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ustics:psychoacoustics:smoothing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acoustics:psychoacoustics:smoothing [2024/03/11] – [Psychoacoustic Smoothing] 정승환 | acoustics:psychoacoustics:smoothing [2025/01/20] (현재) – 정승환 | ||
---|---|---|---|
줄 1: | 줄 1: | ||
- | ======Smoothing====== | + | ======평활화====== |
+ | |||
+ | **Smoothing, | ||
**측정된 주파수 반응을 좀더 매끄럽게(Smooth) 표현하는 방식** | **측정된 주파수 반응을 좀더 매끄럽게(Smooth) 표현하는 방식** | ||
- | 주파수 반응의 | + | 주파수 반응의 |
- | 일반적으로, | + | 일반적으로, |
- | 주파수 반응의 | + | 주파수 반응의 |
{{: | {{: | ||
=====1/3 Octave Smoothing===== | =====1/3 Octave Smoothing===== | ||
- | **스피커 보정을 할 때 스피커의 주파수 반응을 1/3 Octave | + | **스피커 보정을 할 때 스피커의 주파수 반응을 1/3 Octave |
사람은 소리의 크기를 인지할 그 소리의 대역폭에도 영향을 받아 소리 크기를 인지한다. 즉 같은 음량의 소리라도, | 사람은 소리의 크기를 인지할 그 소리의 대역폭에도 영향을 받아 소리 크기를 인지한다. 즉 같은 음량의 소리라도, | ||
- | **실험적으로 사람이 인지하는 크리티컬 | + | **실험적으로 사람이 인지하는 크리티컬 |
+ | |||
+ | * 크리티컬 밴드 | ||
{{ : | {{ : | ||
줄 32: | 줄 36: | ||
* 10240Hz -> 20480Hz : 10옥타브 | * 10240Hz -> 20480Hz : 10옥타브 | ||
- | 대략 인간의 가청 주파수 영역은 10개의 옥타브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크리티컬 | + | 대략 인간의 가청 주파수 영역은 10개의 옥타브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크리티컬 |
- | 따라서, 룸 보정 이퀄라이저를 적용할 때는 1/3 옥타브 Smoothing을 | + | 따라서, 룸 보정 이퀄라이저를 적용할 때는 1/3 Octave 평활화를 |
- | 이는 대부분의 스피커 보정 용도의 그래픽 이퀄라이저나 GLM, SoundID와 같은 룸 보정 시스템들이 1/3 옥타브 스무딩 | + | 이는 대부분의 스피커 보정 용도의 그래픽 이퀄라이저나 GLM, SoundID와 같은 룸 보정 시스템들이 1/3 Octave 평활화 |
=====1/24 Octave Smoothing===== | =====1/24 Octave Smoothing===== | ||
- | **장비의 주파수 반응의 스펙을 표기할 때는 1/24 옥타브 스무딩으로 표기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 | **장비의 주파수 반응의 스펙을 표기할 때는 1/24 Octave 평활화로 표기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 | 장비의 마켓팅에서 매끄러운 주파수 반응을 가지는 것처럼 보이게 하기 위해 | + | 장비의 마켓팅에서 매끄러운 주파수 반응을 가지는 것처럼 보이게 하기 위해 |
{{: | {{: | ||
=====Psychoacoustic Smoothing===== | =====Psychoacoustic Smoothing===== | ||
- | Psychoacoustic Smoothing 이라는 진보된 | + | Psychoacoustic Smoothing 이라는 진보된 |
<WRAP box> | <WRAP box> | ||
줄 53: | 줄 57: | ||
Psychoacoustic smoothing uses 1/3 octave below 100Hz, 1/6 octave above 1 kHz and varies from 1/3 octave to 1/6 octave between 100 Hz and 1 kHz. It also applies more weighting to peaks by using a cubic mean (cube root of the average of the cubed values) to produce a plot that more closely corresponds to the perceived frequency response | Psychoacoustic smoothing uses 1/3 octave below 100Hz, 1/6 octave above 1 kHz and varies from 1/3 octave to 1/6 octave between 100 Hz and 1 kHz. It also applies more weighting to peaks by using a cubic mean (cube root of the average of the cubed values) to produce a plot that more closely corresponds to the perceived frequency response | ||
- | Psychoacoustic smoothing은 100Hz 아래의 1/3 옥타브, 1 kHz 이상의 1/6 옥타브를 사용하며, | + | Psychoacoustic smoothing은 100Hz 아래의 1/3 Octave, 1 kHz 이상의 1/6 Octave를 사용하며, |
* 요약 : 사람의 청각 인지 특성에 더 가깝게 표기하는 방법이다. | * 요약 : 사람의 청각 인지 특성에 더 가깝게 표기하는 방법이다. | ||
</ | </ | ||
- | =====Reference===== | ||
- | https:// | ||
- | https:// | + | ======Reference====== |
- | https:// | + | * https:// |
+ | * https:// | ||
+ | * https:// | ||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acoustics/psychoacoustics/smoothing.1710085173.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