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acoustics:sound:frequency:phase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acoustics:sound:frequency:phase [2024/12/28] 정승환acoustics:sound:frequency:phase [2025/10/03] (현재) 정승환
줄 1: 줄 1:
 ======위상====== ======위상======
  
-위상(phase)은 파동의 진폭(amplitude)와 주기(period)에 대한 시간적인 위치나 상대적인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입니다. 즉 비교할 상대적인 대상이 있어야 위상에 대해 이야기 할 수 있습니다. 파동은 주기적인 진동 현상으로, 위상은 이 주기적 진동이 시간 상에서 어느 지점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나타냅니다.+위상은 파동의 진폭과 주기에 대한 시간적인 위치나 상대적인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입니다. 즉 비교할 상대적인 대상이 있어야 위상에 대해 이야기 할 수 있습니다. 파동은 주기적인 진동 현상으로, 위상은 이 주기적 진동이 시간 상에서 어느 지점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간단하게 말하면, 위상은 파동의 진폭이 어떤 시간적 순간에 있는지를 표현하는 것으로, 파동의 시작점을 기준으로 얼마나 진행되었는지를 나타냅니다. 위상은 주기적인 파동에서 특히 중요한데, 서로 다른 파동의 위상 차이가 파동 간의 상호작용과 중첩을 결정하며 음향 현상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간단하게 말하면, 위상은 파동의 진폭이 어떤 시간적 순간에 있는지를 표현하는 것으로, 파동의 시작점을 기준으로 얼마나 진행되었는지를 나타냅니다. 위상은 주기적인 파동에서 특히 중요한데, 서로 다른 파동의 위상 차이가 파동 간의 상호작용과 중첩을 결정하며 음향 현상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위상은 주기적인 파동의 한 사이클에서 0부터 360도까지의 범위로 표현되며, 이를 라디안(radian)으로 나타내기도 합니다. 위상 차이가 0인 경우, 두 파동은 같은 위상에 있으며, 이것을 인 페이즈(in-phase)라고 합니다. 반대로 위상 차이가 180도인 경우, 두 파동은 정반대 위상에 있으며, 이것을 안티 페이즈(anti-phase)라고 합니다. 그리고 그 사이의 어떤 값인 경우에는 다른 상태를 나타냅니다.+위상은 주기적인 파동의 한 사이클에서 0부터 360도까지의 범위로 표현되며, 이를 라디안(radian)으로 나타내기도 합니다. 위상 차이가 0인 경우, 두 파동은 같은 위상에 있으며, 이것을 정위상(in-phase)라고 합니다. 반대로 위상 차이가 180도인 경우, 두 파동은 정반대 위상에 있으며, 이것을 역위상(anti-phase)라고 합니다. 그리고 그 사이의 어떤 값인 경우에는 다른 상태를 나타냅니다.
  
 음향학에서 위상은 파동의 복잡한 상호작용, 음향 신호의 합성, 음악 악기의 음색 등 다양한 음향 현상을 연구하고 설명하는 데 사용되며, 위상 정보는 음향 처리 및 음향 엔지니어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음향학에서 위상은 파동의 복잡한 상호작용, 음향 신호의 합성, 음악 악기의 음색 등 다양한 음향 현상을 연구하고 설명하는 데 사용되며, 위상 정보는 음향 처리 및 음향 엔지니어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줄 44: 줄 44:
  
 따라서 복잡한 파형을 이루는 여러 주파수의 사인파형은 각각의 위상을 가질 수 있는데, 시그널 프로세서를 거치면서 위상 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 특정 주파수들의 위상이 변한다는 뜻이다. 따라서 복잡한 파형을 이루는 여러 주파수의 사인파형은 각각의 위상을 가질 수 있는데, 시그널 프로세서를 거치면서 위상 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 특정 주파수들의 위상이 변한다는 뜻이다.
-{{page>음향:speaker:crossover#크로스오버와_위상_왜곡}} 
  
-=====동시에 마이킹된 소리의 페이즈 관계===== +{{tag>주파수 위상}}
- +
-드럼의 오버헤드 마이킹의 경우에 드럼의 전체 악기 소리를 받는 것이 때문에, 심벌의 소리 뿐만 아니라 킥이나 스네어, 탐탐의 소리도 당연하게 들어가 있다. +
- +
-이때 킥이나 스네어에도 마이크를 따로 보강하는 방식으로 대기 때문에, 드럼의 전체적인 소리는 오버헤드 + 개별 마이킹 소리로 나게 되는데, 이 경우에 오버헤드에 들어온 킥의 소리와 킥 마이크에 들어온 소리의 위상 관계, 오버헤드에 들어온 스네어의 소리와 스네어 마이크에 들어온 소리의 위상 관계 등이 중요해진다. +
- +
-킥의 경우를 예를 들자면, 오버헤드에 들어온 킥 소리와 킥 마이크에 들어온 킥소리 두가지를 서로 정위상으로 들어보고 역위상으로 들어보면서 킥의 기음역대에 대한 위상 캔슬이 발생하는지 아닌지 소리를 듣고 판단한다. +
- +
-=====블리딩된 소리의 페이즈 관계===== +
- +
-블리딩 +
- +
-동시에 여러가지의 악기가 마이킹 되어 있을 때의 위상 관계도 중요하다. +
- +
-예를 들면 보컬 마이크에 작게 들어온 일렉트릭 기타의 소리, 그리고 기타 앰프의 마이크에 들어온 일렉트릭 기타의 소리는 같은 소리 이면서 보컬 과 기타 앰프의 소리가 서로 믹스에 관여 될 때, 두 마이크에 들어온 일렉트릭 기타의 소리의 위상 관계 등이 매우 중요해진다. 단 이러한 경우 [[오디오_프로덕션:miking:3_1rule|3:1 법칙]]에 해당하기 때문에 서로 음원의 신호 차이가 10dB 이상 나게 되면 큰 위상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
- +
-=====스테레오의 페이즈 관계===== +
- +
-스테레오 음장 효과는 동일한 음원을 L채널과 R채널의 동일성/차이점을 통해서 발생하기 때문에, L/R 파형의 위상을 비교 하여 서로의 차이가 나는 정도로 스테레오 채널의 위상의 상관관계를 알 수 있다. +
- +
-L/R 파형중에 동일성을 가지는 부분은 Center 이미지, L/R 파형 중에 차이점을 가지는 부분은 Side 이미지 성분으로 스테레오 음장감을 표현하기 때문이다. +
- +
-{{tag>딜레이 주파수}}+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acoustics/sound/frequency/phase.1735313624.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