기에 연결하여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클럭에 따라서 워드클럭도 똑같이 동작 하게 할 수 있습니다.((이 경우 실질적인 클럭 마스터는 여전히 클럭 제너레이터입니다.)) 만약!, 워드클럭 제너레이터가 [[음향:hardware:clockgenerator#clock_reference|Clock Reference]] 와 같은 외부 클럭을 입력 받는 기능이 있어서 외부 워드클럭을 기준 클럭으로 지정할 수 있으면,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클럭 소스를 여기에 연결하여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클럭에 따라서 워드클럭도 똑같이 동작 하게 할 수 있습니다.((이 경우 실질적인 클럭 마스터는 여전히 클럭 제너레이터입니다.))
  
-[{{정승환_컬럼:20221004-160839.png| +<WRAP centeralign box>{{정승환_컬럼:20221004-160839.png|}}\\ 
-Clock input(EXT, Video, AES3)가 있는 클럭 제너레이터의 뒷 면 모습}}]\\+Clock input(EXT, Video, AES3)가 있는 클럭 제너레이터의 뒷 면 모습</WRAP>\\
  
  
줄 107: 줄 107:
 {{정승환_컬럼:20220929-184845.png}} {{정승환_컬럼:20220929-184845.png}}
  
-아래와 같이 다른 디지털 입출력이 없고 Dante 네트워크 오디오 연결만 가능한 장비는 따로 워드 클 입출력을 장비에 갖추지 않습니다. **갖출 필요가 없기 때문입니다.**+아래와 같이 다른 디지털 입출력이 없고 Dante 네트워크 오디오 연결만 가능한 장비는 따로 워드 클럭 입출력을 장비에 갖추지 않습니다. **갖출 필요가 없기 때문입니다.**
  
 {{정승환_컬럼:20221007-005850.png}} {{정승환_컬럼:20221007-005850.png}}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정승환_컬럼/워드_클럭은_왜_쓰는가.1708373122.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4/02/20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