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향:level:crest_factor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음향:level:crest_factor [2024/12/31] – 정승환 | 음향:level:crest_factor [2025/07/06] (현재) – 정승환 | ||
---|---|---|---|
줄 3: | 줄 3: | ||
**Crest factor, Peak factor, 파고율** | **Crest factor, Peak factor, 파고율** | ||
- | <WRAP centeralign box> | ||
- | {{: | ||
- | </ | ||
- | 어떤 소리 파형의 Peak와 RMS의 | + | 크레스트 팩터는 신호의 **최대 진폭(Peak)** 과 **평균 제곱근(RMS, Root Mean Square)** 값의 비율을 의미하며, |
- | 가장 크레스트 팩터가 큰 악기의 경우 | + | <m> {Crest Factor} = {Peak Value} / {RMS Value} </m> |
- | <WRAP centeralign box>{{ 음향: | + | 단위는 보통 **비율**(값 자체) 또는 **데시벨(dB)** 로 나타내며, |
- | Peak와 | + | |
+ | <m> {Crest Factor(dB)} = 20 * log10({Peak Value} / {RMS Value}) </ | ||
+ | |||
+ | < | ||
+ | |||
+ | ===== 크레스트 팩터의 의미 ===== | ||
+ | * 크레스트 팩터가 **높을수록** 신호의 피크 값이 | ||
+ | * 크레스트 팩터가 **낮을수록** 신호가 비교적 일정한 에너지를 갖고 | ||
+ | |||
+ | ===== 악기별 크레스트 팩터 예시 ===== | ||
+ | <WRAP tablewidth 100%> | ||
+ | ^ 악기 종류 ^ 크레스트 팩터 (대략적인 범위) ^ | ||
+ | | 타악기 (Kick, Snare, Cymbal 등) | 18dB 이상 (트랜지언트가 강함) | | ||
+ | | 보컬 | 9~12dB | | ||
+ | | 기타, 피아노 | 12~18dB | | ||
+ | | 신스 패드, 오르간 | 6~9dB (지속적인 사운드) | | ||
+ | | 리미터를 | ||
+ | </ | ||
- | <WRAP centeralign box>{{ : | + | <imgcaption 2 center|DC = 1, Sine wave = 1.414> |
- | CF : Crest Factor = Peak value/RMS value\\ | + | |
- | DC = 1\\ | + | |
- | Sine wave = 1.414</WRAP> | + | |
=====Reference===== | =====Reference===== | ||
- | https:// | + | * https:// |
{{tag>" | {{tag>" | ||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음향/level/crest_factor.1735626454.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