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드럼 스네어에 컨덴서 마이크 사용 시 고려 사항

스네어 드럼에 콘덴서 마이크를 사용할 때의 가장 큰 장점은 한 대의 마이크만으로도 상단의 어택과 하단 와이어의 섬세한 소리를 균형 있게 포착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다이내믹 마이크를 사용할 경우 보통 상단(타격음)과 하단(와이어 소리)에 각각 마이크를 설치해 두 소리를 섞어야 하지만, 콘덴서 마이크감도가 높고 주파수 응답이 넓어 스네어의 어택, 바디, 와이어의 ‘치직’거림까지 자연스럽게 한 번에 담아낼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다음과 같은 실질적인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스네어 드럼은 높은 음압(SPL)과 빠른 어택 타임을 가진 악기로, 컨덴서 마이크 사용 시 다음과 같은 기술적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스네어 드럼의 음압(SPL)과 마이크 위치 영향

거리 계산식 결과(dBSPL)
1m 기준 100
10cm +20dB 120
5cm +26dB 126

컨덴서 마이크의 감도와 최대 출력 전압

저감도 컨덴서 마이크의 필요성과 한계

제가 알고있는 슬 컨덴서 마이크 중에 감도가 가장 낮은 제품은 Samson의 C02 였습니다.

결론

스네어 드럼에 컨덴서 마이크를 사용할 때는 고내구성 설계, 감도, 프리앰프 헤드룸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저감도 컨덴서 마이크가 이상적이지만 시장성 문제로 그런 제품은 거의 없습니다.

1)
Millenia HV, SPL Cresendo와 같은 프리앰프는 최대 입력레벨이 34dBu 정도이므로 이를 위한 충분한 헤드룸이 있습니다.
2)
스네어 마이크로 많이 사용하는 SM57의 경우 MaxSPL이 190dBSP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