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ustics:sound:frequency:start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acoustics:sound:frequency:start [2023/09/15] – 제거됨 - 바깥 편집 (Unknown date) 127.0.0.1 | acoustics:sound:frequency:start [2025/02/05] (현재) – 정승환 | ||
---|---|---|---|
줄 1: | 줄 1: | ||
+ | ======주파수====== | ||
+ | **Frequency** | ||
+ | |||
+ | 주파수는 소리의 기본 특성 중 하나입니다. 음파에서 단위 시간당 발생하는 진동 주기 수를 나타냅니다. 주파수의 단위는 헤르츠(Hz)로 초당 1주기를 나타냅니다. | ||
+ | |||
+ | 즉, 소리의 주파수가 소리의 높이를 결정합니다. 높은 주파수 소리는 높은 음높이를 갖고, 낮은 주파수 소리는 낮은 음높이를 가집니다. 예를 들어 고음은 새 지저귀는 소리일 수 있고 저음은 베이스 기타 연주일 수 있습니다. | ||
+ | |||
+ | 인간의 청각 맥락에서 가청 주파수 범위는 일반적으로 20Hz에서 20,000Hz 사이입니다. 그러나 이 범위는 사람의 나이, 청각 능력 및 기타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가청 범위보다 높은 주파수의 소리를 초음파라고 하고 가청 범위보다 낮은 주파수의 소리를 초저주파라고 합니다. | ||
+ | |||
+ | 주파수는 특정 환경에서 소리가 작동하는 방식에 영향을 줄 수 있고 음악 제작이나 소음 감소와 같은 다양한 목적으로 조작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운드 엔지니어링 및 음향학에서 중요한 고려 사항입니다. | ||
+ | |||
+ | {{indexmenu> | ||
+ | |||
+ | ======Frequency====== | ||
+ | |||
+ | Frequency is one of the fundamental characteristics of sound, representing the number of oscillations or cycles per unit time in a sound wave. Frequency is measured in Hertz (Hz), indicating the number of cycles per second. | ||
+ | |||
+ | In essence, the frequency of sound determines its pitch. High-frequency sounds have high pitches, while low-frequency sounds have low pitches. For example, high-pitched sounds may include bird chirping, while low-pitched sounds could be associated with bass guitar playing. | ||
+ | |||
+ | In the context of human hearing, the audible frequency range typically falls between 20Hz and 20,000Hz. However, this range can vary depending on factors such as a person' | ||
+ | |||
+ | Frequency can influence how sound behaves in specific environments and can be manipulated for various purposes, including music production and noise reduction. Therefore, it is a crucial consideration in fields like sound engineering and acoustics. | ||
+ | |||
+ | =====주파수의 단위===== | ||
+ | |||
+ | 1960년도 이전에는 Cycle이라는 단위를 사용했으나, | ||
+ | |||
+ | * CPS : Cycle per 1 second | ||
+ | * KCS : kilocycle per 1 second | ||
+ | * Hz : Hertz | ||
+ | |||
+ | ===== 음정 ===== | ||
+ | **Pitch, Tone** | ||
+ | |||
+ | 음정은 주파수를 기반으로 하여 소리의 상대적인 높낮이를 인식하는 개념입니다. 이는 특정 주파수 간의 관계를 표현하며, | ||
+ | |||
+ | 음정의 간격은 일반적으로 옥타브와 같은 단위로 측정됩니다. 옥타브는 두 소리의 주파수가 2배 차이가 날 때 형성됩니다. 예를 들어, 440Hz(A4)와 880Hz(A5)는 한 옥타브 차이를 나타냅니다. | ||
+ | |||
+ | 음정은 서양 음악에서 12평균율 체계를 기반으로 하며, 각각의 반음은 대략 1.05946의 주파수 비율을 가집니다. 이 체계를 통해 음악가들은 다양한 음을 조합하여 복잡한 멜로디와 화음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 ||
+ | |||
+ | 또한 음정은 문화적, 음악적 맥락에서 다르게 해석될 수 있습니다. 동양 음악에서는 5음 음계나 7음 음계와 같은 다른 음정 체계가 사용되기도 합니다. | ||
+ | |||
+ | 음정은 단순히 소리의 높낮이를 나타내는 것뿐만 아니라, 소리의 감정적, 음악적 표현을 결정하는 데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
+ | |||
+ | =====Online Tone generator===== | ||
+ | |||
+ | * https:// | ||
+ | |||
+ | {{tag> |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