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의 감도는 1Pa의 음압을 입력했을 때 생성되는 전기 신호의 크기를 나타내며, 단위는 mV/Pa입니다. 감도가 높을수록 작은 음압에서도 더 큰 전기 신호를 생성할 수 있어 민감도가 뛰어납니다.
일반적으로 마이크의 감도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다르며, 고감도 마이크는 미세한 소리까지 포착할 수 있어 스튜디오 녹음이나 섬세한 사운드 캡처에 적합합니다. 반면, 저감도 마이크는 음원 소스에 더 가까이 배치할 수 있어 주변 소음을 줄이고 음원 소스와 배경 소음 간의 차이를 크게 만들 수 있습니다.
마이크의 감도는 녹음 환경과 용도에 따라 선택해야 하며, 고감도 마이크는 정밀한 사운드 캡처에 유리하지만, 주변 소음을 함께 포착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상황에 맞는 적절한 감도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3)
감도 특성에 따라서 마이크의 감도가 낮아지면 음원 소스에 대해서 마이크를 더 가깝게 배치할 수 있게 되고, 주변 소음과 음원 소스의 음량 차이를 벌릴 수 있다.
Reference
스피커의 감도는 1W의 전력을 입력했을 때 1미터 거리에서 생성되는 음압 레벨을 나타내며, 단위는 dB/W/m입니다. 감도가 높을수록 적은 전력으로 더 큰 음량을 생성할 수 있어 효율적입니다.
일반적으로 스피커의 감도는 85dB/W/m에서 100dB/W/m 사이이며, 고감도 스피커는 작은 출력의 앰프에서도 충분한 음량을 낼 수 있습니다. 반면, 저감도 스피커는 동일한 음량을 내기 위해 더 강력한 앰프가 필요합니다.
스피커의 감도는 효율성과 음질에 영향을 미치며, 고감도 스피커는 에너지 효율이 높아 전력 소모를 줄이는 데 유리합니다. 그러나 감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음향의 정밀도가 떨어질 수 있으므로 용도와 환경에 맞는 적절한 감도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어폰 및 헤드폰의 감도는 1mW의 전력을 입력했을 때 생성되는 음압 레벨을 나타내며, 단위는 dB/mW입니다. 감도가 높을수록 적은 전력으로 더 큰 음량을 생성할 수 있어 효율적입니다.
헤드폰의 감도는 일반적으로 90dB/mW 이상이며, 워크맨용 헤드폰은 약 100dB/mW 이상이 적합합니다. 또한, 감도가 높으면 임피던스가 낮아져 구동이 쉬워지고, 저감도 제품은 동일한 음량을 내기 위해 더 많은 전력을 요구합니다.
감도는 음질에도 영향을 미치며, 고감도 이어폰은 보다 다이내믹한 사운드와 미묘한 디테일을 제공하는 반면, 저감도 이어폰은 음질 왜곡과 제한된 다이나믹 레인지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