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금
대부분의 심벌 합금에서 주요 원소는 구리이며, 여기에 세 가지 부원소 중 하나가 더해집니다. 주석(브론즈), 니켈(니켈 실버—이 경우 아연도 포함되지만 이름과 달리 은은 들어가지 않음), 아연(브라스)입니다. 심벌 합금에 아주 소량의 다른 원소가 포함되기는 하지만, 합금의 이름은 이러한 주요 구성 성분에 의해 정해집니다. 원래 구리에는 소량의 은이 자연적으로 포함되어 있으나, 이것이 진정한 “비밀 재료”라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현대에는 실험실 분석 기술이 발달했기 때문에 “비밀 재료”가 정말로 비밀로 남아 있을 가능성은 거의 없습니다. 비밀 공정이라면 모를까, 비밀 원소는 사실상 존재하지 않는 셈입니다. 0.1% 이상으로 검출되는 유일한 원소는 인(phosphorus)으로, 이는 Paiste 602 소재에서 발견됩니다. 그 외에는 주로 구리와 소량의 주석, 아연, 니켈이 합금의 주성분입니다. 은이나 금처럼 미량(<0.05%) 함유된 원소는, 주조, 압연, 컵 성형, 해머링, 쉐이핑, 선삭(lathing)과 같은 제작 공정이 소리에 미치는 영향에 비하면 청각적으로 뚜렷하게 식별 가능한 효과를 낼 가능성이 거의 없습니다. 다만, 합금의 작은 차이가 음향적 특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연구한 자료는 아직 없는 것으로 보입니다. 설령 있다 하더라도 공개적으로 알려지지는 않았습니다. 이에 따라, 위키에서는 공통 합금들을 소개한 후에 합금 샘플에서 발견되는 미량 원소들을 살펴보기로 합니다.
브론즈 합금은 주석이 주 금속 성분인 구리에 얼마만큼 섞여 있는지에 따라 간단히 표기됩니다. 예를 들어 B8은 8% 주석과 92% 구리로 이루어진 합금이고, B20은 20% 주석과 80% 구리의 합금입니다. 이상적인 비율에서 다소 벗어나더라도 여전히 해당 규격에 부합될 수 있습니다. Paul Francis에 따르면 B20 합금의 허용 주석 비율은 18.5%에서 21.5% 사이입니다. B23은 상당히 달라 보이므로 별도의 이름을 얻었고, B25 역시 별도의 명칭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이에 대해서는 각 합금별 섹션에서 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브라스(황동)와 니켈-실버 합금은 주석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Bxx 형식의 브론즈 명명법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알 수 없는 심벌의 합금을 판별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육안으로 색을 보는 것입니다. 실제로 합금은 함유된 주석의 양에 따라 색이 달라집니다.
하지만 사진으로는 색을 판별하기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특히 심벌이 하나뿐이고, 촬영된 사진의 조명 조건을 알 수 없는 경우에는 더더욱 그렇습니다. 심벌을 식별하려 할 때는 직접 눈으로 확인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여러 합금의 색조에 익숙하지 않다면, 이미 합금이 확실히 알려진 심벌과 비교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동일한 합금으로 만들어진 심벌이라도 색이 다르게 보이는 몇 가지 예시들이 있습니다. 또, 심벌을 청소하면 색상이 변하기도 합니다.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