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음향:speaker:acoustic_lobing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음향:speaker:acoustic_lobing [2025/04/14] – [Reference] 정승환음향:speaker:acoustic_lobing [2025/06/24] (현재) – [로빙 에러] 정승환
줄 6: 줄 6:
  
 <WRAP right column 25%>{{:음향:speaker:20240509-204354.png}}</WRAP> <WRAP right column 25%>{{:음향:speaker:20240509-204354.png}}</WRAP>
-이것의 주요 이유는 드라이버 간의 물리적 거리 및 관심 주파수에 상대적인 드라이버의 유효 지름 때문입니다. 로빙은 수직으로 장소가 변함에 따라 수직적으로 최적출력에 대한 집합 응답을 갖는 필터링 응답으로 측정됩니다. 완전한 구형 파면을 실용적으로 얻을 수 없기 때문에 설계자는 일반적인 청취 위치에서 스피커가 옴니 방향으로 보이도록 가능한 한 큰 로브를 만들려고 시도합니다. +이것의 주요 이유는 드라이버 간의 물리적 거리 및 관심 주파수에 상대적인 드라이버의 유효 지름 때문입니다. 로빙은 수직으로 장소가 변함에 따라 수직적으로 최적출력에 대한 집합 응답을 갖는 콤 필터링 응답으로 측정됩니다. 완전한 구형 파면을 실용적으로 얻을 수 없기 때문에 설계자는 일반적인 청취 위치에서 스피커가 옴니 방향으로 보이도록 가능한 한 큰 로브를 만들려고 시도합니다. 
 일반적으로 로빙 에러가 발생하지 않기 위해서는 두 유닛 간격(유닛 중앙 부터 유닛 중앙)은 두 유닛의 크로스오버 중심 주파수의 파장의 1/4안에 위치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로빙 에러가 발생하지 않기 위해서는 두 유닛 간격(유닛 중앙 부터 유닛 중앙)은 두 유닛의 크로스오버 중심 주파수의 파장의 1/4안에 위치해야 한다
  
줄 13: 줄 13:
 {{ :음향:speaker:img_1902.jpeg?400 }} {{ :음향:speaker:img_1902.jpeg?400 }}
  
-위 그림처럼 트위터와 우퍼간격에 의해 크로스오버 주파수에서 로빙 에러(Lobing error)가 발생하며 이는 수직지향성에서 나타난다.+위 그림처럼 트위터와 우퍼간격에 의해 크로스오버 주파수에서 로빙 에러(Lobing error)가 발생하며 이는 보통 수직지향성에서 나타난다.
  
   * 트위터와 우퍼의 크로스오버 주파수가 2kHz(파장: 17cm)인 경우, 로빙 에러가 발생하지 않으려면 트위터와 우퍼의 중심축의 간격은 17/4cm 이내여야 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간격은 이것보다 넓기 때문에 로빙 에러는 발생할 수 밖에 없고, 이는 수직 지향성 측정에서 크로스오버 주파수 부근의 급격한 지향각의 감소(lobe)로 나타난다.   * 트위터와 우퍼의 크로스오버 주파수가 2kHz(파장: 17cm)인 경우, 로빙 에러가 발생하지 않으려면 트위터와 우퍼의 중심축의 간격은 17/4cm 이내여야 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간격은 이것보다 넓기 때문에 로빙 에러는 발생할 수 밖에 없고, 이는 수직 지향성 측정에서 크로스오버 주파수 부근의 급격한 지향각의 감소(lobe)로 나타난다.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음향/speaker/acoustic_lobing.1744574712.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