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DAW ASIO 버퍼 사이즈
1. 실시간 오디오 출력
실시간 오디오 출력은 우리가 DAW를 통한 소프트웨어 모니터링 또는 VSTi 를 실시간으로 연주할 때의 오디오 출력을 말합니다.
ASIO 버퍼 사이즈를 작게 설정하면 레이턴시가 줄어들게 됩니다. ASIO 드라이버에서는 버퍼가 작을 때 실시간 출력을 해야 하는 시간에 맞추지 못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드롭 아웃(drop-out)합니다. 하지만 아주 순간적인 오디오 드롭은 귀에 잘 들리지 않습니다.
그래서 DAW 안에서 버퍼 사이즈를 작게 설정하고 가상악기 연주나 소프트웨어 모니터링을 할 때, 수많은 오디오 드롭이 발생해도 우리는 이를 잘 인지하지 못합니다. 하지만 드롭이 심해지면 지지직 하는 소리가 들릴 수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버퍼 크기를 늘려야 합니다.
큐베이스 설정에는 이러한 일반적인 오디오 드롭 아웃 발생 시 에러 메시지를 표시하고 오디오를 멈추게 하는 옵션이 있지만, 기본적으로 활성화되어 있지는 않습니다.
2. 레코딩되는 오디오 데이터
레코딩 시에는 Disk Cache라 불리는 별도의 레코딩 버퍼를 사용합니다. 이는 실시간 오디오 출력과 별개의 버퍼로 작동합니다.
따라서 실시간 오디오 출력에서 드롭아웃이 발생하더라도, 기록되는 데이터는 완전한 무결성을 유지합니다. 그러나 레코딩 중 Disk Cache를 초과하는 한계에 도달하여 드롭아웃이 발생할 경우, Disk Cache Audio Drop Out에 관한 메시지가 표시되며 레코딩이 중단됩니다.
3. 실시간 모니터링과 레코딩의 관계
소프트웨어 모니터링을 하면서 버퍼를 작게 설정하여 사용하면, 귀로 들리는 실시간 오디오에서 드롭아웃이 발생하거나 지직거리는 소리가 들릴 수 있습니다. 그러나 녹음이 멈추지 않았다면 실제 레코딩된 데이터는 문제가 없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래도 레코딩 도중 오디오 드롭아웃으로 인해 녹음이 멈출 수도 있으므로 ASIO 버퍼를 충분히 크게 설정하고, 다이렉트 모니터링(Direct Monitoring)을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4. 실시간 오디오 드롭아웃이 재생 엔진에 영향을 미칠까?
아닙니다.
큐베이스의 ASIO 설정에는 ASIO Guard Latency라는 재생 엔진 버퍼 설정이 따로 존재합니다. 이 설정은 실시간 오디오가 아니라, 이미 트랙에 존재하는 오디오나 미디 데이터를 위한 버퍼 설정입니다.
ASIO Guard Latency를 충분히 크게 설정하면 믹스나 마스터링 시 재생되는 오디오는 안전합니다. 그러나 이 ASIO Guard Latency 버퍼에서도 오디오 드롭아웃이 발생할 수 있지만, 재생이 멈추지는 않습니다. 즉, 오디오 드롭이 발생하더라도 계속 재생됩니다.
ASIO Guard Latency는 실시간 오디오 출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즉, 소프트웨어 모니터링에는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많은 사용자들이 이 옵션을 끄라고 하지만, 이는 잘못된 정보입니다. 오히려 이 값을 크게 설정하면 믹싱과 마스터링 시 안정적인 재생 환경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