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음향:specification:ein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음향:specification:ein [2024/08/15] – [프리앰프 노이즈와 게인의 상관관계] 정승환음향:specification:ein [2024/12/30] (현재) – [프리앰프 노이즈와 게인의 상관관계] 정승환
줄 3: 줄 3:
 **E**quivalent **I**nput **N**oise, **등가 입력 잡음** **E**quivalent **I**nput **N**oise, **등가 입력 잡음**
  
-마이크 프리앰프의 다이믹 레인지를 말한다.+마이크 프리앰프의 다이믹 레인지를 말한다.
  
-마이크 프리앰프의 경우에는 장비마다 최대 입력 레벨이 다르고, Gain 범위도 다르기 때문에, 이러한 조건들을 통일하여 측정해야 다이믹 레인지를 알 수 있다.+마이크 프리앰프의 경우에는 장비마다 최대 입력 레벨이 다르고, Gain 범위도 다르기 때문에, 이러한 조건들을 통일하여 측정해야 다이믹 레인지를 알 수 있다.
  
-마이크 프리앰프의 입력측에 150Ω 의 부하를 가진 더미 저항을 이용하여 터미네이션시키고, 노이즈 플로어를 측정한다. 이론적으로 마이크 프리앰프가 가질 수 있는 가장 높은 EIN 수치는 133dB 정도 이다.+마이크 프리앰프의 입력측에 150Ω 의 부하를 가진 더미 저항을 이용하여 터미네이션시키고, 노이즈 플로어를 측정한다. 이론적으로 마이크 프리앰프가 가질 수 있는 가장 높은 EIN 수치는 133dB 정도이다.
  
 {{:음향:specification:20240815-061140.png}} {{:음향:specification:20240815-061140.png}}
줄 13: 줄 13:
 =====프리앰프 노이즈와 게인의 상관관계===== =====프리앰프 노이즈와 게인의 상관관계=====
  
-{{:음향:specification:20240815-061203.png}}+하지만, EIN 수치가 그대로 마이크 프리앰프의 다이내믹 레인지값이라고는 말할 수는 없다. 마이크 프리앰프의 실질적인 다이내믹 레인지는 연결된 마이크의 Self-noise, 소스의 음압, 설정된 Gain 값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일반적인 프리앰프의 게인에 따른 EIN 수치의 변화 그래프이다. 모든 프리앰프는 거의 대부분 이와 같은 형태의 EIN 그래프를 보인다. +{{page>/정승환_컬럼/프리앰프_노이즈와_게인의_상관관계&noheader}}
- +
-위의 그래프를 보면 프리앰프에거 게인을 높히면 높힐수록 EIN 수치는 점점 줄어듬을 알 수 있다. 즉 게인을 높히면 노이즈 플로어도 내려가는 것이다. 하지만, 여기서 올라간 게인 수치를 더하면 게인을 점점 증가시킴에 따라 노이즈도 증가함을 알 수 있다. 게인이 20dB 일 때의 노이즈 플로어는 -93dBu, 게인이 60dB 일 때의 노이즈 플로어는 -69dBu 이다. +
- +
-하지만, 여기서 한가지 더 생각해봐야 하는 것은 신호도 20dB 에서 60dB로 그만큼 증폭되었다는 사실이다. 즉 S/N Ratio로 생각해야 한다.  +
- +
-  * +4dBu 의 신호를 20dB 증폭한 경우 신호는 24dBu 의 크기이며 노이즈 플로어는 -93dBu이다. 이 때 S/N Ratio는 117dB 이다. +
-  * +4dBu의 신호를 60dB 증폭한 경우 신호는 64dBu의 크기이며 노이즈 플로어는 -69dBu이다. 이 때 S/N Ratio 133dB이다.  +
- +
-**즉, 프리앰프 단독으로는 게인이 증가하면 S/N Ratio가 증가한다.** +
- +
-그러나 여기에 마이크의 Self-noise 레벨을 적용하면, 다음과 같다. +
-  * -120dBu의 노이즈 플로어를 가진 마이크의 신호를 20dB 증폭한 경우 프리앰프의 노이즈 플로어는 -93dBu이며, 마이크의 노이즈 플로어는 -100dBu로 증폭되었으므로, 프리앰프의 노이즈 플로어가 마이크의 노이즈 플로어보다 7dB 높다. +
-  * -120dBu의 노이즈 플로어를 가진 마이크의 신호를 60dB 증폭한 경우 프리앰프의 노이즈 플로어는 -69dBu이며, 마이크의 노이즈 플로어는 -60dBu로 증폭되었으므로, 마이크의 노이즈 플로어가 프리앰프의 노이즈 플로어보다 9dB 높다. +
- +
-**즉, 프리앰프에 마이크를 연결하여 사용할 때, 마이크의 노이즈 플로어도 게인에 해 증가하기 때문에 게인을 높히다보면 마이크의 노이즈가 프리앰프의 노이즈보다 높아지는 지점이 있다.** +
- +
-**따라서, 마이크의 노이즈 플로어와 EIN에 의한 프리앰프의 노이즈에 의해 특정 구간에서 가장 노이즈가 적은 일종의 Sweet Spot이 분명 존재한다는 결론이 나온다.** +
-======Reference====== +
-  * https://www.audiotechnology.com/tutorials/microphones-noise-1 +
-  * https://www.audiotechnology.com/tutorials/microphones-noise-2+
  
 +{{tag>"노이즈" 측정}}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음향/specification/ein.1723672257.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4/08/15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