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정승환_컬럼:dolby_atmos_스트리밍_음질_문제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문서의 이전 판입니다!


Dolby Atmos 스트리밍 음질 문제

Dolby Atmos는 객체 지향 방식이라고 말을 합니다.

이 객체 지향 방식이라는 말의 실질적인 뜻은, 사용자의 스피커 시스템의 셋업에 맞게 어디선가 미리 렌더링해서 필요한 데이터만 보내주겠다는 뜻입니다.

돌비의 오리지널 원본은 128채널오디오 데이터를 담고 있습니다. 쉽게 말해서 아예 멀티트랙 소스 원본을 그대로 담고 있다고 보면 됩니다. 하지만 이러한 128 채널오디오 데이터는 매체로 전달하기 매우 어렵습니다. 용량이 매우 크기 때문입니다. CD 음질의 비트레이트로 계산해본다면 1채널 모노가 705kbps 정도의 비트레이트를 담고 있습니다. 128채널은 705kbps X 128채널 = 90240kbps 정도의 용량이고 5분짜리 곡이라면 27072000kb = 3,384,000kB= 3GB라는 말도 안되는 용량이 필요하게 됩니다. 물론 돌비 렌더러 내부에서 코덱을 이용하여 압축하기 때문에 실질적인 Dolby Atmos마스터 파일인 ADM BWF 파일은 이보다 용량이 작습니다.

하여간, 그래서 객체 지향을 하는 것입니다. 128 채널오디오 데이터를 전부 전송할 수는 없으니 사용자의 스피커 시스템의 셋업에 맞게 직접 렌더링을 어디선가 해서 그 데이터를 보내주겠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여기서도 문제가 또 있습니다. 만약 사용자의 스피커 포맷이 5.1.4 포맷이라고 가정한다면 이것은 10채널모노 데이터가 있어야 하고 필요한 비트레이트는 705kbps * 10 ch = 7050kbps 입니다.

근데 Doby Atmos가 스트리밍에 사용하는 돌비 디지털 플러스 코덱은 784kbps로 제한되어 있습니다. 5.1.4가 필요로 하는 CD 음질의 무손실 비트레이트인 7050kbps에 비하여 1/10의 비트레이트만 사용 가능합니다. 그래서 돌비 디지털 플러스는 “손실 압축 코덱” 입니다. 5.1.4의 경우 1/10로 그 이상의 스피커 갯수가 필요한 시스템에서는 더더욱 용량을 줄여야 하기 때문입니다.

하이파이 쪽 커뮤니티들에서는 사람들이 기대감을 가지고 여러대의 스피커를 설치해서 이제 청음을 시작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좀 불편한 말들이 나오고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

<bootnote>Dolby Atmos는 음질이 매우 조악하다.</bootnote>

Dolby Atmos 의 미래가 불투명합니다.

https://www.stereophile.com/content/dolby-atmos-bleak-shadow

로그인하면 댓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
검색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정승환_컬럼/dolby_atmos_스트리밍_음질_문제.1705739089.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4/01/20 저자 정승환