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컴퓨터:network:windows의_네트워크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컴퓨터:network:windows의_네트워크 [2024/02/22] – ↷ 링크가 이동 작업으로 인해 적응했습니다 152.67.128.219컴퓨터:network:windows의_네트워크 [2025/01/01] (현재) – [폴더의 엑세스 권한] 정승환
줄 3: 줄 3:
 네트워크란 같은 여러대의 컴퓨터가 같은 공유기로 묶여 있는 것과 같은 경우, 다른 컴퓨터의 폴더의 파일을 읽거나 보거나 지우는 등, 엑세스 할 수 있도록 하나로 묶어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면 거실 데스크탑의 컴퓨터의 작업 중인 파일을 WiFi로 연결 된 내방 노트북(랩탑)에서 들어가서 읽거나 볼 수 있는 것을 말한다. 네트워크란 같은 여러대의 컴퓨터가 같은 공유기로 묶여 있는 것과 같은 경우, 다른 컴퓨터의 폴더의 파일을 읽거나 보거나 지우는 등, 엑세스 할 수 있도록 하나로 묶어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면 거실 데스크탑의 컴퓨터의 작업 중인 파일을 WiFi로 연결 된 내방 노트북(랩탑)에서 들어가서 읽거나 볼 수 있는 것을 말한다.
  
-<bootnote>잘 사용하면 여러분이 맨날 외장 하드나 USB 메모리로 파일 옮기는 노가다 하던 수고를 없애버릴 수 있다.</bootnote>+<WRAP info>잘 사용하면 여러분이 맨날 외장 하드나 USB 메모리로 파일 옮기는 노가다 하던 수고를 없애버릴 수 있다.</WRAP>
  
  
줄 34: 줄 34:
 NetBIOS 방식은 이에 비하여, 작업그룹의 이름과 자신의 컴퓨터의 이름만 입력하면 알아서 해당 네트워크에 접속하게 되는 것으로 소규모 네트워크 망에서는 도메인 방식보다 훨씬 간편하다. 네트워크 망의 폴더의 아이디별 읽기, 쓰기 권한은 폴더를 가지고 있는 개별 컴퓨터에서 각자 관리한다. 일반적인 가정용 네트워크에서는 24시간 작동하고 있는 도메인 서버 방식보다 NetBIOS 방식이 절대적으로 유리하다. NetBIOS 방식은 이에 비하여, 작업그룹의 이름과 자신의 컴퓨터의 이름만 입력하면 알아서 해당 네트워크에 접속하게 되는 것으로 소규모 네트워크 망에서는 도메인 방식보다 훨씬 간편하다. 네트워크 망의 폴더의 아이디별 읽기, 쓰기 권한은 폴더를 가지고 있는 개별 컴퓨터에서 각자 관리한다. 일반적인 가정용 네트워크에서는 24시간 작동하고 있는 도메인 서버 방식보다 NetBIOS 방식이 절대적으로 유리하다.
  
-<bootnote>물론 Windows 서버 제품군은 당연히 도메인 방식의 네트워크를 사용한다. 개인 사용자용 Windows에서는 NetBIOS 방식만 사용 가능하다.</bootnote>+<WRAP info>물론 Windows 서버 제품군은 당연히 도메인 방식의 네트워크를 사용한다. 개인 사용자용 Windows에서는 NetBIOS 방식만 사용 가능하다.</WRAP>
  
 =====폴더의 엑세스 권한===== =====폴더의 엑세스 권한=====
줄 50: 줄 50:
 {{ 컴퓨터:network:20220226-144709.png?400 }} {{ 컴퓨터:network:20220226-144709.png?400 }}
  
-<bootnote>이제 같은 네트워크 망에 있는 다른 컴퓨터의 폴더에 엑세스가 가능하다.</bootnote>+<WRAP info>이제 같은 네트워크 망에 있는 다른 컴퓨터의 폴더에 엑세스가 가능하다.</WRAP> 
 + 
 +{{tag>네트워크}}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컴퓨터/network/windows의_네트워크.1708535110.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저자 152.67.128.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