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usic_theory:song_form_structure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다음 판 | 이전 판 | ||
music_theory:song_form_structure [2025/05/13] – 만듦 정승환 | music_theory:song_form_structure [2025/05/13] (현재) – 정승환 | ||
---|---|---|---|
줄 1: | 줄 1: | ||
- | ====== 송폼 스트럭쳐(Song Form Structure) | + | ====== 송폼 스트럭쳐 ====== |
송폼 스트럭쳐(Song Form Structure)는 곡을 구성하는 각 부분(섹션)들이 어떤 순서와 방식으로 배열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용어이다. 곡의 설계도와 같으며, 음악 창작과 분석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이다. | 송폼 스트럭쳐(Song Form Structure)는 곡을 구성하는 각 부분(섹션)들이 어떤 순서와 방식으로 배열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용어이다. 곡의 설계도와 같으며, 음악 창작과 분석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이다. | ||
줄 16: | 줄 16: | ||
* **Chorus(코러스/ | * **Chorus(코러스/ | ||
* **Bridge(브릿지)** : 곡의 흐름에 변화를 주는 부분. 새로운 멜로디와 분위기 등장. | * **Bridge(브릿지)** : 곡의 흐름에 변화를 주는 부분. 새로운 멜로디와 분위기 등장. | ||
- | * **Intro(인트로)**, | + | * **Intro(인트로)** |
+ | * **Outro(아웃트로)** | ||
+ | * **Pre-Chorus(프리코러스)** | ||
+ | * **Interlude(인터루드/ | ||
+ | * **Tag(태그)** : 곡의 마지막에 짧게 반복되는 구절이나 후렴. 인상적인 마무리와 여운을 주기 위해 | ||
* 예시: | * 예시: | ||
- | * Intro – Verse – Chorus – Verse – Chorus – Bridge – Chorus – Outro | + | * Intro – Verse – Chorus – Verse – Chorus – Bridge |
+ | |||
+ | {{ : | ||
===== 전통과 현대의 차이 ===== | ===== 전통과 현대의 차이 ===== | ||
줄 33: | 줄 39: | ||
> 송폼 스트럭쳐는 음악의 설계도이자, | > 송폼 스트럭쳐는 음악의 설계도이자, | ||
- | > 전통적 표기법과 현대적 역할 중심 용어를 모두 이해하면, | + | > 전통적 표기법과 현대적 역할 중심 용어, 그리고 인터루드, |
+ | |||
+ | {{tag> | ||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music_theory/song_form_structure.1747134681.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