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정승환_컬럼:history_of_audio_mastring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정승환_컬럼:history_of_audio_mastring [2025/06/24] – [5. 스트리밍과 AI 시대 (2010년대~현재): LUFS, 라우드니스 노멀라이제이션] 정승환정승환_컬럼:history_of_audio_mastring [2025/06/27] (현재) 정승환
줄 32: 줄 32:
  
   * **독립 마스터링 스튜디오의 등장과 의미**   * **독립 마스터링 스튜디오의 등장과 의미**
-    * 이처럼 앨범 단위로 여러 곡을 하나의 작품으로 묶어내는 시대적 변화에 따라, 각 곡의 레벨, EQ, 다이내믹, 공간감 등을 일관되게 맞추는 전문적인 마스터링 작업이 필요해졌습니다.+    * 이처럼 앨범 단위로 여러 곡을 하나의 작품으로 묶어내는 시대적 변화에 따라, **각 곡의 레벨, EQ, 다이내믹, 공간감 등을 일관되게 맞추는 전문적인 마스터링 작업이 필요해졌습니다.**
     * 이에 따라 1968년 스털링 사운드(Sterling Sound), 1967년 더 마스터링 랩(The Mastering Lab) 등 독립 마스터링 스튜디오가 설립되었고, 마스터링은 음반 공장 내 공정에서 벗어나 아티스트, 프로듀서와 직접 협업하는 전문 분야로 자리 잡기 시작했습니다.     * 이에 따라 1968년 스털링 사운드(Sterling Sound), 1967년 더 마스터링 랩(The Mastering Lab) 등 독립 마스터링 스튜디오가 설립되었고, 마스터링은 음반 공장 내 공정에서 벗어나 아티스트, 프로듀서와 직접 협업하는 전문 분야로 자리 잡기 시작했습니다.
  
줄 47: 줄 47:
  
   * **라우드니스 워**   * **라우드니스 워**
-    * 1990년대에는 CD의 넓은 다이내믹 레인지와 기술적 한계를 활용해 음압을 극대화하는 경쟁이 벌어졌습니다. 이로 인해 다이내믹 레인지가 줄고, 왜곡이 발생하는 등 부작용이 나타났지만, 소비자들은 더 큰 음량을 선호하게 되었습니다.+    * 1990년대에는 CD의 넓은 다이내믹 레인지와 기술적 한계를 활용해 음압을 극대화하는 경쟁이 벌어졌습니다. 이로 인해 다이내믹 레인지가 줄고, 왜곡이 발생하는 등 부작용이 나타났지만, 소비자들은 더 큰 음량을 선호하게 되었습니다. **이 이후로 마스터링 스튜디오에서 믹스된 오디오 데이터의 음량을 더 크게 만드는 일을 담당하게 되었습니다.**
  
 ===== 5. 스트리밍과 AI 시대 (2010년대~현재): LUFS, 라우드니스 노멀라이제이션, 통합 작업, AI 마스터링 ===== ===== 5. 스트리밍과 AI 시대 (2010년대~현재): LUFS, 라우드니스 노멀라이제이션, 통합 작업, AI 마스터링 =====
줄 54: 줄 54:
     * 2010년대 이후 스포티파이, 애플뮤직 등 스트리밍 서비스가 LUFS 기반의 라우드니스 노멀라이제이션을 도입하면서, 라우드니스 워는 완화되고, 다이내믹과 음질의 균형이 다시 중요해졌습니다.     * 2010년대 이후 스포티파이, 애플뮤직 등 스트리밍 서비스가 LUFS 기반의 라우드니스 노멀라이제이션을 도입하면서, 라우드니스 워는 완화되고, 다이내믹과 음질의 균형이 다시 중요해졌습니다.
     * 곡 간의 일관성, 다양한 재생 환경에 맞춘 최적화가 마스터링의 핵심 과제로 부상했습니다.     * 곡 간의 일관성, 다양한 재생 환경에 맞춘 최적화가 마스터링의 핵심 과제로 부상했습니다.
 +  * **싱글 단위 음악 소비와 마스터링의 변화** 
 +    * 스트리밍 시장이 성장하면서, 앨범 전체를 감상하는 문화보다는 개별 곡(싱글)의 소비가 주류가 되었습니다. 
 +    * 이에 따라 마스터링 역시 앨범 내 곡 간의 일관성보다는, 각 싱글의 개성과 임팩트, 플랫폼별 최적화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강해졌습니다. 
 +    * 곡마다 독특한 사운드, 창의적인 마스터링 접근법이 더 중요해지고 있으며, 이는 아티스트와 프로듀서가 곡별로 차별화된 마스터링 전략을 선택하게 만듭니다.
   * **DAW 기반의 통합 프로덕션 환경**   * **DAW 기반의 통합 프로덕션 환경**
     * 최근에는 DAW(디지털 오디오 워크스테이션)와 플러그인 기술, 그리고 컴퓨터 성능이 크게 발전하면서, 믹싱과 마스터링 작업이 하나의 프로젝트 파일 안에서 모두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 최근에는 DAW(디지털 오디오 워크스테이션)와 플러그인 기술, 그리고 컴퓨터 성능이 크게 발전하면서, 믹싱과 마스터링 작업이 하나의 프로젝트 파일 안에서 모두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 과거에는 믹싱과 마스터링이 별도의 공간과 엔지니어, 혹은 별도의 소프트웨어에서 진행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이제는 한 명의 프로듀서가 DAW 내에서 작곡, 편곡, 믹싱, 마스터링까지 모든 과정을 인더박스(in-the-box) 환경에서 처리할 수 있습니다.     * 과거에는 믹싱과 마스터링이 별도의 공간과 엔지니어, 혹은 별도의 소프트웨어에서 진행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이제는 한 명의 프로듀서가 DAW 내에서 작곡, 편곡, 믹싱, 마스터링까지 모든 과정을 인더박스(in-the-box) 환경에서 처리할 수 있습니다.
     * 이러한 변화는 홈레코딩, 1인 프로듀서, 인디 뮤지션의 음악 제작 환경을 크게 확장시켰으며, 내장 플러그인만으로도 충분히 높은 퀄리티의 믹싱과 마스터링이 가능해졌습니다.     * 이러한 변화는 홈레코딩, 1인 프로듀서, 인디 뮤지션의 음악 제작 환경을 크게 확장시켰으며, 내장 플러그인만으로도 충분히 높은 퀄리티의 믹싱과 마스터링이 가능해졌습니다.
- 
   * **AI와 머신러닝 기반 마스터링**   * **AI와 머신러닝 기반 마스터링**
     * LANDR, iZotope Ozone 등 AI 기반 자동 마스터링 서비스가 등장해, 누구나 손쉽게 마스터링을 시도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LANDR, iZotope Ozone 등 AI 기반 자동 마스터링 서비스가 등장해, 누구나 손쉽게 마스터링을 시도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하지만 여전히 고품질 마스터링은 숙련된 엔지니어의 경험과 감각이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 하지만 여전히 고품질 마스터링은 숙련된 엔지니어의 경험과 감각이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
  
  
 {{tag>마스터링 역사}} {{tag>마스터링 역사}}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정승환_컬럼/history_of_audio_mastring.1750748170.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