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ustics:sound:frequency:phase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 | |||
acoustics:sound:frequency:phase [2025/05/22] – 바깥 편집 127.0.0.1 | acoustics:sound:frequency:phase [2025/10/03] (현재) – 정승환 | ||
---|---|---|---|
줄 44: | 줄 44: | ||
따라서 복잡한 파형을 이루는 여러 주파수의 사인파형은 각각의 위상을 가질 수 있는데, 시그널 프로세서를 거치면서 위상 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 특정 주파수들의 위상이 변한다는 뜻이다. | 따라서 복잡한 파형을 이루는 여러 주파수의 사인파형은 각각의 위상을 가질 수 있는데, 시그널 프로세서를 거치면서 위상 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 특정 주파수들의 위상이 변한다는 뜻이다. | ||
- | {{page> | ||
- | |||
- | =====동시에 마이킹된 소리의 페이즈 관계===== | ||
- | |||
- | 드럼의 오버헤드 마이킹의 경우에 드럼의 전체 악기 소리를 받는 것이 때문에, 심벌의 소리 뿐만 아니라 킥이나 스네어, 탐탐의 소리도 당연하게 들어가 있다. | ||
- | |||
- | 이때 킥이나 스네어에도 마이크를 따로 보강하는 방식으로 대기 때문에, 드럼의 전체적인 소리는 오버헤드 + 개별 마이킹 소리로 나게 되는데, 이 경우에 오버헤드에 들어온 킥의 소리와 킥 마이크에 들어온 소리의 위상 관계, 오버헤드에 들어온 스네어의 소리와 스네어 마이크에 들어온 소리의 위상 관계 등이 중요해진다. | ||
- | |||
- | 킥의 경우를 예를 들자면, 오버헤드에 들어온 킥 소리와 킥 마이크에 들어온 킥소리 두가지를 서로 정위상으로 들어보고 역위상으로 들어보면서 킥의 기음역대에 대한 위상 캔슬이 발생하는지 아닌지 소리를 듣고 판단한다. | ||
- | |||
- | =====블리딩된 소리의 페이즈 관계===== | ||
- | |||
- | 블리딩 | ||
- | |||
- | 동시에 여러가지의 악기가 마이킹 되어 있을 때의 위상 관계도 중요하다. | ||
- | |||
- | 예를 들면 보컬 마이크에 작게 들어온 일렉트릭 기타의 소리, 그리고 기타 앰프의 마이크에 들어온 일렉트릭 기타의 소리는 같은 소리 이면서 보컬 과 기타 앰프의 소리가 서로 믹스에 관여 될 때, 두 마이크에 들어온 일렉트릭 기타의 소리의 위상 관계 등이 매우 중요해진다. 단 이러한 경우 [[오디오_프로덕션: | ||
- | |||
- | =====스테레오의 페이즈 관계===== | ||
- | |||
- | 스테레오 음장 효과는 동일한 음원을 L채널과 R채널의 동일성/ | ||
- | |||
- | L/R 파형중에 동일성을 가지는 부분은 Center 이미지, L/R 파형 중에 차이점을 가지는 부분은 Side 이미지 성분으로 스테레오 음장감을 표현하기 때문이다. | ||
{{tag> | {{tag> |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acoustics/sound/frequency/phase.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