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승환_컬럼:룸모드의_보정시_딥을_보정안하는_이유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룸 모드를 이퀄라이저를 통해 보정할 때 딥은 보상하지 않는 이유

모드는 공간 내에서 특정 주파수가 과도하게 증폭되거나(부밍), 반대로 상쇄되어 소리가 약해지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부밍 현상은 특정 주파수가 크게 울리면서 소리가 강조되는 부분이라, EQ를 사용해 해당 주파수의 음량을 줄이는 방식으로 보정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현상은 신호가 거의 상쇄되는 상태로, 구간의 소리EQ로 보상하려면 매우 크게 부스트해야 합니다.

이때 문제가 발생하는데, 부분을 크게 부스트하다 보면 시스템—파워앰프스피커—가 처리할 수 있는 입력 최대 레벨 한계에 쉽게 도달하게 됩니다. 이는 곧 클리핑, 즉 신호 왜곡의 위험을 불러와 깨지거나 변형된 소리가 발생할 수 있음을 뜻합니다. 게다가 과도한 증폭은 시스템의 다이내믹 레인지를 소모하고, 음향 개선 효과도 제한적일 수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구간에 EQ를 사용해 부스트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효과가 낮을 뿐 아니라, 시스템에 부담을 가중시키는 행위이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음향 전문가들도 가능한 한 보정을 피하라고 권고하고 있으며, 이는 이론적 근거와 현장 경험 모두와 부합하는 내용입니다.

결론적으로 모드EQ보다는 방 구조 조정이나 흡음재 사용과 같은 물리적 어쿠스틱 처리로 해결하는 것이 더 바람직합니다. EQ는 주로 부밍처럼 피크가 난 부분을 다루는 데에 집중하고, 은 자연스럽게 존중하는 편이 청취 경험에 도움이 됩니다.

이 점이 모드 EQ 보정에서 을 가능하면 건드리지 말라는 이유입니다.

로그인하면 댓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정승환_컬럼/룸모드의_보정시_딥을_보정안하는_이유.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